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장
출현
도래
통관
입항
참가
가입
d라이브러리
"
등장
"(으)로 총 5,680건 검색되었습니다.
타이프라이터에서 레이저 프린터로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문장스타일까지 적절히 교정해 주는 놀라운 기능을 가지고 있다. 도트매트릭스의
등장
IBM 셀렉트릭의 쇠퇴는 새로운 출력기계의 출현을 예고했다. 그 중에서 데이지휠 프린터는 단연 돋보였다. 데이지휠 프린터는 데이지꽃(국화와 비슷) 모양의 바퀴살에 달린 활자들을 작은 망치가 전기충격으로 ... ...
"현재는 과거의 열쇠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척추동물과 육상식물군은 아직
등장
하지 않는다. 이들을 제외한 모든 생물의 문(門)들이
등장
하기 시작하지만 그렇다고 그 당시의 화석종(種) 가운데에서 현재까지 존재하는 것은 없다.'과학동아' 91년 8월호에 게재된 '진화냐? 창조냐?' 논쟁에서 언급된 "캄브리아기 화석들의 생김새가 놀랍게도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예외적인 현상으로만 취급해 왔으나 이것도 시정돼야 할 것이다. 이 경우 가장 많이
등장
했던 그럴듯한 이론이 소위 층상단층(overthrust)현상이었는데, 지층발달 과정에서 나타나는 비(非)진화론적인 현상을 층상단층이나 기타 예외적인 현상으로 돌리는 것은 옳지 않다.그러면 격변설의 가장 큰 ... ...
왼손잡이「로키」의 비밀
과학동아
l
1991년 10호
됐으나 그와 같은 단순판정이 비합리적이라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새로운 구별법이 속속
등장
했다. 그중 대표적인 것이 영국 에딘버러대학의 올드필드교수가개발한 '잠재지수법'인데 여러 항목을 조사한 뒤에 왼손잡이인가 오른손잡이인가를 최종판정하게 된다. 그러나 이 방법 역시 완벽하지 않기 ... ...
1. 1천m이상 「수직도시」구상까지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시카고 뉴욕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1930년대에 이미 1백층이 넘는 초고층건물이 뉴욕에
등장
했다. 초고층건물은 고층건물의 발달에 따라 필연적으로 나타나게 되지만, 구조기술 및 시공기술의 진보보다는 사회적 경제적인 조건이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70년대 이후에 지어진 미국의 주요 ... ...
거꾸로 매달린 허영심 많은 왕비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그리스 신화 속에서 이 둘은 안드로메다의 부모이며 에티오피아의 왕과 왕비로
등장
한다. 신화에 따르면 카시오페이아는 한때 네레이드(Nereid)라고 불리는 바다의 요정들보다 자신이 더 아름답다고 자만하고 다녔다. 곧 바다의 신인 포세이돈의 노여움을 사게됐고 결국 그는 무서운 괴물을 보내 ... ...
3. 멀티유저와 다중처리가 가능해진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많은 하드웨어 자원을 소요하므로 AT급 PC에서는 수용하기 어려웠으나 최근 386 PC가
등장
하면서 크게 발전하고 있다.이들 새로운 기능을 제공하는 운영체제는 크게 네가지 흐름으로 나눌 수 있다.첫째는 기존의 MS-DOS의 연장선상에서 해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MS-DOS위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를 ... ...
1. 트랜지스터 1백만개 이상 집적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끊임없이 높아져 10년 내에 64비트형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수백 MIPS급 속도를 가진 것이
등장
하여 더욱 높은 성능의 PC(그때쯤이면 PC라는 용어가 적합할지도 의문이지만)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 이와같은 추세를 나타내면 (그림)과 같다 ... ...
5. 수첩크기 3백g짜리 초소형 컴퓨터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작아진 노트 PC가 세계 PC 애호가들의 인기를 한 몸에 받고 있다.노트북 PC보다 앞서
등장
했던 3~9kg 무게의 무릎 위에 올려놓을 수 있는 랩톱(laptop)은 데스크톱과 호환성이 있으며, 크기가 작아졌다는 것 외에는 별 장점이 없고 특히 국내에서는 사람들의 체형에 맞지않아(무거워서) 그 열기는 금세 ... ...
(1) 3백85㎏의 월석이 밝혀준 사실들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의해 달이 지구에 22만5천km 이내로는 결코 가까와질 수 없다는 것을 증명했다.그 다음에
등장
한 것이 다른 천체가 지구 옆을 통과하다가 붙잡혔다는 포획설인데, 이 또한 정설로는 받아들여지지 않고 있다. 붙잡혀 있기보다는 오히려 충돌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아폴로가 가져온 월석이나 ... ...
이전
494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