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장
출현
도래
통관
입항
참가
가입
d라이브러리
"
등장
"(으)로 총 5,680건 검색되었습니다.
(2) 유해시비 붙은 식품첨가물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힘입은 바 크다. 그중에서 핵심적인 것은 다양한 식품첨가물(食品添加物, food additive)의
등장
이다. 실제로 만약 식품첨가물이 전제되지 않았다면 오늘날의 인스턴트식품산업은 태동조차 할 수 없었을 것이다. 그만큼 인스턴트식품 산업계의 식품첨가물 의존도는 절대적이다. 따라서 식품첨가물이 ... ...
Genes In Action 활동하는 유전자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조용히 나무를 심고, 씨를 퍼뜨리고 몰래 벌목하는 자가 있지않나 순찰하는 로봇도
등장
할 것이다.아무튼 진실이 하나 있다면 우리는 다양성을 즐기고 소로가 말했듯이 자연을 소중히 여긴다는 점이다. 우리는 우리 자신보다 훨씬 더 오랜동안 즉 우리가 죽어 사라진 후에도 계속 살아나갈 지구의 ... ...
(3) 땅속에서 썩는 플라스틱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조각을 먹이인 줄 알고 먹고 죽은 바다거북이나 물고기에 관한 기사가 신문에 심심찮게
등장
한다. 일본에서 조사한 한 자료에 따르면 해양표류물의 약 60%가 플라스틱이라고 한다.태우면 유독물질이 나와얼마전 텔레비전에 방영된 한 프로는 이러한 경각심을 일깨워주기에 충분했다. 바다에서 ... ...
수학적 발견은 우연인가, 필연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말했다. '뉴턴이여 나오라' 그리하여 모든 것이 명백해졌다."갈릴레이가 가고 뉴턴이
등장
한 것이 하나의 우연이겠지만, 한편으로는 이 두사람이 임무교대한 것이 아닌가 하는 마음이 드는것도 사실이다. 이런 의미에서 필자에게 이와 같은 글을 쓰게하는 데 커다란 영향을 미친, '수학사'(A History of ... ...
(3) 전자파 장해 막을 수 없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EMI의 영향은 집적회로처럼 밀집도가 크고 정밀한 부품을 많이 사용하는 장비일수록 민감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첨단 전파산업에 치명적인 적으로 대두되고 있다걸프전에서 이 ... 이 장치의 가격이 TV수상기보다 비싸지만, 멀지않아 실용가능한 고스트제거기가
등장
할 것으로 기대된다 ... ...
「찻잔속의 태풍」 인공지능 만들기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로부터 20여년이 지난 지금 사이먼의 입가에서 미소는 사라졌다.전문가시스템의
등장
과 자동 번역의 실패모든 문제는 그렇게 쉽지 않았다. 아직도 컴퓨터 체스챔피언은 인간챔피언을 이기지 못하고 있다(엇비슷하긴 하지만). 최근의 결과는 유고슬라비아인 카르포프(Karpov)에게 챔피언 ... ...
1 에스컬레이터도 일종의 도르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위해서는 먹지 않을 수 없다. '필요는 발명의 어머니'이듯이 기계류 중에 역사상 최초로
등장
한것이 선사시대에 사냥과 채집을 위해 사용하던 도구들이다. 돌을 갈아서 만든 도구는 거의 1백만년 전 문명이 시작되기 전부터 사용됐다.이들 도구에 이용된 최초의 기술적인 원리는 '사면의 원리'였다. ... ...
4 피뢰침에서 로봇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톱니바퀴 이빨을 1개씩 이동시키게 돼 있다. 이 기계는 덧셈 뺄셈을 할 수 있었다. 이어
등장
한 것이 기계식 컴퓨터로 베비지가 해석기라고 부르던 것이었다.최초의 다목적 컴퓨터는 1946년에 완성된 ENIAC으로 1만 9천개의 진공관이 사용된 엄청난 크기의 컴퓨터였다. 그후 집적회로 등의 발전으로 ... ...
곰곰 궁리한 뒤 체스말을 옮기는 로봇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미국 로체스터대학의 체스로봇은 매너가 아주 좋은 '신사'다. 그는 체스게임에서 지면 "축하합니다. 당신이 이겼습니다"라고 상냥하게 말을 건넨다.이 로봇을 설계한 컴퓨터과학자인 브라이언 마시는 로봇의 반경 2.7m안으로는 절대 들어가지 말라고 충고한다. 그는 이 반경을 '죽음의 원'이라고 부 ... ...
미국 과학자 대다수 SSC에 반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러나 오늘날 일본의 하이테크를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따라 새로운 학설이
등장
했다. "일본인은 본래 창조적이지 않다. 창조성을 측정하는 유일한 기준은 기초연구이고 이 분야에서 일본의 기여는 거의 없다. 일본인은 여기서 나온 과실인 기술을 이용해 돈을 벌었을 뿐이다. 일본은 구미의 ... ...
이전
488
489
490
491
492
493
494
495
4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