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실
손실
도난
유실
뉴스
"
상실
"(으)로 총 53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준식 출제위원장 “오류 재발 방지… 문항점검위 첫 가동”
동아일보
l
2015.11.13
조정은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현 수능이 너무 쉬워 변별력을
상실
했다는 지적이 많다. “만점자 비율이나 1등급 비율 등 최상위권 학생들에게만 적용되는 기준으로 난이도를 조정하는 것은 교육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 지난해 수능, 그리고 올해 두 번의 모의평가 난이도 ... ...
만능줄기세포 결정 칼날 쥔 리보솜
2015.10.12
감소하면 배아줄기세포의 만능 기능(전분화능) 유지를 돕는 단백질의 양이 줄어 기능을
상실
하고, 다른 세포로 재빨리 분화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 기초과학연구원 제공 ... ...
신토불이 과학연구 노벨상 거머쥐다!
2015.10.06
가난한 나라 사람들 수천만 명이 혜택을 누렸고(1년에 한 두 알만 먹으면 된다!) 시각
상실
을 숙명처럼 기다려온 삶이 완전히 바뀌었다. 현재 세계보건기구(WHO)는 2020년에는 림프사상충증을, 2025년에는 회선사상충증을 완전히 박멸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중국과학자 노벨상수상은 마오쩌둥 ... ...
수능 영어 1등급 23% 13만명 예상… 수학-탐구로 사교육 풍선효과 우려
동아일보
l
2015.10.02
넘게 돼 수도권 4년제 대학 전체 선발인원(13만5038명)에 육박하는 수준이어서 변별력을
상실
하게 된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은 낮아진 변별력 때문에 대학들이 입시에서 영어의 반영 비율을 줄이거나 수능 영어를 대체할 평가 수단을 강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영덕 대성학력개발연구소장은 ... ...
이과생, 국영수 만점 받아야 1등급… 2015년도 물수능 예고
동아일보
l
2015.09.24
사상 최고 비율을 기록했다. 지난해 수능에서도 수학B는 만점자가 4.3%나 쏟아져 변별력
상실
논란이 일었다. 게다가 6월에 치러진 모의평가는 만점자가 0.98%에 불과할 정도로 적었던 점을 고려하면 본 수능의 난이도를 추측하기 어렵다. 문과생들이 응시하는 수학A는 만점자가 1.17%로 6월 모의평가(1.55 ... ...
“국내 간암 사망률 OECD 1위… B형 간염 적극적인 조기 치료를”
동아일보
l
2015.09.09
간염 바이러스 증식을 억제하여 염증을 완화시키고 섬유화를 방지하여 간경변, 간기능
상실
혹은 간세포암종으로의 진행을 예방함으로써 간질환에 의한 사망률을 낮추고 생존율을 높이는 데에 있다. 특히 B형 간염은 바이러스 돌연변이와 약제의 한계 때문에 현재 완치가 되지 않아 평생 바이러스의 ... ...
1989년 버트 보겔스타인 교수의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5.09.06
조각이 떨어져나갈 수 있을뿐더러 다양한 위치에서 염기의 돌연변이가 일어나 기능을
상실
하거나 엉뚱한 작용을 하는 변형 p53 단백질이 만들어진다. 실제로 모든 암 가운데 절반 정도는 p53이 고장난 상태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한편 정상적인 p53 단백질도 외부 물질의 작용으로 기능을 하지 못할 ... ...
이별 후 상처, 여성이 더 크지만 회복도 빨라
2015.08.12
경우 이별 직후 상처는 덜하지만 시간이 지나 새로운 경쟁에 참여하려하면 옛 연애의
상실
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모리스 연구원은 “무기력증부터 심하면 자기 파괴적 행동까지 보이게 하는 이별후유증은 사람에 따라 짧게는 수주, 길게는 수개월까지 지속된다”며 ... ...
뇌과학으로 분석한 영화 ‘인사이드 아웃’
2015.07.17
않아 뇌 발달 과정을 거치면서 제대로 저장되지 못한다”면서 “이를 ‘아동기 기억
상실
’이라고 부른다”고 설명했다. 유년 시절의 잃어버린 기억을 성인이 된 뒤 되살릴 수 있을까. 김 교수는 “기억이 제대로 저장되지 못한 만큼 기억을 다시 살리기는 거의 불가능하다”면서 “설사 기억한다고 ... ...
실명 환자도 볼 수 있게 해주는 인공망막
2015.06.28
학술지 ‘안과학’ 2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했다. 아르구스Ⅱ는 후천적으로 시력을
상실
한 환자들의 시력 회복을 위해 마크 후마윤 남캘리포니아대 안과연구소 박사팀이 1991년 개발을 시작해 2006년 시제품을 완성했다. 이 장치는 눈에 착용하는 선글라스와 주머니에 넣을 수 있는 영상처리장치,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