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신줄
케이블
전기선
제일선
전깃줄
선
와이어로프
뉴스
"
전선
"(으)로 총 575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타워즈 ‘에피소드4~6’ 다음 웹툰에서 연재하고 있는 홍작가
동아일보
l
2015.12.16
잘 난다. 주인공 중 한 명인 한 솔로의 밀레니엄 팔콘 호는 툭하면 여기저기 열리고
전선
다발이 쏟아져 나온다. 그런 복잡한 디테일을 어떻게 표현하나 고민에 빠졌다가 디즈니가 보내온 스타워즈 그래픽노블을 몇 권 보고 자신감을 찾았다. 미국 만화가들, 좀 심하게 대충 그렸더라. 하하.” ... ...
1m 거리 무선충전 기술 국내서 첫 개발
2015.12.11
전기를 쏘아 주는 송신기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자전거 주변을 살펴보니 정말
전선
이 하나도 없다. 그 대신 자전거 앞바퀴의 바퀴살 자리에 지름 35㎝짜리 플라스틱 원판이 박혀 있다. 원판 안에 구리 코일을 넣은 무선 수신기다. 조 연구원은 “1A(암페어)의 전류로 전기자전거를 완전히 ... ...
무선전력전송 기술 어디까지 왔나
2015.12.11
서울대공원을 순환하는 전기버스인 ‘코끼리 열차’에 적용했다. 온라인 전기자동차는
전선
이 매설된 도로 위를 달리면서 자동으로 차량에 전기를 공급받는 방식이어서 충전소가 필요 없다. 조 센터장은 “2010년 20㎝ 거리에서 최대 효율이 80% 정도였는데 지금은 85%까지 높였다”며 “무선 전력 ... ...
세상에 없는 장난감을 팝니다! ①
과학동아
l
2015.11.30
수 있기 때문입니다. 가령 천과 천 사이에 전류가 통하는 전도체를 한 겹 끼워 넣는다면
전선
없이 장난감 내부에 전기를 흘릴 수 있는 거죠. 내년쯤엔 이 기술로 스마트폰 케이스를 만들어 팔아봐야겠어요. ● 살아 있는 색칠 공부책 우리 어린이들 색칠 공부책 좋아하죠? 하긴 요즘은 ... ...
미래의 아이언맨 ‘철갑’ 벗고 ‘섬유’ 입는다
2015.11.06
만큼 성능이 뛰어나지만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시스템이 없어 로봇에 항상
전선
을 연결해 놓아야 한다. 하지만 아직까지 기술적으로는 금속 슈트나 소프트 엑소슈트 모두 미완성 상태여서 승자를 장담하긴 이르다. 국내 착용형 로봇 전문가인 장재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 ...
[토요판 커버스토리]하늘 위의 블루오션
동아일보
l
2015.11.02
허용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드론은 GPS로 자기 위치를 파악해 날아다닌다. 복잡한
전선
이나 튀어나온 입간판 등도 큰 위협이다. 이 때문에 현재는 서울시내 대부분 지역이 비행금지구역으로 지정돼 있다. 또 드론 자체를 고무 등 부드러운 소재로 만들어 충돌 시 위험을 최소화하려는 연구도 진행되고 ... ...
끈처럼 자유롭게 휘는 배터리 나왔다
동아일보
l
2015.10.21
손목 밴드형 와이어(Wire) 배터리를 최초로 공개했다. LG화학이 2013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전선
형태의 와이어 배터리를 응용해 만든 제품으로, 기존 플렉시블 배터리가 사람 손목 곡률 반경인 30R 정도에서 멈추는 한계가 있는 반면, 이 제품은 위아래로 완벽하게 접을 수 있는 15R 수준의 구현이 ... ...
전기 통하는 新 부도체 찾았다
2015.10.09
한 번에 수십 개 이상 이동하기 때문에 열이 발생하고 전력 소모도 커진다”며 “원자
전선
을 이용해 전자 하나로 1비트를 처리하는 소자를 만들면 발열과 전력 소모를 모두 줄인 초소형 전자기기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일본 노벨상의 비결은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5.10.07
이론물리학자인 이강영 경상대 물리교육과 교수의 저서 ‘LHC, 현대물리학의 최
전선
’에는 유카와 교수가 노벨상을 받은 뒤, 과학계와 정부가 합심해 교토를 ‘일본 과학계의 수도’이자 노벨상의 산실로 만드는 과정이 자세히 묘사돼 있다. 교토대는 유카와 교수를 기념하는 유카와 기념관을 ... ...
추석, 헤이즈의 습격
2015.10.04
보통 몽골이나 중국의 북쪽 내몽골, 서쪽 타클라마칸 사막 일대의 모래먼지가 한랭
전선
을 동반한 저기압이 발생할 때 생긴 강한 상승공기를 타고 하늘로 올라간다. 이런 모래먼지는 기압골 뒤에 따라오는 대륙성 고기압의 강풍에 실려 우리나라와 일본으로 날아온다. 발생지는 중국, 몽골 등이지만 ... ...
이전
44
45
46
47
48
49
50
51
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