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d라이브러리
"
공간
"(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기막힌 풀러렌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산소와 같은 가스분자들은 나무상자에 넣어진 오렌지처럼 가득찬 '버키공'들의 8면체
공간
사이를 채울 수 있다. 이렇게 가득찬 풀러렌들은 일정한 크기를 유지하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즉 가스분자들은 아주 크거나 아주 작을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와같은 특성을 이용한 제품으로는 특정한 ... ...
은하의 신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수많은 별들이 탄생하고 또 죽어가는 우주
공간
. 그 속에서 별들은 무리를 지어 은하를 형성하고, 은하들은 집단을 이루어 은하단을 만들고 또 은하단은…. 이 거대한 우주질서는 어떻게 형성됐으며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 것일까? ...
1 우리 은하 태양도 초속 220㎞로 은하중심을 돈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가장 중요한 문제중의 하나다. 은하가 부서지지 않는 이유 별과 별 사이의 광활한
공간
은 지상의 실험실에서 얻을 수 있는 그 어떠한 진공상태 보다도 더 희박하지만 실제로는 성간물질이라고 불리는 가스와 먼지로 가득 차 있다. 이곳은 또한 별이 태어나는 곳이기도 하다. (사진2)는 1983년에 ... ...
7월의 밤하늘 탄생을 결정하는 행운의 별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거대한 나선 은하의 1천억 개 별들 중하나일 뿐이다. 우리가 은하의 평평한 원반 방향의
공간
속으로 눈을 돌린다면 수십억 개의 별들로부터 오는 희미한 빛의 여울을 보게 된다. 여름밤 이 흩어진 빛의 엷은 띠는 머리 위를 가로질러 북쪽에서 남쪽 지평선으로 아치를 만든다. 이것은 먼 옛날 그 ... ...
다니엘 부어스틴 「발견자들」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시계의 발명이 앞당겨진 것이다. 시간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비로소
공간
을 조직적으로 탐색할 수 있게 됐다. 14세기에 시계가 등장한데 이어서 15세기에는 항해장비가 등장해 마침내 대항해시대의 막이 오르게 된다.그러나 부어스틴은 역사는 이처럼 반드시 논리적으로만 진행되는 ... ...
2 외부은하 나선팔은 별탄생의 요람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되며 밀도가 높은 곳이 현재의 나팔선이 되며 밀도가 아주 낮은 곳은 팔과 팔사이의
공간
이 된다. 이 밀도파 이론은 나선팔의 형성을 설명하는데 많은 공감을 얻고있는 학설이다.무정형은하(Irr)는 일정한 형태를 갖지 않으며 축에 대해서도 대칭이 이루워지지 않는 은하이다. 무정형은하는 색지수의 ... ...
오늘날의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로봇은 이 세상에 사는 사람들을 도와줄 수 있어야 한다. 우리에겐 이미 우주
공간
을 떠돌면서 사진을 찍고 달이나 화성의 흙을 채취하는 로봇이 있다. 또 다른 로봇은 바다속 깊이 들어가 지구표면의 균열로부터 발생하는 유황을 먹고사는 박테리아를 주식으로 삼는 희한한 생물들을 연구하기도 ... ...
3 그림으로 보는 우주구조 우주는 과연 끝이 없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전체적인 구조(즉 유한과 무한의 문제)나 현재라는 시각에서 볼 수 있는 전 우주의 시
공간
의 단면(그림1)을 보았다. 이제 시야를 좀 좁혀 우리 지구 근처 수억광년 이내에 은하들의 분포를 알아보자. 어두운 밤하늘에는 대형 망원경으로 관측할 수 있는 외부 은하들이 1천억개 이상 흩어져 있다. 이 ... ...
2 흑연 다이아몬드에 이은 제3의 화합물 ${C}_{60}$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그속에 어떤 입자를 넣거나 목걸이같이 연결하는 것이다. 이미 과학자들은 구(球)의 빈
공간
에 전자가 6개 들어갈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아울러 구의 표면에 실과 같이 긴 분자를 접합시키는데 성공했다. 이 전자가 들어있는 구를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배터리로 사용하는 연구가 현재 ... ...
「제3의 물리학 혁명」혼돈이론의 실체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이해하는데 실질적으로 매우 효과적이었다.하지만 시간적으로 오래 경과됐거나
공간
적으로 멀리 떨어져 있어서 계의 부분간 상호작용이 매우 강한 자연현상들은 얼마든지 있다. 이 경우 비선형항들을 무시하면 일반적으로 이런 현상들은 이해될 수 없다.로렌츠의 「나비효과」19세기 말 ... ...
이전
492
493
494
495
496
497
498
499
5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