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지구
월드
천하
영역
전세계
world
d라이브러리
"
세계
"(으)로 총 10,358건 검색되었습니다.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
과학동아
l
200510
켜고 끌 때 걸리는 시간9.77초 | 자메이카의 아사파 파월이 갱신한 육상 남자 100m
세계
신기록(2005년 6월 기준)20초 | 정자가 1mm를 이동하는 시간▼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순간이 세상을 지배한다 당신의 순간은 안녕하십니까 1. 1비트도 놓치지 마라 2. 번개처럼 사라지는 입자 3. 생명은 빛보다 ... ...
연구에서 인생 배우는 뇌혈관 탐험가 - 서울대 약학과 교수 김규원
과학동아
l
200510
똑같이 그렸다고 생각하고 자신있게 작품을 내놓았죠. 그런데 한 친구가 자신의 내면
세계
를 표현했다면서 난 생각도 못한 독특한 자화상을 그렸더군요. 화가가 되려면 저 정도의 자질은 있어야겠구나 싶었어요.”세포를 그리거나 발표용 슬라이드를 만들 때 그의 미적 감각이 지금도 진가를 ... ...
무한 에너지 꿈꾸는 빛의 마술사
과학동아
l
200510
참조). 연구팀은 레이저를 이용하는 실험 장비 전반을 설계·제작했다. 이 기술은
세계
에서 3번째이자 국내 최초로 개발된 3차원 나노 조형기술이다.“우리나라에서 유일한 정통 레이저 연구실”이라고 자부하는 연구팀은 초고출력 레이저를 개발해 핵융합 기술을 완성하는 날도 그리 멀지 않다고 ... ...
베이 vs 타코마 다리
과학동아
l
200510
개통된 지 불과 5개월도 못돼 완전히 붕괴됐다.다리를 설계했던 이는 레온 모이세프로
세계
에서 내로라하는 교량공학자 중 한명이었다. 그는 당시 교량공학자들이면 누구나 사용하고 있던 다리 설계에 필요한 하중과 풍력 계산법을 개발한 사람이기도 했다. 그런데 이런 설계자가 만들어 놓은 ... ...
레일리의 아르곤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10
문제를 진지하게 연구하지 않았다. 19세기에 기체화학자들 사이에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세계
어느 곳에서나 날씨에 관계없이 대기 중 질소와 산소의 비율이 항상 같다는 점을 보이는 것이었지 대기 중에 있을지도 모르는 불순물은 관심 밖이었다.레일리가 아르곤을 발견한 것은 1880년대 초 원자량에 ... ...
개미가 내 방에 산다구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510
무리를 지어 행군할 때는 아마존의 맹수인 재규어도 도망친다고 해요. 개미의
세계
는 알면 알수록 놀랍기 그지없어요. 개미는 버섯을 재배하고 진딧물을 기르며 심지어 동료가 죽으면 무덤까지 만들어 주는 곤충이랍니다. 인간을 제외하고, 아니 오히려 인간보다도 더 사회적인 존재가 개미라고 할 ... ...
로봇은 노인의 친구
과학동아
l
200510
부설해 배를 폭파한다 기계수뢰의 준말 대잠수함용 기뢰가 처음 등장한 것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으로, 독일 잠수함의 활동을 봉쇄하기 위해 연합국측은 수십만개의 기뢰로 둑을 만들기도 했다어형수뢰의 준말 잠수함 외에 수상함정이나 항공기 등에서도 발사된다 자주력(self-propellant)에 의해 일정한 ... ...
당신의 순간은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200510
몹이 가능해진 것도 이 때문. 인스턴트 메시지는 그 순간의 생각과 그 순간의 느낌을
세계
어디에 있든 상대방에게 실시간으로 전달한다. 순간을 선택할 수도 있다. 내가 원하는 순간만 골라서 남길 수 있는 디지털카메라는 맘에 들지 않는 순간을 손쉽게 지우고 새로운 순간을 포착해낸다.1997년 ... ...
4. 우주는 뻥튀기한 것이다
과학동아
l
200510
아이디어는 미국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의 관측 결과에서 나왔다. 1929년 허블은 당시
세계
최대 망원경으로 여러 은하를 관측해 은하들이 거리가 멀수록 더 빠르게 멀어진다는 사실을 발표했다. 즉 우주가 팽창한다는 사실을 처음 확인했던 것이다.팽창하는 우주라는 블록버스터의 필름을 거꾸로 ... ...
전력선통신(PLC)
과학동아
l
200510
세계
인구의 85%가 전기를 이용하고 있지만 인터넷 사용자는 12%에 불과하다. 어떻게 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정보의 혜택을 얻을 수 있을까. 전력선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은 전기가 공급되는 전력선을 통해 정보를 실어 나르는 통신기술이다. 집안의 콘센트에 통신기기를 꽂으면 바로 인터넷 ... ...
이전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