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용
응용
적용
활용
용도
소비
개발
d라이브러리
"
이용
"(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1 수학으로 깨어난 드론의 운동신경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테니스를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개발했습니다. 이 알고리즘은 드론 여러 대가 그물망을
이용
해 던진 공을 받거나 다시 그물망을 튕겨 공을 던지는 명령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합니다.공이 그리는 포물선을 계산한다드론과 공을 주고 받는다고 해봅시다. 대각선 위로 던진 공은 중력의 영향으로 ...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맞닿은 부분이 합쳐지면서 결국 스스로 풀려버렸다.이런 연구 결과가 당장 실생활에
이용
될 수 있는 건 아니다. 하지만 수학자들은 매듭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훗날 자연에서 생기는 복잡한 매듭을 연구하는 토대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세포 속에서 풀리고 꼬이는 DNA, 공기가 만드는 여러 가지 ... ...
내 스마트폰에 내가 만든 게임을 쏙!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게임을 만드는 과정에는 많은 요소가 필요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는 사실을
이용
해서 만들어야 누구나 즐길 수 있겠죠?어떤 게임을 만들까?한 팀이 만든 게임은 세계 대전을 배경으로 장군이 포로를 구출하는 게임이었습니다. 장군이 포로를 구출해야 임무가 끝나는 게임입니다. 포로를 ... ...
[흔들리는 인류기원] Part2. 콜럼버스가 신대륙에서 만난 원주민의 기원은?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대륙 전체에서 고루 발견되는 것과 대조적인 결과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배를
이용
해 태평양 위에서부터 조금씩 내려온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보다 급진적인 학자들은 아예 유럽인이 대서양을 횡단해 아메리카에 도착했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이들은 클로비스 유물이 프랑스 남부 지방의 ... ...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가장 긴 날이다. 그림자가 가장 긴 날이기도 하다. 책 ‘역법의 원리분석’에는 이를
이용
한 동짓날 계산법이 자세히 나와있다(60쪽 계산법 참고).당시 조선엔 이런 어려운 계산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없었다. 세종은 중국에서 산학서를 구입한 뒤 집현전학자들에게 공부하도록 했다. 중국에서 들여온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되기 전에 팔 수 있게 해 주는 앱이다. 앱은 아이폰에서 Objective C언어로 ‘Xcode’를
이용
해 개발했다.편의점은 음식을 버리지 않아서 손해를 보지 않아도 되고, 고객은 더 싼 가격에 음식을 살 수 있어서 좋다. 음식물쓰레기도 줄일 수 있다. 삼각김밥을 싸게 사려고 편의점에 온 고객이 음료수나 ... ...
백투더퓨처 2015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얼마나 복잡한 모양까지 쌓을 수 있는지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개발했다. 이 모형을
이용
하면 원하는 지점마다 인쇄 시간을 정할 수 있어서 인쇄를 하는 동안에도 모양이나 조건을 다양하게 바꿀 수 있다. 첫 번째 재료를 쌓고 두 번째 재료를 쌓기 전에 굳히거나 가열할 수 있는 셈이다.몸속까지 ... ...
칼레이도 사이클로 만드는 정육면체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소마큐브는 정육면체 여러 개로 이뤄진 조각 7개를 합쳐 3×3×3 정육면체를 만드는 퍼즐이다. 여러 개의 조각으로 정육면체를 맞춰가는 재미가 쏠쏠하다. 다른 입체도형 ... 인버터블 큐브의 전개도는 아래 순서에 따라 직접 그릴 수 있다. 이제 인버터블 큐브를
이용
해 정육면체를 만들어 ... ...
[Hot Issue] 화성에 WI-FI만 터졌더라면…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연안만 벗어나도 인터넷이 끊기곤 한다. 저개발국가나 오지는 말할 것도 없다. 위성을
이용
하면 지구 어디서나 빠른 속도로 인터넷을 쓸 수 있다. 위성인터넷은 위성에 1: 1로 접속할 수 있어 대용량의 데이터나 동영상도 병목현상 없이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다. 화성을 바라보지만, 실속은 지구에 ... ...
논문에서… 내 이름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클 것”이라고 말했다.그래서 저자권 문제는 아직도 수면 아래 있다. 2013년 2월 브릭에서
이용
자 102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 연구윤리 문제 중 저자권(authorship) 때문에 고민한 사람이 가장 많았다(41%). 반면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은 대부분 개인적 차원에서 이뤄졌다. ‘혼자 고민만 ... ...
이전
483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