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짐승
동물체
축생
생물
사람
피부양자
동물기관
뉴스
"
동물
"(으)로 총 5,823건 검색되었습니다.
벌새 뇌 속엔 3D 지도…빠르게 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벌새가 꽃의 꿀을 빨아먹고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1초에 최대 90번의 날갯짓을 하는 벌새는 시속 90km의 속도로 비행한다. 벌새가 이토록 빠르게 움직 ... 또 이같은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것은
동물
에게 해가 되는 행동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동물
복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자율주행 차량 위한 '하이브리드 시각 시스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도로의 상황은 예측불허하다. 다른 차량이 갑자기 끼어들 수 있으며 때로는 행인이나
동물
이 도로에 뛰어들기도 한다. 돌발적인 도로 환경 변화에 발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는 안전한 자율주행차를 만드는 데 필요한 도전과제였다. 고성능의 이미지 센서를 구현하는 것이 어려운 ... ...
물 분해로 암세포 사멸 유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가능성이 높다"고 설명했다. UNIST 기술창업기업 오투메디는 이 연구를 기반으로 췌장암
동물
실험 모델에서 효과적으로 종양을 제거하는 결과를 검증하는 등 전임상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 ...
인체 내부서 완벽하게 성장하는 이식용 피부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이 기술은 피부 세포 조직에만 접근하기 때문에 의료용 장기를 생산하기 위해 인간과
동물
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윤리적 우려를 피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
하늘 위의 포식자 독수리 눈 닮은 카메라…"자외선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기능을 모방한 물체 감지 특화 카메라를 개발했다고 30일 밝혔다. IBS 제공 IBS 제공
동물
의 눈은 서식지와 생존환경에 맞게 최적화돼 있다. 독수리와 같은 조류의 눈은 높은 나무 위에서 서식하는 생존환경에 맞춰 망막에 깊고 좁은 모양의 함몰부위인 '중심와'가 존재하도록 진화했다. 깊고 좁은 ... ...
세계 곳곳서 죽어가는 성게들…"폐사 속도, 위협적"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앙상해져 분석하기 어려운 상태가 된다. 연구팀은 카리브해부터 홍해에 걸쳐 단세포
동물
인 ‘스쿠티카총’을 발견했고 해당 지역에서 성게 대량 폐사 기록을 확인했다. 성게의 폐사를 일으킨 병원충이 스쿠티카충이라는 것이다. 상어, 갑각류 등에서 과거 질병을 일으킨 이력이 있는 병원체다. ... ...
[사이언스게시판] 기초과학연구원 고교생 뇌과학 캠프(HiBST) 참가자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28
뇌과학 캠프(HiBST)'를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HiBST는 분자생물학·전기생리학·광유전학·
동물
행동학 등 다양한 뇌과학 분야 이론과 실험·세미나·랩미팅·저널클럽 등 실제 연구 과정 전반을 체험하는 프로그램으로 구성됐다. 이번 캠프는 전국 고등학생 대상으로 12명을 선발한다. 참가비는 무료다. ... ...
"미가공 우유 섭취 안돼"…조류독감 감염 위험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5.26
조류의 먹이가 된다는 점에서 연구팀은 조류독감에 감염되는 쥐들이 늘어날 경우 다른
동물
들의 감염 가능성 또한 높아질 것으로 보고 있다. 사람에게 미칠 영향은 상대적으로 불분명하다. 지난 22일 미국질병통제예방센터(CDC)는 축산업 종사자 한 명의 눈에서 H5N1 양성 반응을 확인하며 2번째 ... ...
[과학사극장] 파블로프는 개 실험에 종소리를 쓰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24.05.25
불리는 현상을 발견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알려진 것과 다르게 파블로프는 개를 실험
동물
로 사용했지만 개를 훈련하는 데에는 일절 관심이 없었다. 더군다나 실험에서 종소리를 사용하는 일 또한 없다시피 했다. 그는 실험 도중 외부의 미세한 자극도 개의 행동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발견하고 ... ...
까마귀, 소리 내어 숫자 '30'까지 셀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24
청각적 신호에 반응해 발성의 수를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다른
동물
들에게는 아직 관찰되지 않는 정도의 지적 능력이다. 분석 결과 까마귀들은 숫자를 세는 발성을 시작하기 전에 발성 횟수를 계획하는 모습을 보였다. 수 체계를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