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지구
월드
천하
영역
전세계
world
d라이브러리
"
세계
"(으)로 총 10,358건 검색되었습니다.
"토니뽕따이'의 잃어버린 코끼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8
태국의 유명한 무에타이 선수인‘토니뽕따이’가 썰렁 홈즈에게 도움을 요청했다. 착시를 이용해서 세상을 혼란을 빠뜨리려는 악당‘휘둥구라이’가 자신이 가장 아끼 ... 났고, 결국 코비에게 따끔한(?) 무에타이 실력을 보여주게 되었다. 불쌍한 코비…. 착시의
세계
는 멀고도 험하다 ... ...
무인도 탈출 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8
나타낼 수 있는 전신 수단이다. 1952년 국제전기통신조약 부속 무선규칙에 의해 SOS는
세계
공통의 조난 신호로 정해졌으며 일반적인 위험신호로도 사용된다. ▶ 둘. 신기루 현상이 뭐지?무인도에서의 생활이 길어질수록 구조에 대한 희망도 서서히 줄어들기 마련이다. 이럴 때 우리를 다시 한 번 절망 ... ...
우리 조상들은 이미 임진왜란 때 하늘을 날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8
있었다면 하늘을 나는 비차를 만드는 것도 불가능한 일은 아닙니다. 비차를 만들었다면
세계
비행 역사를 바꿀만한 이 놀라운 발명이 역사 속에서 묻혀버린 것은 왜일까요? 기록에 따르면 정평구는 비차 발명을 선조에게 보고했으나 그가 일개 군관이었고 학문만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당시의 분위기 ... ...
나도 이제 카트라이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8
모임이 생겨나고, ‘고-카트’라는 카트 제작 회사가 생겨나게 되었죠. 그후로 카트는 전
세계
로 전달되면서 지금의 카트 경기에까지 이르게 되었답니다. 카트 속에 과학의 원리가 보인다?!카트는 뒤집어지지 않는다?!카트를 처음 타 보는 사람이 가장 먼저 느끼는 것은 ‘땅에 붙어달린다’는 ... ...
달 달 무슨 달?! 달이 너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8
밤하늘의 달을 본 적이 있나요? 달에 대해 알고 싶다면 먼저 달을 자세히 보는 것이 그 첫걸음이에요. 아주 오래전부터 밤을 비추어 주는 달을 보며 ... 어딘가에 숨어서 우리를 기다리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어린이과학동아’친구들이 달
세계
를 탐험해서 자신들을 찾아 주기를 말이죠 ... ...
아름다운 15일 간의 우주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7
수행하고 있다.아픔을간직한우주왕복선의운명1926년 12월 30일. 미국의 고더드 박사가
세계
최초로 로켓을 발사한 이후 미국과 러시아를 중심으로 수많은 로켓을 만들고 우주로 발사했습니다. 하지만 로켓은 다시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막대한 비용이 들 수밖에 없었답니다. 그래서 개발한 것이 우주 ... ...
과학으로 민족의 염원을 보관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7
더 훌륭한 자랑거리는 대장경판을 보관하고 있는 장경각입니다. 1995년 유네스코의
세계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문화재가 대장경판이 아니라 장경각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을 거예요. 아무리 목판을 잘 만들었다고 한들 그것을 보관하는 장소가 형편없으면 금방 썩어 버리겠지요. 언뜻 ... ...
로봇이 감정을 가진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6
물론 아기를 낳을 수는 없지만 로봇 부품을 조립해 아기도 기릅니다. 두 시간 동안 로봇
세계
의 재미에 푹 빠질 수가 있지요. 그런데 영화를 보고 나면 이런 궁금증이 생기기도 합니다. 인간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 로봇이 과연 인간과 같은 감정을 가질 수 있을까? 1950년 미국의SF 작가 아이작 ... ...
전자석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6
물건들을 유럽 상인에게 팔았다. 13세기 경 나침반 사용법까지 아랍에 전해지면서 전
세계
의 무역과 상업은 큰 발전을 이루게 되었다.바늘 없는 나침반옛날에는 배를 나무로 만들었다. 하지만 요즘처럼 쇠로 만든 배에서도 나침반을 사용할 수 있을까? 거대한 쇳덩어리인 배는 자기력을 갖고 있으므로 ... ...
모든 사람에게 열려 있는 문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6
소리가 나는 ‘k, g’는 그 모양에서 아무런 공통성을 찾아볼 수 없답니다.이 밖에도
세계
의 유명한 언어학자들이 꼽는 훈민정음의 과학성은 많습니다. 하지만 뭐니뭐니해도 훈민정음의 가장 뛰어난 점은 ‘모든 사람들이 쉽게 배울 수 있다’라는 것입니다. 세종대왕이 시력을 잃어가면서까지 ... ...
이전
485
486
487
488
489
490
491
492
49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