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의"(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구사랑탐사대] 바닷물고기 특별탐사! 첨벙첨벙 발 구르면~ 물고기가 파닥파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온 나라가 폭염으로 이글이글 타오르던 지난 8월 4일, 지구사랑탐사대는 부산청사포로 향했어요. 물놀이가 아니라 바닷물고기 탐사를 하기 위해서였지요. 바닷물고기는 하늘소, 개미와 함께 올해 지사탐이 새롭게 준비한 특별탐사종이랍니다. 여름에 바닷물고기 탐사는 일석이조!튜브와 물놀이 ... ...
- [화보] 놀이하는 인간 ‘호모 루덴스’의 하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여러분은 오늘 하루, 무얼 하며 놀았나요? 여기 매일 놀면서 사진을 찍는 작가가 있어요. 바로 독일 사진작가 얀 폰 홀레벤이에요. 얀은 인간이 ‘놀이를 통해 배우는 사람’이라는 뜻의 ‘호모 루덴스’라고 생각해요. 그래서 주로 어린이들과 함께 어울리고, 재미있게 놀면서 사진을 찍지요. 놀 ... ...
- [현장취재]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고 싶은 친구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7호
- 1분과학, 와빌이라는 이름, 한번쯤 들어본 적 있나요? 유튜브에서 구독자 수 28만(1분과학), 21만(와빌) 명을 기록하고 있는 인기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의 이름이지요. 이들처럼 인기 크리에이터가 되길 꿈꾸는 어과동 친구들이 지난 8월 8일, 서울 마포구 에스플렉스센터에 모였어요. 서울산업진흥원에 ... ...
- 21세기 아인슈타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제가 만난 난민 중엔 기자와 프로그래머 등도 있었어요.” 유엔난민기구 한국대표부 친선대사인 배우 정우성이 한 말이었어. 난민은 우리가 생각한 것보다 다양한 얼굴을 하고 있나 봐! 난민 수학자 필즈상 받다!8월 1일, 난민 출신 수학자가 수학계 노벨상인 필즈상을 받았어요. 영국 케임브 ... ...
- [엉뚱발랄 생각실험실] 몰리뉴의 물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없다면, 어떤 물체가 뾰족한지, 둥근지 구별하는 것도 불가능하겠지요. 17세기 독일의 철학자, 라이프니츠는 태어날 때부터 시각장애를 겪은 사람도 세모와 네모의 차이를 알 수 있다고 주장했어요. 눈이 안 보이면 몸의 운동으로, 몸의 운동 능력이 없으면 눈으로 거리와 공간을 배울 수 있다고 ... ...
- [특별기고]목숨을 건 체험기...아마존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꾸르륵! 웁! 큽!”며칠에 걸쳐 폭우가 아마존을 휩쓴 뒤였다. 평소보다 냇물의 수위가 한창 높아져 있었지만, 연구원들은 냇물을 그냥 건너기로 결정했다. 냇물의 수위를 대충 가늠할 수 있다는 자만 때문이었다. 하지만 냇물에 발을 디딘 순간, 신고 있던 장화 속으로 물이 가득 들어찼고, 무거워 ... ...
- 사건발생! 소년들은 왜 동굴에 고립되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동굴에 고립되었던 건 독자 친구들과 비슷한 나이인 11~17살의 소년들이었어요. 사람들은 어린 소년들이 고립되었단 사실에 더욱 마음을 졸였지요. 소년들은 어떻게 동굴에 갇힌 걸까요? 고립 사건이 발생한 장소와 상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요. 지난 6월 23일, 태국의 유 ... ...
- [2018 여름캠프] 어서 와~ 국립백두대간수목원은 처음이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우아! 깃동잠자리가 힘이 장사네요! 가느다란 다리로 나뭇가지를 번쩍 들고 있어요!”힘이 장사인 깃동잠자리, 귀한 제비동자꽃, 수서곤충 사냥꾼 자가사리, 잘생긴 옴개구리…. 곤충, 식물, 민물고기, 양서류까지! 이 모두를 만날 수 있는 탐사가 있어요. 바로 지구사랑탐사대 여름 캠프지요. 올 ...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슬아슬 전선 위의 미션 블랙아웃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블랙아웃 연일 이어지는 폭염과 열대야로 전기 사용량이 크게 늘었어요. 지난 7월 24일의 *최대전력수요는 9248만㎾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을 정도예요. 그러나 앞으로 폭염이 계속 이어질 거란 예보가 나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블랙아웃을 걱정하고 있어요. 블랙아웃은 공급되는 전기보다 ... ...
- 아인슈타인도 난민!? 과학자들이 난민을 돕는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올해 초 예멘인 500여 명이 제주도에 들어왔다는 소식에 온 나라가 들썩였어. 인터넷에는 난민에 대한 다양한 의견들이 쏟아지고 있지. 그런데 많은 과학자들이 난민을 돕는다고 해. 난민 문제도 과학으로 풀 수 있을까?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아인슈타인도 난민!? 과학자들이 난민을 ... ...
이전49349449549649749849950050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