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으로 아기 키웠던 네안데르탈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새로운 친구를 찾아 헤매다가 그만 유럽 벨기에까지 와 버렸지 뭐예요. 아차, 지금 이러고 있을 때가 아닌데! 어서 지구 정복에 힘을 보태 줄 친구를 찾아야 해요!앗, 저건 누구지? 누군가 석기를 들고 나를 향해 달려오고 있어요. 도망칠 곳도 없는데 어떡하지? 몸집도 훨씬 크고 재빠른 저 사람은…, ... ...
-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3년 12호
- 케플러의 법칙과 만유인력의 법칙이 증명되고 천문학 분야에 꽃이 피었습니다. 그리고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우주를 이해하는 데 수학이 결정적 역할을 해왔지요. 아래에 나오는 많은 수학자들도 중요한 역할을 했구요.이번에 다가온 아이손이 남긴 우주의 부스러기에는 또 어떤 우주의 비밀을 ... ...
- 세포는 금 주사기로 DNA 맞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2호
- DNA 주사를 놓아 조절하면 비정상적인 유전자가 활동하지 못하게 막을 수 있지요. 그런데 지금까지는 주사기로 사용하는 나노선이 세포 크기만큼 굵어서 세포가 자주 망가지는 문제가 있었어요.연구팀은 가늘게 잘 늘어나는 금의 성질을 이용해 100㎚(나노미터, 10억 분의 1m) 크기의 금 주사기를 ... ...
- 20세기 기하학의 방향을 바꾼 동양의 작은 거인, 천싱선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곳이다.1984년에는 중국 난카이대에 난카이 수학연구소를 설립했는데, 이 연구소는 지금은 ‘천 수학 연구소’로 그 이름이 바뀌었다. 80년대에 휠체어를 타야 했던 그를 위해서 중국 정부는 연구소 바로 옆에 기거할 수 있는 집을 지어 그가 연구소에 오가는 데 불편함이 없도록 했다. 그를 극진히 ... ...
- 서울공대 카페 12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세계라는 편견이 있었고 실제 건설환경공학부 신입생의 대부분은 남자였다. 하지만 지금은 학부의 경우 신입생 5명 중 1명이 여학생이고 대학원은 4명 중 1명이 여학생이다.“현장소장처럼 강한 리더십과 카리스마가 필요한 자리도 있지만, 연구소처럼 꼭 그럴 필요가 없는 자리도 많아요. 앞으로 ... ...
- [교과연계수업] 가상화폐, 비트코인이 알고 싶다고?수학동아 l2013년 12호
- 곡식은 약 1만 년 전부터 사용했던 화폐의 원형이다.② 약 5000년 전에 등장한 금속 화폐는 지금까지 다양한 형태로 변형돼 왔다.③ 종이 화폐는 약 1000년 전 중국에서 처음 쓰이기 시작했다.④ 인터넷이 발달하면서 시작된 온라인 상거래는 전자 화폐를 등장시켰다.이제 비트코인에 대해 알아볼까요? ... ...
- Intro. 우주론의 역사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아니었다.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자 우주가 대폭발로 시작됐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지금도 우주는 점점 팽창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우주가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빨리 팽창하고 있음이 드러났다. 여기서 이번 기획의 주인공인 암흑에너지가 등장한다. 여기에 오기까지 인류의 인식 지평을 ... ...
- PART1 김치를 만들고 나누는 문화 김장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전해진 과정을 보면 유네스코가 ‘김치’가 아닌 ‘김장’에 주목한 이유를 알 수 있다. 지금 먹는 빨간 배추김치의 역사는 400년이 채 안됐다. 그러나 김장은 그 이전부터 있었고, 농사를 기반으로 하는 한국인의 겨울은 물론 1년을 책임지는 거대한 축제였다. 재료와 방법은 시대마다, 지역마다 ... ...
- PART2 물 건너 온 한국 음식 김치과학동아 l2013년 12호
- 과정은 김치를 유산균으로 뒤덮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인 셈이다.김치가 빨개진 이유지금이야 누구나 먹는 국민 음식이지만 배추김치의 재료를 면밀히 들여다보면 과거엔 결코 서민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음식이 아니었다. 특히 소금은 국가가 관리할 정도로 귀한 물질이었다. 조상들은 이 단점을 ... ...
- 필리핀 슈퍼태풍, 한반도에도 온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유리하게 변했다. 정확하게 단정하긴 어렵지만 미래에는 매미나 루사같은 초대형 태풍이 지금보다 더 자주 상륙하고 그보다 더 센 태풍도 올 것이다. 중간 크기 태풍의 에너지양이 전 세계에서 반 년 동안 생산하는 전력량에 맞먹는다는 걸 생각하면 조금만 힘이 세져도 얼마나 파괴력이 커질지 ... ...
이전4884894904914924934944954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