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재
짐싣기
하역
하중
하물
집적
d라이브러리
"
탑재
"(으)로 총 811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 날씨에 영향 미치는 폭풍우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테이블을 만들고, 그 위에 정밀한 가속도계를 장치하여 이 장치를 로켓 또는 항공기에
탑재
한다손·발·허리 등 운동기(運動器)의 통증·운동장애의 총칭 원인은 불명이며 임상상(臨床像)도 복잡다양하다그래서 분류법도 나라마다 다르고 개념도 통일되어 있지 않다관절 류머티즘이 독일식 병명 ... ...
3. 달려라 달려, 무적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2단은 고체로켓). 한국 최초의 위성 발사체. 과학기술위성 2호(100kg급 소형위성)를
탑재
하고 전남 고흥 외나로도 우주센터에서 발사 예정.2007년 이후 개발 계획장거리 대잠 어뢰개발 2007년 예정용도 20km 이상 떨어진 적의 잠수함 공격.특징 한국형구축함(KDX-2)에 장착. 추진체 앞에는 경어뢰인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위력까지 더할 수 있었다.경량형 대포의 가장 큰 장점은 무게가 가벼워 소형 함선에
탑재
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특히 해상전투에서 몰려오는 적함에 대응하는데 진가를 발휘했을 것이다.권위에 굴하지 않은 창조성그런데 르네상스 미술의 거장 레오나르도가 전쟁무기 설계와 제작에서 천재적인 ... ...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중력 이야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뒤바뀔 수 있다.예를 들어 고도 2만km에서 시속 1만4000km로 원운동을 하는 인공위성에
탑재
된 시계는 지상의 시계보다 약한 중력을 느끼므로 하루에 45μs 정도 빨리 간다. 물론 움직이는 시계가 천천히 가는 시간지연 효과도 감안해야 한다. 이 효과로 인공위성의 시계는 하루에 7μs 정도 늦어진다. 이 ... ...
2007년 부활하는 화성생명체 탐사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이란 애칭의 실험 장비를 12년이나 들여 개발했다. 그런데 예산이 삭감되면서 바이킹의
탑재
물에서 제외되고 말았다. 비쉬니악은 화성과 기후 조건이 비슷한 남극의 건조한 계곡에서 자신의 ‘덫’을 실험해 보기로 작정했다. 그러나 1973년 실험 장비를 회수하러 남극으로 갔던 비쉬니악은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대항하여 방해전파를 띄우는 ECM(Electronic Counter Measure)장치와 이에 대항한 ECCM장치 등을
탑재
한다(ECCM에 대항하는 ECCCM도 있다) 함교에 있는 잠망경은 비상시를 대비해 2개를 장비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경우 하나는 공격용, 나머지는 탐색용으로 사용한다 잠망경은 물속에 있는 잠수함에서 물 위의 ... ...
제2의 대포동 쇼크의 진실은?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장거리 미사일을 완벽하게 방어할 능력을 갖추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앞으로는 항공기
탑재
레이저(ABL)나 우주기반 레이저(SBL)를 개발해 가속구간에서 적의 탄도탄을 파괴할 계획이다. 완전한 미사일방어체계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10년 이상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 주요국의 미사일 ... ...
중국 싼샤댐
과학동아
l
2006년 06호
이루어지며 성형한 후 고온처리를 한 것항공기가 주어진 조건하에서 이륙 순간부터
탑재
된 연료를 전부 사용할 때까지의 비행거리물체의 회전운동의 세기를 나타내는 양으로 회전체 각부분의 운동량(질량과 속도를 곱한 양)과 회전축으로부터의 거리를 곱한 것마이크로파 영역의 전자기파를 발진, ... ...
태권V 광자력 빔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약 17톤이다. 큰 몸체를 자유롭게 움직여야 하는 무게 1400톤의 태권V도 레이저 시스템을
탑재
하는 것이 쉽지 않아 보인다. 영화 속의 태권V는 움직이면서, 심지어는 날아다니면서도 레이저를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대안이 한가지 있다. 많은 양의 에너지를 만들어야 하는 크고 무거운 레이저 ... ...
기획3. 대형망원경 기술로 핵융합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어떻게 태어났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특별히 1호기에는 적응광학이 적용된 적외선장비가
탑재
될 계획이다. 별들은 은하를 이루고, 은하도 모여 우주의 거대구조를 형성한다. 현대우주론의 최대의 수수께끼는 바로 우주가 무엇으로 이뤄져 있는가 하는 문제다. 우리 우주를 이루고 있는 95%의 물질과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