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향수를 좋아한 낭만 고릴라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도구를 사용하는 모습도 2005년 처음 공개됐다. 미국 야생보호협회 토머스 브로이어
박사
팀은 아프리카 콩고의 한 국립공원에서 야생 고릴라 두 마리가 기다란 나무막대기를 이용해 물 길이를 재는 장면을 촬영해 ‘생물학 공중도서관’에 발표했다. ‘레아’라는 이름의 암컷 고릴라는 막대기로 물 ... ...
2. 한류 DNA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보이는 차이가 나타날 수 있다.그렇다면 인간끼리는 어떨까.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홍석
박사
는 “동양인과 서양인의 염기서열은 불과 0.1% 차이가 난다”고 설명했다.아무리 인종이 달라도 인간은 DNA가 99.9% 같다는 뜻이다. 30억 개의 염기 가운데 300만개만이 다르다. 그런데 이렇게 작은 차이 때문에 ... ...
4. 진실DNA를 캐낸 숨은 주역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것이다. 게시판 내용을 무조건 퍼담기 바쁜 언론에 대한 따끔한 충고도 있지 않는다.최
박사
도 “이번 파문은 전문가가 생각하는 것보다 일반인에게 알려진 부분이 지나치게 부풀려진데서 시작했다”면서 “실제 연구 성과를 깎아내리려는 것이 아니라 비과학적인 태도와 맹신을 과학적으로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등장했다. 그들에게 과학동아는 글쓰기의 등용문이었다. 정재승, 최재천, 이융남
박사
는 과학동아를 통해 글을 쓰며 크게 필명을 날렸다. 과학저술가 이인식 과학문화연구소장도 ‘성의 과학’ 등을 연재하며 두드러진 활동을 했다.‘보고 즐기는 과학잡지’라는 과학동아의 컨셉이 1990년대 중반 ... ...
스트루베와 뉴컴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문학
박사
가 됐다. 그 직후 천문학으로 연구 방향을 전환한 스트루베는 불과 2년 뒤 천문학
박사
가 된다.스트루베는 에스토니아의 도르파트대 천문대에서 23cm 굴절망원경으로 관측을 했다. 그는 남달리 정밀한 관측에 재능이 있어 별의 위치 측정에 심혈을 기울였다. 그는 1827년까지 약 12만개의 별들을 ... ...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마카로니펭귄 등이 알을 낳고 집단생활을 한다.북극 다산기지에 다녀온 강성호
박사
님을 만났어요!우리나라는 2002년 노르웨이의 니알슨에 다산기지를 세우고 북극 연구의 길을 열었다. 니알슨에는 국제과학기지촌이 있는데 노르웨이를 비롯한 영국, 독일, 프랑스, 일본, 이탈리아에 이어 ... ...
올해 여성과학기술자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등 정보통신 분야에 그의 연구 성과가 적용되고 있다.공학 분야 수상자인 주
박사
는 지구 온난화의 주범으로 알려진 이산화탄소를 석유화학산업의 주요 원료인 일산화탄소로 바꾸는 새로운 공정을 개발했다. 이 기술은 석유나 석탄을 태울 때 나오는 이산화탄소를 줄이는 데 일조할 것으로 기대된다 ... ...
보르네오 밀림에서 정체불명의 동물 발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전문가들도 처음 보는 동물이라고 말했다”고 밝혔다.런던동물학회의 닉 아이작
박사
는 “이번 발견만으로 이 동물이 새로운 종인지 밝히는 것은 어렵다”며 “이 동물의 털을 얻는다면 모낭에 들어있는 DNA를 분석해서 신종 여부를 가릴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2007년 4월 꿈은 이루어진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소음차단 헤드셋을 러시아에 납품하는 방안을 현재 고려 중이다.이에 대해 최기혁
박사
는 “한국은 우주강국인 미국과 러시아와 달리 정부주도 우주개발에는 한계가 많다”며 “민간 참여를 적극 유도해 우주기술을 산업화하는 쪽으로 시선을 돌려야 한다”고 말했다. 항우연의 채연석 연구위원도 ... ...
1. 대한민국 최고과학자의 몰락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나타난다. 황 교수팀은 2004년 논문에서 이 방법으로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ACT 호세 세벨리
박사
에게서 처녀생식으로 만든 원숭이 배아줄기세포와 비교했다. 그 결과 인간 배아줄기세포는 부모의 유전자 마커가, 원숭이는 어머니 마커만 나타났다. 그러나 세포 자체를 실제로 비교했는지 믿을 수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