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사
공부
탐구
학습
학업
탐사
면학
d라이브러리
"
연구
"(으)로 총 22,887건 검색되었습니다.
[영재교육원 탐방] 융합과 연결로 가능성 꽃피운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발전시킨다. 보통 과학영재교육원에서 사사과정을 진행할 때 학생들은 교수가 제안하는
연구
주제를 선택하는 편이다. 하지만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 재학생들은 대부분 자신이 호기심을 느꼈던 분야에서 스스로 주제를 선택한다.또 수학동아와 함께 진행하는 폴리매스데이 같은 행사를 통해 심도 ... ...
[SW 진로 체험] 수학 사랑꾼, SW 개발자로 거듭나다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단계를 밟아가며 A에서 B로 도달해야 하는데, 그런 부분이 수학에서 뭔가를 증명하고
연구
하는 과정과 비슷해요. 이런 방식을 수학에서만 쓰는 건 아니겠지만, 제가 수학을 좋아하는 이유가 그 논리적인 과정에 있다 보니 개발도 똑같이 재미를 느낄 수 있었던 거죠. 단계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 ...
고교급식왕, 급식의 과학적 비밀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삼겹살덮밥 등 붉은색 계열 음식이 유독 많이 등장한다.실제로 2006년 캐나다 위니펙대
연구
팀은 빨간색 계열의 음식이 식욕을 자극하고 파란색 계열의 음식은 식욕을 억제한다는 사실을 확인해 국제학술지 ‘경영 결정(Management Decision)’에 발표했다. doi:10.1108/00251740610673332신 영양사는 색감을 ... ...
모기, 너란 놈... 며칠 듯이 잡고 싶다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볼바키아와 동일한 균주를 수급해 국내 흰줄숲모기를 감염시킨 뒤 조사 중이다. 이
연구
관은 “같은 종이라도 지역마다 계통이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볼바키아 감염 모기가 국내 모기 퇴치에 효과가 있는지 시험 중”이라고 말했다 ... ...
영화 '커런트 워' 에디슨의 직류 vs. 테슬라의 교류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1년간 오전 10시 30분부터 다음날 오전 5시 30분까지 거의 하루도 빠지지 않고 성실하게
연구
에 매진했다. 결국 테슬라는 이 프로젝트를 완수했다. 그런데 에디슨은 테슬라에게 주급 10달러만 올려주겠다며 말을 뒤집었고, 이에 실망한 테슬라는 1885년 회사를 그만뒀다. 테슬라의 천재성을 알아본 ...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미국 하버드대 의대에서 박사후
연구
원으로 있던 2010년 9월 ‘고속 대량(high-throughput) 스크리닝법’을 독자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프로테아좀을 활성화시키는 화합물을 새롭게 발견해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doi: 10.1038/nature0929 ... ...
[미국유학일기] 화학
연구
에 확신 심어준 여름
연구
펠로우십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교수님들뿐만 아니라 대학원 선배들과 친분을 쌓으면서 앞으로 대학원에 진학해 화학
연구
를 계속해나가야겠다는 마음을 굳히는 계기가 됐다. 올해 봄 학기에 세 달 간 피렌체에서 교환학생으로 지낸 경험도 여러모로 도움이 됐다. 사실 피렌체 교환학생은 진로보다는 휴식을 위한 선택이었다. ... ...
[이투스 입시정보] 식품영양학과&식품공학과
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다양해지고 있습니다.식품영양학과 식품공학은 모두 건강한 삶을 위해 ‘식품’을
연구
하는 학문이지만,분명한 차이점도 있습니다.지금부터 두 학과에서 무엇을 배우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자세히 알아볼까요 [이투스 이달의 학과 : 식품영양학과&식품공학과 > 바로가기[학과 자세히보기]- 서울대 ... ...
[화보]풍선이 날개를 달았다 버드벌룬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
왜 포항에서 지열발전을 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아닌 곳에서도 지열발전을 할 수 있는 ‘인공지열 저류층 생성 기술(EGS)’에 대해
연구
하기 시작했어요. 그 결과 화산지대가 아닌 곳에서도 지열발전을 활용할 길이 열렸지요. 이 기술 덕분에 땅속에 뜨거운 물이나 증기가 없을 때에도 5km 정도 깊이로 땅을 파고 물을 넣어 마치 화산지대처럼 지열을 ... ...
이전
484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