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근
이웃
주변
인근
주위
언저리
인접
d라이브러리
"
근처
"(으)로 총 2,14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6호
결빙방지단백질을 찾는 데 성공했어요. 극지연구소 김학준 박사팀은 북극 다산기지
근처
의 쌍둥이 호수의 얼음 속에서 새로운 북극 효모(Leucosporidiumsp.)를 발견했어요. 이 효모는 영하 40℃인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결빙방지단백질을 분비하지요. 연구팀은 이 단백질을 따로 추출해 3차원 구조로 ... ...
Part 2. 폭염, 강해진 이유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5호
있지요.블로킹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제트기류에 대해 알아야 해요. 북극
근처
에서 지구를 뱅글뱅글 도는 바람인 제트기류는 북극과 적도의 큰 온도 차이 때문에 생겨요.그런데 만약 북극이 뜨거워지면 어떻게 될까요? 북극과 적도의 온도 차이가 점점 줄어들면서 제트기류도 힘이 점점 ... ...
[헷갈린 과학] 갑옷을 입은 포유류 아르마딜로 VS 천산갑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4호
천산갑은 무기를 하나 더 갖고 있어요. 바로 ‘냄새’예요. 마치 스컹크처럼 항문
근처
에 있는 분비선에서 지독한 냄새가 나는 물질을 뿜어내 자신을 보호한답니다 ... ...
Part 3. [미션 1] 코로나의 수수께끼를 풀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해도 지구보다 큰데다 핵폭탄 폭발과 맞먹는 위력이에요. 그래서 폭발할 때마다
근처
태양 대기의 온도가 1100만℃까지 올라가지요. ➊ 태양의 대류층에서 플라스마 입자들이 움직이면서 만든 파동이 코로나에 열을 전달하는 모습.➋ 수많은 나노플레어가 폭발하면서 생긴 열이 코로나로 모이는 ... ...
[공룡은 왜?] 빨간색으로 신호를 보낸다?! 검룡류 골판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3호
때문이에요. 스테고사우루스의 몸을 보호하려면 골판은 내장기관들이 모여 있는 갈비뼈
근처
나 몸 아래쪽을 감싸고 있어야 해요. 하지만 스테고사우루스의 골판은 등에 붙은 채 하늘을 향해 나 있지요. 따라서 천적들의 공격에 몸통을 전혀 방어를 할 수가 없다는 결론이 내려졌어요.과학자들이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부모님을 구출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얼른 하천을 건너 부모님께로 뛰어가 묶인 손을 풀어 드렸어요.“어떻게 된 거예요?”“
근처
에서 오 박사를 기다리다가 바나나 나무가 있기에 몇 개 따 먹었단다. 그런데 주민들이 갑자기 나타나 화를 내더니 여기 묶더라고. 이런 오지에도 바나나 주인이 있을지 누가 알았겠니! 하핫!”시원이 ... ...
[과학뉴스] “목 말라요” 식물 대신 말해주는 센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데 지장이 생긴다. 연구팀은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해 잉크를 만들었다. 이 잉크를 기공
근처
에 바르면 전류가 흐르는 전자회로를 만들 수 있다. 연구팀은 기공이 닫힐 때마다 전류가 흐르고 기공이 열리면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만들어, 식물 기공이 제대로 작동하는지 알아보는 센서를 만들었다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다른 생명체의 먹이가 될 수 있다. 그래서 황화수소가 뿜어져 나오는 열수분출공
근처
의 관벌레가 박테리아와 공생하는 것이다. 유황불이 곳곳에서 타오르는 환경에서는 특수한 단백질 구조를 발달시켜야 하겠지만, 불가능하지 않다는 사실은 이미 알고있다. 박테리아, 그리고 박테리아로부터 ... ...
Part 1. [변신 1단계] 남아프리카에서 전세계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달리 하얀 과육이 특징이다.시트룰러스 라나투스는 기원전 2000년쯤, 고대 이집트 나일강
근처
에서 최초로 재배됐을 거라 추정돼요. 그 뒤 7세기에 인도, 10~11세기엔 중국을 거치며 전세계의 인기 식품으로 자리잡기 시작했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3세기, 고려시대 개성에 처음 재배된 것이 ... ...
[시사기획] 北 생화학 무기 개발,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가지 추측이 나왔다. 그 중 가장 유력한 가설은 아이티에 파견된 네팔 평화유지군이 강
근처
에 버린 폐기물로 인해 콜레라균이 퍼졌다는 것이다. 2009년 네팔에서 유행한 콜레라와 아이티에서 발견된 콜레라의 유전자가 일치했기 때문이다. 유엔은 이 사실을 인정하지 않다가 지난해 처음으로 “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