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전자 조작된 동물의 젖에서 단백질 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유전공학적 단백질 생산법보다 훨씬 간단하고 값싼 방법 개발돼20
세기
가 다 가기 전에 어쩌면 우리는 '네발 달린 제약회사'를 보게 될지도 모른다. 다시말해 동물의 젖으로부터 꼭 필요한 단백질을 얻을 수 있게 될 것이다.물론 이 동물은 범상한 동물이 아니다. 외부로부터 인위적으로 이질적인 ... ...
저녁 놀 빛깔로 대기오염도 알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보이는 태양이 스러져 버린다.놀 생성의 원인을 과학적으로 규명한 최초의 사람이 19
세기
의 과학자 레일라이(Raileigh)였다. 그는 놀을 대기층에 의한 태양광의 산란(scattering) 결과로 설명했다. 태양광은 대기를 통과하며 산란되는데 이때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정도가 높다는 것이다. 결국 파장이 ... ...
(2) 6공 과학기술정책을 움직이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결국 그 수습을 후임장관에게 넘겨주고 물러나야 했다.현재는 대통령 직속자문기구인 21
세기
위원회 위원장직을 맡아 차기 대통령에게 보고할 국가장기발전계획을 구상하고 있다.'안면도' 짐 무거운 김진현장관서울대약대 출신의 2선의원 이상희장관은 정치장관답게 부임하면서부터 첨단 ... ...
캄브리아기 생물 대번성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그 이전에 어떠한 형태로든지 조상이 될 수 있는 동물이 존재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20
세기
후반에 들어와서 6억년 전 무렵의 후생동물 화석들이 세계 여러 곳에서 보고됐다. 이 화석들을 보통 에디아카라 동물군(Ediacara fauna)이라고 부른다. 에디아카라 화석의 특징은 단단한 껍질 또는 골격을 갖고 ... ...
(1) 2차원 평면에 살아움직이는 실물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사진건판에 기록하는 비교적 단순한 과정에서 시작된다. 이와 유사한 방법으로 이미 반
세기
전 과학자 가브리엘리프만(Gabriel Lippmann, 1845~1921)이 천연색 사진 재현의 한 방법으로 광파동의 간섭무늬(정상파의 간섭무늬)를 사진건판에 기록하는 방법을 제안했다.또한 홀로그래피가 발명되기 전에 이미 ... ...
일반상대성이론의 중흥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위에 퀘이사의 섭동효과가 설명된 후 수성의 근일점에 대해서는 1859년 이후 거의 반
세기
동안 천체역학에서는 풀리지 않는 문제로 남아 있었다. 많은 제안은 이 수성의 근일점이 빗나감을 설명할 수 있을지언정 직접 광학적 관측에 의한 물체의 관측은 안됐기 때문이다. 일반상대성을 이용해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나타나 있다. '삼림경제'나 '동국세시기'같은 고전에도 개고기가 소개돼 있고 18
세기
말에 편찬된 '규합총서'라는 한글로 표기된 가사총서에도 개고기 요리법이 소개돼 있다. 그 책에는 상처를 내지 말고 개의 목을 베어 잡아야 하며 고기는 물로 씻지 말고 칼을 대지 말아야 하고 독을 제거하려면 ... ...
(3) 산업현장과 의학 연구에도 새지평 열어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대한 분석과 기계문명의 발달이 있었다.그 이후 양자가 결정적으로 멀어지게 된 것은 20
세기
에 들어서 고전 물리학이 미시물리학으로 바뀌면서였다. 사람의 눈이 아니라 현미경으로 관찰해야만 하는 현대 물리학의 출현 이후, 예술에서는 추상적 경향의 그림이 대두되고 과학과 예술 두 분야는 ... ...
2. 새로운 뇌관으로 떠오른 우발적인 핵전쟁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핵전쟁과 석유자원 고갈이 세계를 종말로 이끄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한 바 있다. 20
세기
에 꽃을 피운 석유문명은 인류에게 더없이 편리함과 윤택함을 주었지만 한정된 석유자원은 21
세기
중반 이전에 고갈될 것이 분명하다.다행히도 인류는 새로운 에너지원인 원자력에너지를 개발해냈지만 그 ... ...
인간의 오감(五感)을 능가하는 첨단 센서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대한 필요성을 최근 들어서야 인식하기 시작했으며, 1992년부터는 국가가 주도하는 '21
세기
의 세계 7대 선진국 진입을 위한 연구과제' (흔히 G7 기술개발과제라고 함)의 하나로 많은 과학기술자들이 이 분야의 새로운 연구활동에 참여할 계획으로 있다.2000년대의 우리 인간생활을 더욱 더 풍요롭고 ... ...
이전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