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바이오"(으)로 총 5,099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연희 연구소재중앙센터장 ISBER 공로상 수상과학동아 l2014.04.01
- 이연희 연구소재중앙센터장이 2014년 국제환경생물소재은행학회(ISBER) 공로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연구소재은행은 인체유래물·동물·식물·미생물·융합물질 등 다양한 분야의 소재를 수집해 관리하는 기관이다. 연구소재중앙센터는 이들 연구소재은행을 관리하고 세계 연구소재은행과 국제 ... ...
- 대장암 유발 세포가 대장암 억제?!과학동아 l2014.04.01
- 암을 일으키는 것으로만 알려졌던 세포가 암을 억제한다는 것. 조광현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팀은 대장 조직(장샘)에서 발암 가능성이 높은 세포를 선별해 체외로 배출하는 신호전달 과정을 찾아내 체내 대장 조직에서 암 발생을 스스로 막는 메커니즘을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 ... ...
- 반도체 공장 '불산' 대체 천연물질 찾았다과학동아 l2014.03.31
- 누에고치에서 얻은 실크단백질을 활용해 만든 나노 패턴. 벤젠이나 플루오린화 수소 같은 유독물질을 썼을 때 만큼 정밀한 나노 공정이 가능하다. - ... 수준이다. 연구팀은 “향후에는 천연소재인 실크를 활용한 고효율 바이오센서나 바이오마커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
- 이 독수리, 썩은 고기 먹고도 건강하답니다 과학동아 l2014.03.31
- 썩은 고기를 먹어도 질병이나 병원균에 감염되지 않는다는 것. 박종화 테라젠바이오연구소장은 “이번 분석에는 첨단 DNA 해독기와 최신 생물정보학 기술을 이용해 5개월의 시간이 걸렸다”며 “특정 종의 유전체 정보를 처음으로 규명할 만큼 우리나라의 분석기술이 정교해졌음을 알리는 ... ...
- 거친 표면에서 더 빨리 자라는 뇌신경세포과학동아 l2014.03.31
- 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KAIST 화학과 최인성 교수팀, KAIST바이오 및 뇌공학과 나문기 교수팀, 숙명여대 화학과 이진석 교수팀은 공동연구를 통해 신경세포가 더 빨리 성장할 수 있는 조건과 원인을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고 31일 밝혔다. 공동연구팀은 앞선 ... ...
- [인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학동아 l2014.03.31
-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 강지윤 △바이오닉스연구단 김승종 △테라그노시스연구단 이철주 △도시에너지시스템연구단 이대영 △에너지융합연구단 정경윤 △연료전지연구센터 한종희 △연구개발실 남동우 △경영기획실 김동한 △경영관리실 변덕용 ... ...
- 다문화학교로 찾아간 환경과학교실 ‘지멘스그린스쿨’어린이과학동아 l2014.03.28
- 체험했다. 어린이들이 체험한 친환경에너지는 태양광에너지, 풍력에너지, 수소에너지, 바이오에탄올에너지다. 과학키트에 전선을 연결한 뒤, 태양전지판에 LED 조명을 쬐거나 선풍기와 비슷한 풍력발전기에 부채로 바람을 일으켜 프로펠러를 돌리거나,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일으키는 방법으로 ... ...
- 본격화되는 ‘생물자원전쟁’ 韓 참전 시기는?과학동아 l2014.03.28
- 강하다는 점을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김성욱 바이오인프라총괄본부장은 “총회 전에 나고야의정서 비준국 50개국이 채워질 가능성이 높지 않은 상황에서 단순히 의장국이라는 명분 때문에 비준을 서두를 필요는 없다”며 “전 세계적 동향에 촉각을 세운 ... ...
- 내시경 검사와 조직검사 동시에 한다과학동아 l2014.03.27
- 내시경 시술을 받으면서 조직검사를 동시에 받을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정기훈 교수팀은 내시경 카메라 끝부분에 연결할 수 있는 초소형 현미경을 개발했다고 27일 밝혔다. 이 현미경은 지름 3.2mm의 초소형으로 초당 20장의 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 ...
- ‘맞춤형 신약’ 개발 속도전 가능해졌다과학동아 l2014.03.24
- 수 있다는 말이다. 권성훈 교수는 “이전에 10만 개의 신약 후보물질 바이오 어세이를 하기 위해서는 일일이 사람이 약물과 세포를 반응시키며 반복해 5개월 이상 걸렸는데, 이번에 개발한 칩으로 한 번에 최대 10만 개의 약물에 대한 반응을 32시간 만에 살펴볼 수 있어 신약개발시간이 ... ...
이전4914924934944954964974984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