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오직
뉴스
"
다만
"(으)로 총 4,840건 검색되었습니다.
1년만의 규제 해제, 종이 빨대는 어떻게 될까
과학동아
l
2024.01.06
발생량 중에서 플라스틱 빨대로 대표되는 생활계 폐기물의 양은 무시할 수 없는 정도다.
다만
플라스틱 빨대의 대체재로 꼽히는 종이 빨대나 생분해성 플라스틱 빨대가 정말 환경에 좋은지는 폭 넓은 분석이 필요하다. 정책 방향을 정하기 전 이 같은 과학적 검증과정이 선행됐어야 했다. 결국 ... ...
항생제 내성 '슈퍼박테리아'와의 전쟁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5
소액 규모의 기획 과제가 진행되며 내년부터 본격적인 연구에 착수할 예정이다.
다만
예산은 넉넉하지 않은 형편이다. 2024년도 국가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으로 국립감염병연구소의 항생제 내성균 과제 규모는 지난해 예산에서 덩치를 키우지 못했다. 새로운 기획 과제의 경우 고(故) 이건희 ... ...
3cm 플랑크톤, 5억년 전 바다 '최상위 포식자'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쉽게 볼 수 있는 동물 플랑크톤이다. 그동안 진화 과정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3cm 미만인 현재 크기로 비춰볼 때 미세 플랑크톤을 잡아 먹는 하위 포식자였을 것으로 추정됐다. 북극에서 발견된 거대 원시 화살벌레 화석 내부에는 다른 절지동물의 파편 화석이 있었다. 이를 근거로 연구팀은 ... ...
그래핀으로 반도체다운 반도체 첫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1.04
지금까지 그래핀에서 관찰됐던 것 중 가장 큰 값의 밴드갭을 관찰하는 데 성공했다.
다만
국내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 결과가 그래핀 본연의 특성을 열화시킨 상태에서 나온 만큼 실제로 '그래핀 반도체' 개발로 이어질지에 대해선 선을 그었다. 월터 드 미국 조지아공대 교수 연구팀은 탄화규소 ... ...
제주 바다에서 상반기 우주발사체 또 날아오른다
연합뉴스
l
2024.01.03
이 발사체는 액체 메테인을 연료로 쓰며 인공위성을 탑재할 수 있는 2단 추진체다.
다만
이번에는 시험 발사로 인공위성을 탑재하지 않는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는 앞서 2021년 제주시 한경면 용수리 해안가에서 과학로켓 '블루 웨일0.1'을 3회 시험 발사했다.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음력설’은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다
2024.01.03
것이 그레고리력의 가장 큰 장점이다. 1년 365일을 30일과 31일로 구성된 12달로 구분한다.
다만
2월은 28일로 하고 4년마다 2월에 윤일을 둔다. 장기적으로 태양의 공전주기를 맞추기 위해서 100으로는 나누어지지만, 400으로는 나누어지지 않는 해에는 윤일을 두지 않는다. 그래서 그레고리력의 1년은 ... ...
나무로 만든 세계 첫 풍력 발전 터빈…에너지 생산에 탄소 흡수까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1.01
대량 발생한다. 강철을 나무로 대체하면 그만큼 이산화탄소 발생량을 낮출 수 있다.
다만
타워에 쓰이는 목재가 나무 자체로 있을 때 흡수하는 이산화탄소 양을 고려했을 때 과연 친환경적이냐는 지적도 나온다. 하지만 모드비온은 목재 터빈 타워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강철에 비해 약 90% 적은 ... ...
새해 첫날 해돋이 볼 수 있을까? 올해 마지막 날은 대체로 눈·비
동아사이언스
l
2023.12.28
주의가 필요한 시기"라고 말했다. 내년 1월 1일부터는 전국이 맑을 것으로 전망됐다.
다만
고기압 가장자리에 드는 동해안과 제주도에는 해수면과 대기의 온도 차 때문에 눈구름대가 만들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동해안에는 너울이 유입돼 방파제나 해안도로를 넘을 정도로 높은 물결이 밀려올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개에게 건포도를 주면 안 되는 이유
2023.12.27
대비한다. 그런데 테트로도톡신 역시 나트륨 통로 단백질에 달라붙어 작용한다.
다만
포유류와 조류의 단백질의 특정 부위를 표적으로 삼고 무척추동물이나 어류의 단백질에는 붙지 않는다. 천연물의 독성은 내재적 속성이 아니라 대상에 따라 달라지는 상대적인 속성이라는 말이다. 동물은 ... ...
얇은 필름 쌓은 '풍선 실험실'로, 우주 감마선 정밀 포착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3.12.27
해, 감마선 분석으로 블랙홀의 원리 등을 찾으려는 시도가 이어지고 있다.
다만
감마선은 전자기파 스펙트럼 중에서 가장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어 파장이 매우 짧다. 워낙 짧은 파장이어서 직접 관찰하기 힘들기 때문에 천문물리학계는 감마선을 측정하기 위한 특수장비를 개발하는 등 보다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