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변
대소변
사고
재앙
난리
변두리
근교
d라이브러리
"
변
"(으)로 총 867건 검색되었습니다.
직각삼각형의 비밀, 피타고라스의 정리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미분기하 등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기초적인 원리로 쓰인다. 단순히 직각삼각형에서의
변
의 길이를 구하는 것을 넘어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수학의 여러 분야에서 기본 원리 역할을 하는 셈이다.피타고라스가 처음은 아니다 피타고라스는 기원전 500년경에 살았던 고대 그리스의 수학자다. 케옵스 ... ...
아핀
변
환으로 해석한 핀치 부리의 진화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지지하지 않는다. 이들은 불연속적인
변
이가 자연스러운 것이며 돌연
변
이(또는 갑작스런
변
화)가 일어나 새로운 유형이 언제라도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
홍제천에 도롱뇽이 나타났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마포구에 걸쳐 흐르는 하천이지요. 마포구청에서 주민 제보를 받고 확인한 결과 홍제천
변
습지에 도롱뇽 2마리가 알을 낳고 서식하는 것을 확인했답니다. 서울시 보호야생동물인 도롱뇽은 몸길이가 10cm 안팎으로, 몸은 어두운 갈색 바탕에 둥근 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이에요. 주로 깨끗하고 ... ...
PART 1 수학으로 본 우리 유산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이렇게 나오는 정사각형들은 점점 작아지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해. 각 정사각형의 한
변
을 반지름으로 하는 원을 그려 봐. 그러면 아름다운 ‘황금나선’이 나와.황금나선은 나팔꽃의 가지가 뻗어가는 모습이나 숫양의 뿔과 같이 다양한 자연 속에서 발견할 수 있어. 무량수전은 자연의 모습을 ... ...
앵무새의 정리
수학동아
l
2010년 08호
그러면 꼭지점에서 아래로 그은 수직선이 땅과 만나는 지점으로부터 피라미드의 한
변
까지의 거리를 쉽게 잴 수 있습니다. 아, 그런데 만약 이때가 막대의 실제 길이와 그림자의 길이가 같은 때가 아니라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간단합니다. 비례식을 이용하면 되지요.평균에도 종류가 있다고 ... ...
빙빙 돌며 중력과 싸우는 인공위성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되어 있다. 원심력과 중력을 양
변
에 놓고 식을 정리해 보자.중력상수와 지구의 질량은
변
하지 않는 값이므로 인공위성의 속력의 제곱은 지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반비례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쉽게 이야기하면 지구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멀수록 인공위성의 속력이 작아진다는 것이다. ... ...
지구를 탈출하는 꿈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움직이는 데 드는 에너지보다 커야 한다. 두 식을 나란히 놓고 속력을 구해 보자.양
변
을 물체의 질량으로 나누고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제곱근을 구하면 속력은 약 11.2km/s가 된다. 즉, 11.2km/s보다 빠르게 쏘면 지구 중력을 벗어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 속도를 탈출속도라고 한다.쥘 베른은 ... ...
점과 선의 그림, 그래프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따라 도시를 단 한 번만 지나는 여행 코스가 있는지 알아 내는 문제를 냈다. 이 문제는
변
을 한 번만 지나는 한붓그리기와 달리 점을 한 번씩 지나는 문제다. 해밀턴의 문제 역시 정십이면체의 20개의 꼭짓점과 30개의 모서리를 점과 선으로 바꿔 그래프로 그린 뒤 해결할 수 있다. 이처럼 점을 한 번만 ... ...
토네이도가 온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그림과 같이 작은 정삼각형의 한
변
에 같은 크기의 정삼각형을 거꾸로 그리고 다시 한
변
의 길이가 $\frac{1}{2}$인 정삼각형을 그린다. 이 과정을 반복해 그린 뒤 세 가지의 색을 선택해 칠하면 바람개비 모양의 아름다운 나선이 생긴다. 이 모양은 2002년 한일월드컵 공인구인 피버노바의 불꽃 무늬를 ... ...
원 속에 파이 있다?!
수학동아
l
2010년 07호
수 있습니다. 이 단원에선 원뿐만 아니라 삼각형, 사각형과 함께 학습하면서 꼭짓점과
변
의 수에 대해 학습합니다. 원은 평면도형입니다. 본 교과서 내용에서도‘나’를 찾아보는 활동으로 도형 이름을 맞추기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원은 왜 삼각형이 될 수 없는지, 사각형이 원이 되기 위해서는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