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신
자아
자체
도자기
도기
자기자신
본인
d라이브러리
"
자기
"(으)로 총 5,818건 검색되었습니다.
신형 김양식구 만든 윤유택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편안히 잘 수 없기' 때문이다.그도 인생에 후회나 반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후배들은
자기
처럼 나라를 위해 큰 발명을 하겠다고 일을 벌리지만 말고 조그만 아이디어에서부터 출발하라는 당부를 덧붙이기도 한다. 그러나 지나온 날이 어쨌다해도 발명에 신들린 그의 삶은 앞으로도 그대로일 것같다 ... ...
(1) 우연한 발견이 역사를 뒤바꿔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안된다는 것이다. 자신의 학식을 과신하는 과학자는 새로운 관찰을 이상히 여기지 않고
자기
대로 설명하면서 대수롭지 않게 여기는 경향이 크기 때문이다. 물론 박식한 과학자가 모두 그렇지는 않으나 고집스런 아집과 편견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과학자를 우리는 종종 주위에서 본다. 저분자의 ... ...
과학기술발전의 기틀 마련한 초창기의 원자력연구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해주겠다고 하니 그만둡시다.""말도 안됩니다. 방사성 폐기물은 어디에서도 말썽인데
자기
네들이 어떻게 해준다는 겁니까?"국제원자력기구가 프랑스에 압력을 가하고 프랑스에서 기술원조를 해주겠다던 협정을 파기하고 나오자 결국 핵연료 재처리사업을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핵연료를 기공하는 ... ...
별은 왜 비스듬히 뜨고 지는가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못한 독자는 이 글 또한 이해할 수 없다. 차츰차츰 어려워지는 전개과정에 유의해
자기
가 어디까지 소화했는지 점검해주기 바란다. 천구는 2월호 (그림1)처럼 관측자를 기준으로 정의되고 또한 2월호 (그림3)처럼 지구를 기준으로 정의될 수도 있음을 알았다. 앞에서 정의된 용어가 지평선과 ... ...
${10}^{-29}$㎝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 이하를 다룬다. 너무 짧은 거리이므로 실험으로 직접 관측할 수 없다. 뿐만 아니라 전
자기
력 약력 강력 등도 서로 구별되지 않는 초고에너지인 대통일 에너지가 필요하므로 과학자들은 실험실이 아닌 우주를 관측하면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희망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우주 생성 초기의 상태를 ... ...
(3) 전자파 장해 막을 수 없나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바뀐 전기장의 방향에 따라 재정렬하게 된다. 하나하나의 분자쌍극자의 움직임은 지구
자기
의 방향을 찾아 나침반의 바늘이 움직이는 것과 유사하다.이 과정에서 각 분자 쌍극자들 사이에서는 마찰이 일어나 열이 발생한다. 만약 외부전기장의 극성방향을 바꾸어 주는 빈도를 매우 빠르게 하면, 그 ... ...
컴퓨터가 연출하는 「영화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매력은 첨단의 공상과학영화를 감독한 사람이나 특수효과를 담당했던 사람까지도
자기
가 만든 영화를 보면서 웃음과 서스펜스를 느낀다는 것이다. 영화는 우리의 삶을 비쳐주며 때로는 과거의 향수에 젖게 한다. 그런가 하면 미래를 조명해 주는 훌륭한 영상매체다. 따라서 영화는 인류가 존재하는 ... ...
고려청자 비색의 비밀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뒤이은 몽고와 일본의 침략으로 쇠퇴해갔다. 오늘날 발전된 과학기술을 동원하고 도
자기
산업이 번성하더라도 그 시대정신이 담긴 청자의 비색은 100% 완벽하게 재현하기 힘들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 ...
(4) 신설 전파공학과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전파공학과가 분리됐다해도 기존의 전자공학과와 교수·학생을 폭넓게 교류해 학생들이
자기
지향과 재능을 다양하게 검토해볼 수 있는 통로를 만드는 일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 ... ...
4 피뢰침에서 로봇까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반도체로 만든 다이오드와 트랜지스터를 탄생시켰다. 이로써 작고 신뢰도가 높은 전
자기
기들이 만들어지기 시작했다.그후 중요한 진보는 몇개의 전자부품을 하나의 반도체로 통합하는 기술로 이어졌는데 집적회로의 발전이 그것이다. 최초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1970년에 만들어졌고 집적도는 ... ...
이전
495
496
497
498
499
500
501
502
5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