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손상
재해
해
해독
악영향
폐
d라이브러리
"
위해
"(으)로 총 1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축제의 현장! 2017 브레이크스루상 시상식
수학동아
l
201701
공이 크지요.브레이크스루상은 ‘과학자는 사회에서 축하받지 못한다’는 편견을 깨기
위해
동명의 재단이 2012년에 처음 만들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이날 시상식에서는 수상자들도 할리우드 스타처럼 턱시도와 드레스를 차려 입고 포토존에서 사진을 찍었습니다. 시상식에는 영화배우 모건 ... ...
part 2. 전선 없는 세상
수학동아
l
201701
씨가 타는 전기 자동차는 충전 전용 도로를 지나면 자동으로 충전된다. 충전소를 찾기
위해
전전긍긍하지 않아도 된다.충전기 이제 안녕전기에너지를 전달하는 수단은 자기, 전자기파, 빛, 소리, 진동 등 다양합니다. 그중 무선전력전송에는 자기 방식을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휴대폰 ... ...
Part 4. 우주를 새롭게 밝힐 뉴페이스
수학동아
l
201701
우주를 더 깊이 들여다보기
위해
지금도 열심히 연구 중이다.그리고 목 빠지게 기다리고 있는 게 있다. 바로 차세대 망원경의 완성이다. 지금보다 더 커지고 좋은 능을 가진 망원경이 지상과 우주에서 활약할 예정이다. 우리나라도 올 하반기에 새로운 우주망원경을 우주로 보낼 계획이다. 새로운 ... ...
[Future] 안동 권씨가 대전에 살게 된 까닭은?
과학동아
l
201701
이동할 수 있는 오늘날에도 나무처럼 한곳에 뿌리를 내리고 오랜 세월동안 삶을 영
위해
왔다는 사실이 놀랍다.이런 현상이 안동 권씨라는 특정 성씨에서만 나타나는지 확인해 봤다. 흐트러짐이나 무질서한 정도를 측정하는 엔트로피라는 양을 도입해 각 성씨별로 그 인구가 전국적으로 얼마나 ... ...
[Future] 구글·네이버 번역기가 갑자기 ‘열일’하게 된 이유는?
과학동아
l
201701
다중언어모델은 적은 데이터로 보다 정확하게 번역할 수 있다. 연구진은 이를 구현하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으로 학습을 시켰는데, 그 중 여러 언어를 동시에 하나의 언어로 번역하도록 한 학습법은 모든 언어 쌍에서 번역 성능을 향상시켰다. 같은 뜻을 가진 한국어와 일본어 문장을 한번에 입력하고 ... ...
[Issue] 기후 위협하는 비행기구름
과학동아
l
201701
켐트레일의 정체는?몇 년 전 인터넷에서는 ‘알 수 없는 세력’이 세계 인구를 조절하기
위해
비행기에 독극물을 실어 하늘에 구름 모양으로 퍼뜨린다는 음모론이 떠돌아다녔다. 화학물질로 이뤄진 비행기구름(콘트레일)이라는 뜻의 ‘켐트레일’이다.음모론에 따르면 이 살인구름은 시골보다는 ... ...
[Origin] 평범한 발상, 비범한 과학자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1701
복학한 뒤, 미국사 전공으로 학부 졸업장을 받았다. 목표대로 사회 정의를 실현하기
위해
로스쿨에 지원했다. 정신 병력 탓에 다 떨어졌다. 실업자가 된 그는 초등학교 생물학 교과서에 들어갈 동물 그림을 그리는 자리에 취직했다. 회사에서는 생물학에 무지한 트리버스에게 선생님을 한 명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수달연구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1
통로를 따로 마련해 주는 것이 중요해요. 또 수달이 그물 안에 갇혀 익사하는 것을 막기
위해
그물에 가로 세로 길이가 8.5cm 정도인 격자를 설치하는 방법도 있지요.” 끝으로 김형후 연구원님은 “강 주변에서 다친 수달을 본다면 한국수달연구센터에 신고해 달라”고 부탁하셨어요. 신현희 기자는 ... ...
[페르미 추정] 잘 쓰면 과학자 못 쓰면 사기꾼
수학동아
l
201701
물질의 물리 현상을 다루는 유체역학에서 기본이 되는 수다.유체의 성질을 예측하기
위해
레이놀즈 수의 값을 정확히 알 필요는 없다. 1보다 큰지 작은지만 알면 충분하다. 그래서 물리학자는 레이놀즈 수를 구할 때 유체의 속도와 점성 등을 근삿값으로 계산한다. 만약 유체의 속도가 0.2345m/s라면 0.2 ... ...
Intro. 수학이 그린 망원경 속 우주
수학동아
l
201701
기록해서 분석할 수 없다면 아무 것도 알아낼 수 없다. 인류는 이 신호를 관측하기
위해
망원경을 만들었다. 이후에 사진술이 나오면서 객관적으로 기록까지 할 수 있게 됐다. 이는 혁명이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수학이 그린 망원경 속 우주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