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서
꼬투리
핑계
근본
원인
시비
뉴스
"
실마리
"(으)로 총 606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의 운명 결정짓는 ‘지문’을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7.10.09
기능을 규명하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이를 통해 향후 알츠하이머 등 뇌질환 치료
실마리
를 찾을 수 있으리란 전망을 내놨다. 또 가빈 켈시 영국 바브라함연구소 연구원은 단일세포분석과 다중세포분석을 동시에 활용하는 기술을 통해 후성유전학적으로 달라지는 세포의 운명을 알아낼 수 있다는 ... ...
생체 리듬의 비밀이 더 궁금하다면?...영상으로 풀어보는 생체 시계
동아사이언스
l
2017.10.02
이들 3명의 과학자는 누구나 느끼지만 이유는 알지 못 하던 이 생체 리듬의 비밀을 푸는
실마리
를 찾았습니다. 동아사이언스는 얼마 전 생체 리듬의 원리를 파헤치는 모션그래픽 영상을 제작한 바 있는데요. 보시면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을 받은 3명의 과학자들이 연구한 것이 무엇인지 감을 ... ...
2억 5000만 년 전 물고기는 이렇게 생겼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31
찾은 화석 연구를 통해 현대 어류의 조상을 밝히기 위한 진화적 수수께끼의
실마리
를 찾았다. 영국 옥스퍼드대 지구과학과 샘 길스 교수팀은 공룡이 처음 등장했던 약 2억 ~ 2억 5000만 년 전 트라이기(Triassic)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어류 화석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분석, 얼굴과 크기까지 ... ...
멸종동물의 상징, 도도새의 성장 비밀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25
리포트'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풀리지 않았던 도도새의 생활사에 대한 과학적
실마리
가 처음 확인된 것이다. ● 순진무구한 도도새, 멸종의 상징이 되다 아프리카 동부 마다가스카르에서 약 900㎞ 떨어진 인도양의 모리셔스 섬은 도도새에게 천국과 같은 곳이었다. 땅위에 사는 포유류가 없는 ... ...
중국이 장악한 태양전지 시장…국내 기술로 넘어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25
찾아야 했다. 과학계는 기존 실리콘 태양전지가 아닌 다른 방식의 태양전지에서
실마리
를 찾고 있다. 실리콘 태양전지는 이론적 발전 효율이 26~27% 수준인데 3월 일본 화학기업 카네카가 26.3%의 효율을 내는 실리콘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사실상 기술이 완성된 셈이다. 실리콘 태양전지의 개선보다 ... ...
치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의 새로운 치료기전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8.01
제공 치매,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 치료의 새로운
실마리
가 풀렸다. 질환의 원인이 되는 비정상적인 단백질의 응집 현상 자체를 막을 수 있는 경로가 발견됐다. 김윤기 고려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세포 내 비정상 단백질이 응집체를 형성하는 경로를 최초로 규명했다고 1일 밝혔다. 사람의 ... ...
[8월 추천 과학체험] (1) 어벤져스 멘토들과 함께 하는 미래도시 메이킹 프로젝트
동아사이언스
l
2017.07.25
3. 내가 바로 미래 기술 전문가! 멘토에게 미래 기술을 배우고, 문제 해결의
실마리
를 찾기 Part 4. 10년 뒤 우리가 살 미래도시 제작하기 협업을 통한 도시 설계 및 제작 Part 5. 여기까지 왔는데 별구경도 안 하고 갈 수 있나 천체관측 및 천체 ... ...
[테마가 있는 영화] 가장 빛나는 데뷔작 ‘파수꾼’
2017.07.22
운영하는 가게의 문도 닫고 아들의 친구들을 일일이 찾아다니며 아들의 죽음과 관련된
실마리
를 모은다. ‘백키’라고 불리는 (백)희준은 고등학교에서 만난 동윤, 기태와 절친한 친구가 된다. 남자친구들과는 잘 지내지만 좋아하는 여학생 앞에서는 적극적으로 대시하지 못하는 숙맥. 어느 날, ... ...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②] 재정의되는 건 몰질량(M) 아니죠~ 물질량(㏖)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6
큰 차이가 나는 숫자다. 과학자들은 질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부터 문제의
실마리
를 풀기로 했다. 질량을 정확하게 정의하기 위해 이미 이미 키블 저울을 이용해 플랑크 상수를 측정하고 있다. 플랑크 상수를 정의하는 방법은 또 한 가지가 있는데 바로 ‘아보가드로 수’를 물리학 방정식에 넣어 ... ...
‘황금박쥐’가 멸종위기종이 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17.07.13
붉은박쥐가 중금속에 오염된 동굴에서 어떻게 살아갈 수 있는지 알려지지 않았는데 그
실마리
를 찾은 셈이다. 무엇보다 현재 멸종 위기에 놓인 이유를 게놈에서 찾을 수 있었다. 게놈에는 그동안 생물이 진화해 온 유전 정보의 변화가 기록돼 있다. 게놈에 담겨진 유전 정보가 다양할수록 개체 수가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