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뉴스
"
저자
"(으)로 총 2,10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덕환의 과학세상] ‘쉬운’ 과학용어보다 ‘익숙한’ 과학용어가 더 중요하다
2022.09.28
소설 《피네간의 경야(竟夜)》에서 빌려온 것이다. 본래 quark라는 단어의 의미는 물론
저자
가 의도했던 ‘콰크’라는 음운까지도 무시해버렸다. 그러나 그런 사실은 아무도 개의치 않는다. 과학용어에 대한 불필요한 논쟁은 의미가 없다. 새로운 우리말 과학용어에 반드시 적용해야만 하는 언어 ... ...
태양의 서커스인 줄…호주 거미, 기막힌 곡예로 개미 사냥
연합뉴스
l
2022.09.20
개미의 몸통 위로 몸을 홱 젖히는 곡예를 펼친 뒤 개미에 거미줄을 붙였다. 논문 공동
저자
인 마리 허버스타인 매쿼리대 행동생물학과 교수는 "이 거미는 마치 액션 영화의 스턴트맨 같다"면서 "스파이더맨처럼 거미줄을 뽑아서 개미가 떨어지기 전에 정확한 위치에 거미줄을 붙인다"고 말했다. ... ...
가축 '고급' 사료만 바꿔도 10억 인구 식량난 해결
연합뉴스
l
2022.09.20
공급량은 칼로리로 따질 때 6∼13%, 단백질은 9∼15% 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논문 제1
저자
인 쿰무 연구그룹의 박사후 연구원 빌마 산드스트룀은 "이런 수치는 대수롭지 않게 들릴 수도 있지만 최대 10억 명까지 먹여 살릴 수 있는 양"이라고 설명했다. 쿰무 연구그룹은 앞서 식량의 생산과 운송, ... ...
[과찬의말씀] 모더나 창업한 랭거 제자 "mRNA 기술 상용화 투자해야"
2022.09.19
지나가고 우리 인류는 이전과 전혀 다른 세상에서 살게 될 것이다.” 사피엔스의
저자
유발 하라리 교수의 말처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는 우리가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변화를 가져왔다. 그 중 가장 극적인 변화를 가져온 것은 코로나19 발생 1여년 만에 나타난 백신이었다. 그런데 ... ...
3억8천만년 전 심장 3D로 간직한 원시어류 '희귀' 화석 발굴
연합뉴스
l
2022.09.16
해부학적 변화를 들여다볼 수 있는 독특한 창을 제공해줬다고 평가했다. 논문 공동
저자
인 스웨덴 웁살라대학 고생물학자 페르 아흘베르크는 "현대 척추동물의 압도적 다수는 유악류에 속한다"면서 "무악류에서 유악류로 바뀐 것은 턱의 진화뿐만 아니라 위의 진화와 심장 위치 변화 등 다양한 ... ...
아기가 잠 안자고 울며 보챌 땐 안고 천천히 걷는 것이 최선
연합뉴스
l
2022.09.14
연구돼 있는데, 인간의 아기에게서도 비슷한 반응이 나타난다는 것이다. 논문 교신
저자
인 구로다 구미 박사는 "네 아이의 엄마이지만 이번 연구 결과에 매우 놀랐다"면서 "잠든 아이를 눕힐 때 깨는 것은 자세가 불편하거나 조심스럽게 다루지 못해서라고 생각했는데, 이런 일반적인 가설은 ... ...
불치의 '루게릭병', 진행 늦추는 획기적 '완화 치료' 개발
연합뉴스
l
2022.09.06
area)'까자 올라간 환자가 일부 나았다. 이러면 통증을 유발할 수 있다. 논문의 교신
저자
를 맡은 클라이브 스벤센 생물의학 교수는 "ALS의 진행 속도를 늦출 수 있는 치료법 개발에 다가선 것 같다"라고 말했다. 사실상 근본 치료가 불가능한 ALS이기 때문에 이 정도의 증상 완화 치료만 해도 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껌 씹기도 운동...덜 씹으면 살 찐다
2022.09.06
기준). 귀밑 턱에 손을 대고 이를 꽉 물면 불끈 솟아나는 근육이 바로 깨물근이다.
저자
들은 깨물근 바로 위 피부에 전극을 붙여 껌을 씹을 때 근육 활성을 측정하는 근전도검사를 실시했다. 그 결과 부드러운 껌을 씹을 때에 비해 딱딱한 껌을 씹을 때 신호가 더 컸다. 후자의 칼로리 소모량이 5% 더 ... ...
美 연구팀, 암 세포 퍼지는 새로운 경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6
진행해 암 세포가 더 부드러운 쪽으로 퍼질 수 있다는 점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제1
저자
로 연구에 참여한 박근영 맥닐바우어(지적재산권 전문로펌) 기술전문가는 “암이 어떻게 퍼지고 미래 암 치료법은 어떻게 개선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연구결과”라며 “암 세포가 퍼지는 ... ...
공룡 멸종 후 초기 포유류, 고작 4년 살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9.05
이 논문은 고생물학계 논란을 불렀고 4개월 만에 반박 논문이 나왔다. 반박 논문의
저자
인 제임스 나폴리 미국 자연사 박물관 박사과정 연구원은 7월 영국 뉴사이언티스트와의 인터뷰에서 "치아 측정값이 기존의 결과와 일치하지 않는다"며 "치아가 빠진 경우 소켓의 크기를 대신 측정했다"며 치아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