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씨
일기
기후
일기상태
상등
인상
상승
d라이브러리
"
기상
"(으)로 총 1,429건 검색되었습니다.
[정보] 교과서만 있으면, ‘확률’은 문제없어!
수학동아
l
2012년 10호
진행했고요.기업들의 이러한 마케팅은 확률 덕분에 가능합니다. 선수들의 지난 기록이나
기상
청에서 발표한 최근 몇 년간의 날씨 정보를 바탕으로, ‘사건이 일어날 확률’을 계산해 이벤트를 진행하거든요.실제로 손연재 선수의 지난 경기 성적을 모아 ‘메달을 딸 확률’을 계산해 본 결과, 그 ... ...
Part 1. 미래 전장에 뛰어들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길이의 날개는 스텔스 설계 덕분에 적 레이더에 보이지 않는다. 또 자동항법장치로 온갖
기상
악조건 속에서도 목표지점까지 정확하게 도달할 수 있다. 40km를 활강해 적의 대공방어망을 유유히 통과한 우리 팀은 일제히 낙하산을 펼쳤다.발 아래 저 멀리 성냥갑만 한 크기로 2층짜리 시멘트건물이 ... ...
오늘의 날씨를 말씀드리겠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과동이: 지난 여름 태풍이 지나가는 걸 보니 예보를 잘 보고 대비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런데 태풍이 우리나라에 오기 전에 아예 없애버릴 수는 없을까요?쌤: 과동이 말처럼 태풍을 없애려는 연구도 있었어요. 몇가지 방법이 있는데, 60~70년대에는 태풍 위에 ‘구름씨(빙정핵)’를 뿌리는 ... ...
'녹조라떼'위기! 4대강이 원인일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이번 여름 반복된 가뭄과 폭염이 녹조현상의 진짜 원인이 아닐 수 있다. 김 교수는 “
기상
청 자료에 따르면 7월 상순에서 중순까지 강수량은 평년 대비 138% 증가해 하천 유량이 오히려 늘었다”며 “가뭄은 원인이 아니다”고 말했다. 다만 폭염은 가능성이 있다. 김 교수는 “7월 평균기온은 ... ...
[knowledge]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9호
데 도움이 되기 때문입니다. 털은 치명적일 수도 있는 자외선과 주변의 나뭇가지,
기상
현상 등으로부터 몸을 보호합니다. 또 체온을 일정하게 유지시켜 줍니다. 이로써 주위 온도에 구애 받을 필요가 없이 훨씬 다양한 환경에서 살아남을 수 있습니다.그런데 인류의 피부는 아주 이상합니다. 털로 ... ...
PART 1. 한국이 금메달 따는 날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어떤 것이 있을까.가장 먼저 날씨다. 양궁 경기는 과녁이 바람에 날아가지 않는 한
기상
악화로 경기가 취소되는 법이 없다. 양팀 모두에게 똑같이 불리하기 때문이다. 비와 바람은 화살이 날아가는 궤적을 바꾼다. 비는 활시위를 놓는 궁사의 손을 미끄럽게 만들고, 바람은 선수의 자세와 무게중심을 ... ...
중국이 이모작하면 한국엔 더 센 장마 온다
과학동아
l
2012년 08호
한 주요 원인의 하나인 것은 분명하다.우리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일부 정리해서 ‘미국
기상
학회지’에 제출했고, 올해 7월에 발표됐다. 다른 학술지인 ‘네이처 지오사이언스’도 지난 5월호에 우리 연구를 주목할 만한 연구로 소개했다.장마보다 더 무서운 녀석이 온다최근 여러 중국학자가 ... ...
우산 장수 '오날도 비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한번 볼까?”비오라는 오늘 아침에도 TV를 켜고 일기예보를 봤다.“안녕하세요? 신입
기상
캐스터 썰렁홈즈입니다. 오늘은 비가 오다가 눈이 오다가 맑고 덥겠습니다.”반바지에 겨울용 외투를 입고 날씨를 설명하는 썰렁홈즈! 옷을 보니 그렇기도 하겠네….일러스트 : ... ...
Part 1. 6가지 가정으로 예측해 보는 ‘만약에 지구가’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점토층을 모두 뚫고 지하로 스며든다면 낯선 풍경이 펼쳐진다. 대기는 건조해지고
기상
현상도 사라진다. 지표의 모든 풍화 작용이 멈춰 화성처럼 과거의 지형이 고스란히 남을 것이다. 수증기가 사라지므로 온실효과가 줄어들어 평균온도는 떨어진다.해양지각은 대륙지각보다 얇기에 만약 물이 ... ...
Part 2. 바닷속 소용돌이 에디(EDDY)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밀도의 차이를 만든다. 반경 100km 크기를 감안해 볼 때 수온과 밀도의 차이는 국지적인
기상
현상을 만든다. 소용돌이가 지닌 에너지가 주변 해류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에디 때문에 생태계도 달라진다. 소용돌이 내부의 바닷물에 식물이나 동물 플랑크톤이 부족한 상태로 1~2년간 고립된 채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