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뉴스
"
생명
"(으)로 총 7,240건 검색되었습니다.
1분만에 배터리 100%… ‘초고속 충전’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31
단점은 충전과 방전을 수십 회만 반복해도 성능이 급속도로 떨어지는 것인데 김희탁 KAIST
생명
화학공학과 교수 팀이 내부 소자를 도넛 모양으로 만들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을 올 5월 개발했다. 충전을 600번까지 할 수 있어 현재 리튬이온 배터리와 큰 차이가 없다. 조경재 미국 댈러스 ... ...
또한번 신중론 넘지 못한 유전자 치료·검사 규제 해제
동아사이언스
l
2018.08.30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이 29일 오후 서울 서초구 쉐라톤서울팔래스강남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2018년 제1차 국가
생명
윤리심의위원회에서 인사말 ... 기술과
생명
윤리 민관협의체’를 꾸린 데 이어, 12월에 2기 민관협의체를 구성해고
생명
윤리법 개정 여부를 논의하는 창구로 삼고 있다. ... ...
과기계 또 인사 잡음…백경희 과기자문위 위원 돌연 사퇴
동아사이언스
l
2018.08.30
위에 올라 백경희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위원(전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위원장, 고려대
생명
과학부 교수)이 위원직에서 사임한 것으로 30일 확인됐다. 백 교수가 자문회의에 밝힌 공식적인 사유는 건강 등 일신상의 이유다. 하지만 위원 임명 전 자신의 연구실에서 연구비를 부정적으로 운영했다는 ... ...
[과학게시판] 원자력연 중성자계측기 개발 MOA 체결 外
동아사이언스
l
2018.08.29
SCBIT)가 매년 개최하는 이 행사에서는 각국 약 10명씩의
생명
정보 연구자들은
생명
정보 및 유전체 분야 최근 연구 성과를 발표한다. 특별강연자로 △고조보리 타카시 사우디아라비아 킹압둘라과학기술대(KAUST) 교수 △첸룽쉔 중국과학원 생물물리연구소 교수 남덕우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012년 9월부터 프리랜서 작가로 지내고 있다. 지은 책으로 『강석기의 과학카페』(1~6권),『
생명
과학의 기원을 찾아서』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반물질』, 『가슴이야기』, 『프루프: 술의 과학』 등이 있다 ... ...
빛으로 치료 하는 ‘광스위치 단백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27일 밝혔다. 빛은 다른 치료 방법보다 효과적으로 신호전달 연구에 활용할 수 있어
생명
과학계에서도 최근 주목받는 연구주제다. 빛에 반응하는 '광 스위치 단백질'은 자연적으로도 존재한다. 하지만 이런 단백질로 세포신호를 조절하려면 단백질의 성질을 변경하고 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 ...
유전체교정 시금치로 만든 파스타, 식탁에 오를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국내 이행 법률인 ‘유전자변형생물체의 국가 간 이동 등에 관한 법률’은 GMO를 ‘현대
생명
공학기술을 이용해 새롭게 조합된 유전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생물체’로 규정하고 있다. 이런 기준으로 따지면 외래 유전물질이 들어가지 않은 유전체교정생물체는 GMO에 해당되지 않는다. 자료: ... ...
절대 죽지 않는 선루프
팝뉴스
l
2018.08.26
네티즌들을 놀라게 만든 사진이다. 사진은 선루프의 최후를 담았다. 그런데 선루프의
생명
력이 강하고 질기다. 박살이 나야 할 상황인데도 끝까지 버틴다. 길게 늘어져서 뒤집어놓은 종 모양이 이루었는데 완전 파손되지 않았다. 엄청난 유연성을 보이는 선루프는 마치 고무나 껌을 만든 것 같다. ... ...
“아픈 주삿바늘, 안녕~" 반창고형 주사 니들패치 붙여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8.25
대표는 임상시험 전문 서비스 기업인 ADM코리아의 대표이자 창업자이기도 하다. KAIST에서
생명
과학을 전공하고 중앙대에서 의학 박사학위를 받은 그는 지난 20여 년간 의약품 개발의 성공과 실패를 눈앞에서 직접 경험하며 안목을 쌓아 왔다. 윤 대표는 “지인을 통해 우연히 기계연이 개발한 ... ...
“2∼3년 내 크리스퍼로 감염병 진단할 수 있게 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8.08.24
있어
생명
과학자들의 각광을 받았다. 학자들에 따라서는 “최근 6년 사이에 크리스퍼가
생명
과학에 미친 영향이 기존 그 어느 생물학 기술보다 크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현재 다우드나 교수는 노벨상 수상 0순위로 꼽힌다. 크리스퍼는 등장 초기부터 인류의 두 숙원인 난치병과 식량 문제를 ... ...
이전
490
491
492
493
494
495
496
497
49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