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3. 외계행성 탐사 전성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일직선 위에 있을 때, 앞 항성의 중력장에 의해 뒤 항성의 빛이 휘어 전달되는 효과를 이용한다. 앞 항성에 외계행성이 있다면, 뒤 항성에서 오는 빛에 불규칙성이 발생하는데 이것을 포착한다. 다른 방법들이 항성 근처에 있는 큰 가스형 외계행성을 찾는 데 유리한 반면, 중력렌즈 방법은 항성에서 ... ...
- [Hot Issue] 굿바이 M16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정복한 총(The gun that won the west)’라는 멋진 별명을 얻었다. 탄약폭파에서 얻은 반작용을 이용해 재장전되는 자동권총을 만든 것도 콜트다. 하지만 콜트가 본격적인 전성기를 누린 것은 우리에게 M16으로 잘 알려진 M16A1 소총과 함께다.이거 장난감 소총 아니야?사실 M16을 처음 개발한 것은 콜트가 ... ...
- [Life & Tech] 무선으로 충전하는 ‘와이파워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위해 표준화 경쟁을 하고 있다. 이 중 WPC와 PMA는 자기유도방식을, A4WP는 자기공명방식을 이용해 무선충전 기술 표준을 제시하고 있다. 현재 시중에 나와있는 무선충전기기만 보면 선발주자인 WPC의 기술표준이 가장 널리 보급돼 있다. 하지만 올해 초 스타벅스가 PMA와 계약을 맺으며 미국 200여 개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00m 속도로 빠르게 회전하고 있다. 2008년 덴마크공대 연구팀은 액체를 채운 원통형 용기를 이용해 육각형 구름이 만들어지는 원리를 실험했다. 액체를 채운 원통형 용기에 원판을 넣고 전동기로 회전시키자, 회전수에 따라 원통형에 들어있는 액체 표면에 삼각형부터 육각형까지 다양한 다각형 ... ...
- [과학뉴스] 암살엔 역시 ‘모신나강’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영화 ‘에너미 앳 더 게이트(2001)’ 주인공의 실제모델인 바실리 자이체프는 모신나강을 이용해 242명을 저격했다고 합니다. 탄환 243발을 사용해서요.그런데 안옥윤이 만주에서 경성으로 들어올 때 고개를 갸우뚱하신 분 없으신가요? 모신나강을 커다란 박스 안에 넣어서 안고 들어오는데, 그 길이가 ... ...
- [과학뉴스] 소의 ‘메탄방귀’ 줄이는 신물질 개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들어갈 에너지가 영양분으로 흡수됐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리스토프 교수는 “3NOP를 이용해 축산업에서 낭비되는 에너지를 눈에 띄게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연구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7월 30일자에 실렸다 ... ...
- HFT, 인간을 주식시장에서 쫓아내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것이다. 투자자의 매수 의도를 알아낼 때는 거래 프로그램의 간단한 알고리듬을 이용한다. 매매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증권회사는 당연히 조금이라도 싼 가격에 주식을 사고 싶어 한다. 미국에는 현재 13개의 주식거래소가 있는데 이 거래소마다 독립적인 주식 시장과, 과금체계가 있다. HFT 회사들은 ... ...
-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많은 연구 필요해이리신과 같이 백색지방을 베이지색지방으로 바꿔주는 물질을 이용해 다이어트 약을 만들 순 없을까. 지난 3월 미국 워싱턴주립대 연구팀은 딸기, 포도와 같은 과일에 들어있는 ‘레스베라트롤’이 백색지방을 베이지색지방으로 바꿔준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논문에 따르면 1 ... ...
- 유명 학자 연구도 비판하는 정신 필요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유전자 조작으로 원하는 조건을 가진 아이를 만들기 쉬워졌다”며 “크리스퍼를 이용한 연구는 유전병을 정복하기 위해 꼭 필요하지만, 태아의 유전자를 조작하는 일 등은 생명윤리에 어긋나므로 무조건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생명과학자 16명과 미래 생명과학자 1000명의 토론행사에 참석한 ... ...
- 순간 포착! 아기별의 진화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위아래 두 방향으로 나오는 위치를 바꾸는 모습을 발견한 거죠. 파장이 매우 긴 전파를 이용해 1999년, 2005년, 2007년 세 번에 걸쳐 관찰한 결과랍니다.그 뒤 이 연구 결과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 한국, 미국, 멕시코 국제공동 연구팀이 만들어졌어요. 2014년까지 원시별의 분출물 모양을 관찰한 결과, 199 ... ...
이전4894904914924934944954964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