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축우
소의한식
한식
좀도둑
좀도적
소모적
사우
d라이브러리
"
소
"(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공항에서
소
시지를 빼앗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이용해 바이러스를 제거하는
소
독기를 거치자는 것이다.
소
지품과 옷가지도 자외선
소
독기에서 멸균한다. 지금은 원하는 축산업자만 대상이지만 이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현재 국회에 제출돼 있다.이규영 검역관은 “여행객들이 ‘나 하나쯤’ 하며 검역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하면 수만 마리의
소
, ... ...
태양광으로 힘 얻는 말벌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흡수하는 역할을 했다. 플로트킨 교수는 “노란줄무늬에 있는 ‘잔
소
프테린’이라는 색
소
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처럼 빛을 전기에너지로 바꾼다”며 “보통 말벌은 이른 아침에 가장 활발히 움직이지만 황말벌은 낮에 가장 활발히 움직이는 것도 그런 이유일 것”이라고 밝혔다 ... ...
뜨거운 대지에서 순박한 아픔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MBC 다큐멘터리 아프리카의 눈물이 지난해 12월 3일 프롤로그를 시작으로 12월 10일 1부 오모계곡의 붉은 바람을 방영했다. 1월에는 2부 ‘사하라의 묵시 ... 만큼 도시에는 빈민이 늘어나고, 부족들의 터전은 줄어든다. 우리를 향해 순박한 미
소
를 보내던 그들은 앞으로 어떻게 살아가야 할까. ... ...
매력이 주렁주렁 호박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1호
난 밤과 비슷한 맛이 난다고 해서 밤호박이라고도 불려. 달콤하고 담백해서 남녀노
소
모두 날 좋아하지. 그리고 식이섬유와 미네랄, 비타민 등이 많이 들어 있어서 변비에도 효과 만점! 모두들 내 매력에 빠져 보렴~. 부드럽고 담백한 ‘애호박’응애~! 저는 덜 자란 어린 호박, 애호박이에요. 담백한 ... ...
사라진 귀신고래를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8호
: 예전에는 울산 앞바다에서 귀신고래를 자주 볼 수 있었어요. 조개가 많은 섬과
소
금을 만드는 염전이 있어서 귀신고래의 먹이가 풍부했기 때문이죠. 하지만 지금 우리나라에서 귀신고래는 멸종위기에 처해 있어요. 사람들이 무분별하게 고래를 많이 잡은데다 귀신고래가 번식을 잘하지 않는 특성 ... ...
곰팡이에 대한 오해와진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4호
되는 성분만 뽑아낸 것이기 때문이지요.곰팡이가 음식을
소
화하면서 건강에 해로운 독
소
를 만들기도 하기 때문에 곰팡이가 핀 음식을 먹으면 배탈이 나거나 건강에 나쁜영향을 줄 수도 있답니다.우주로 간 곰팡이붉은빵곰팡이가 곰팡이계의 대표 우주인이에요. 우주에서 자고 깨어나는 주기인 ... ...
비계로 바이오연료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3호
버려지던 돼지 비계,
소
비계를 이용해 바이오연료를 만드는 기술이 개발됐어요. 농촌진흥청은 비계를 석유의 하나인 경유와 섞은 ‘동물성 바이오연료’을 ... 기름 20만 톤을 바이오연료로 활용하면 매년 1260억 원의 석유를 줄이고, 914억 원의 이산화탄
소
를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답니다 ... ...
우리나라를 아는 힘, 인구주택총조사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연령중위수)는 모든 인구를 나이순으로 줄 세웠을 때 가운데 사람의 나이에 해당한다.
소
수점 첫째 자리까지 정확한 중간나이를 알려면 복잡한 계산이 필요하다. 2005년 조사 때 중간나이는 35.0세였다. 아직 결과가 나오진 않았지만 올해는 38.0세, 2020년에는 43.8세로 크게 높아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
지오의 나라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흉흉한
소
문이라고? 이번엔 또 무슨 일이 생긴 거야?’공주의 말에 지오는 가슴부터 철렁했다. 쇳물 사건과 십이지 시계를 만드는 일로 이미 연월기 작업이 많이 늦어지고 있었 ... 믿기지 않는 말을 한 건 그때였다.“해는 정말 사라질 것이다. 해가 사라질 거란 말은 헛
소
문이 아니야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한의학의 치료 효과에 대해 검증을 요구하지 않는다. 그 결과 한의사는
소
위 ‘비방’이라는 치료법을 충분한 임상 테스트도 거치지 않은 채 곧바로 환자에게 적용할 수있다. 환자로서는 검증되지 않은 치료법에 돈과 시간을 낭비하는 셈이다. 상식적인 지식과 대치되는 주장도 한의학의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