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표"(으)로 총 10,165건 검색되었습니다.
- 키 크는 유전자는 없다! 해법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전화에 호되게 시달렸다고 털어놓았다. 지난 3월 7일 해외 학술지(플로스 제네틱스)에 발표한 연구결과 때문이다. 키와 당뇨를 비롯해 유전에 좌우될 수 있는 49개의 특성을 선정한 뒤한국인 8000여 명의 DNA에서 30만 개를 비교한 대규모 연구였다.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한 최초의 연구이기도 했다. ... ...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제니퍼 루이스 일리노이대 재료과학공학과 교수가 개발해 2011년 ‘응용재료’ 저널에 발표했다. 연구개발 현장에서 다양한 표면에 쉽게 회로를 그리기 위해 개발했다. 종이 등 휘는 곳에도 사용할 수 있다.미래의 펜은 어떨까상상력 넘치는 펜의 모험은 끝나지 않는다.필립스사는 2008년에 ‘감정을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앨런 구스 미국 MIT 교수(당시 스탠퍼드선형가속기센터 연구원)가 1980년 내부 세미나에서 발표한 논문(이듬해 ‘피지컬리뷰 D’에 실림)이 시작이다. 이 논문의 제목은 ‘급팽창이론: 지평선과 편평도 문제에 대한 가능한 해결책’이었는데, 이 중 지평선 문제가 플랑크 임무와 관련이 있다. 우주의 ... ...
- 제21회 천체사진공모전과학동아 l2013년 05호
- 국립중앙과학관, 동아사이언스가 공동 주최한 제21회 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이 발표됐다. 심우주의 화려한 성운, 태양의 흑점과 금성 통과 장면,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일주하는 별의 운동…. 지난해보다 출품된 작품이 다양해졌고, 수준도 전체적으로 높아졌다. 가장 높은 평가를 받은 몇 ... ...
- 암흑물질 후보 정말 찾았나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비활성 중성미자 등 질량대가 다른 암흑물질 후보보다 더 유력해진다. 마침 3월 말 발표한 우주마이크로파 배경복사 관측위성 ‘플랑크’의 관측 결과도 비활성 중성미자의 존재를 부정하고 있다(120쪽 참조. 2012년 10월호 ‘암흑물질 3파전’ 참조).하지만 AMS의 관측 결과에 대해 아직은 시기상조라는 ... ...
- 술을 마시는 이유, 맛있다고 느끼기 때문!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도파민을 나오게 한다는연구 결과를 ‘네이처 신경정신약물학’ 저널 4월 15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남성 49명(평균 25세)을 모아 맥주와 이온음료의 맛을 느낄 때 뇌의 도파민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양전자단층촬영장치(PET)로 비교했다. 실험 참가자의 주량은 많이 마시는 사람부터 적게 마시는 ... ...
- 나이에 따라 직업 바꾸는 개미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분석해 개미가 나이에 따라 직업을 바꾼다는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 4월 18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컴퓨터로 개미를 일일이 추적해 활동 영역과 상호작용을 분석했다. 그 결과, 3가지 직업군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군의 비율은 양육 40%, 청소 30%, 먹이 수렵 30%였다. 직업마다 주로 ... ...
- 지진 예측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변화 정도 차이를 예상해 이 지역에 누적된 응력량을 계산했다. 이들의 연구결과가 발표되자, 아이티 정부는 이들에게 지진 위험성을 문의하기도 했으나 중남미 최빈국 중 하나인 아이티로서는 충분히 대비할만한 여유가 없었다.지진 피해 줄이는 조기 경보 시스템지진 예보에는 아직 한계가 많다. ... ...
- PART 2. 남자에서 아빠로과학동아 l2013년 05호
- 아빠가 된 직후에 이전보다 테스토스테론이 줄어든다는 연구는 이미 여러 차례 발표된 바 있다. 심지어는 ‘여성’과 결혼하는 것만으로도 테스토스테론의 양이 줄어들 수 있다. 2006년 학술지 ‘정신신경내분비학’에 실린 캐나다 사이먼프레이저대 연구팀의 논문에 따르면 여성과 짝을 이룬 ... ...
- 사진으로 본 지구의 날과학동아 l2013년 05호
-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4월 22일 지구의 날을 기념해 지구 환경을 이해하고 지키는 데 도움을 주는 사진들을 발표했다. ...
이전4894904914924934944954964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