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금"(으)로 총 12,639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토끼가 알아본 2020 대한민국 달탐사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거리의 1000배나 된다고! 그래서 달에 오려면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다고~! 그 핵심기술은 지금부터 똑똑한 달토끼가 설명해 줄게!먼 우주 거침없이 가르는 힘 추진기관달 탐사선은 40만㎞를 날아가야 하므로 엄청난 힘을 가진 추진기관이 필요하다. 달 탐사선을 싣고 날아가는 한국형발사체는 1단에 7 ... ...
- 학문의 즐거움을 설파한 히로나카 헤이스케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세대지만, 미국으로 유학을 가서 대수학자로 성장한 입지전적인 인물이다. 82세의 나이인 지금도 강의와 연구를 하며 정렬적인 활동을 펼치고 있다. 그에게 ‘학문’은 어떤 의미일까?전쟁의 와중에 수학에 사로잡힌 소년히로나카는 1931년에 일본 야마구치현에서 태어나 유년기를 전쟁의 궁핍함 ... ...
- [W5 코드 브레이커] 해커와의 한판 승부, 사이버 정보 전쟁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암호체계는 슈퍼컴퓨터를 사용해도 암호를 해독하는 데 10억 년 이상 걸린다는 점 때문에 지금까지 가장 안전한 암호체계로 쓰이고 있다. 하지만 해커들은 직접 암호를 풀지 않고, 공격 대상의 컴퓨터를 감시하면서 암호를 풀 때 사용한 암호키 정보를 알아내 비대칭 암호체계마저 파괴하곤 한다. ... ...
- 서울공대 카페 ➓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개발해 미국과 독일 같은 원자력 선진국의 동료 연구진들에게 인정을 받고 있다”면서 “지금도 원자로 설계에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고성능 원자로핵반응 시뮬레이터에 필요한 효율적이고 정확한 첨단 시뮬레이션 방법과 프로그램 개발을 계속하고 있다”고 설명했다.주 교수는 마지막으로 ... ...
- 생태계 파수꾼 꿀벌, 도시 하늘을 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꿀벌을 키우는 일이 가능할까?’라는 호기심에 처음 시작한 꿀벌프로젝트가 지금은 긴자의 명물이 됐다. 도시 한 가운데서 벌꿀을 매년 1톤씩 생산한다는 사실에 많은 사람들이 놀라워한다. 삭막했던 빌딩 옥상에 꽃밭이 들어서고 사람들이 모이기 시작하면서 주변 학교 학생들도 단체로 견학을 ... ...
- [해외취재] 피터팬 VS 후크 선장, 수학 예술로 네버랜드를 바꿔라!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나를 골탕먹일 계획을 세우고 있었구만! 하지만 이 그림은 참 매력적이군. 좋다, 피터팬! 지금 당장 네덜란드로 안내하도록!급하시기는~. ‘아는 만큼 보인다’는 말도 몰라? 떠나기 전에 먼저 에스허르에 대해 공부부터 하라고~.좌절을 극복한 예술가, 에스허르에스허르는 1898년 네덜란드 북부의 ... ...
- [체험] 유신고등학교 수학동아리 MAX수학동아 l2013년 10호
- 졸업한 선배들이 자신의 꿈에 한걸음씩 다가가는 모습을 볼 때마다 매우 자랑스럽습니다.지금 졸업한 선배들이 후배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듯이, 재학생들도 선후배간에 서로 믿고 이끌어 준다면 더욱 알찬 동아리로 성장하리라 믿습니다. 수학동아 독자 여러분도 동아리를 통해 자신만의 꿈을 ... ...
- PART 1 중장비, 도시를 지탱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곳에 들어가니 각종 전기 설비와 유압 탱크가 늘어서 있었다.“여기가 터널 끝입니다. 지금 보이는 중장비가 바로 땅 파는 기계 두더지, TBM이라는 굴착 기계예요.”후진 못 하는 거대 애벌레고개를 드는 순간, 거대한 원통형 기계가 기자를 맞았다. 영화 ‘설국열차’에 나오는 커다란 엔진 같았다. ... ...
- [hot science] 버섯으로 집을 짓는다고?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뼈대는 나무를 사용했지만 바닥과 벽 지붕 등 주요 부분은 모두 생체재료를 이용했다. 지금 이들은 이 집의 성능과 효율을 시험하고 있다. 과학적인 검증 남아이들의 버섯® 재료는 지난 5월 미국 환경청으로부터도 자금 지원을 받았다. 단열재와 절연체로 쓰는 또다른 플라스틱인 폴리우레탄을 ... ...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손쉽게 재배할 수 있는 고구마가 구황작물로 인기리에 재배되었을 것이다.한국은 지금은 약 26만t(0.24%)을 생산하고 있지만 식량이 부족한 1965년도에는 약300만t을 생산하여 국민들의 굶주림을 해결하는 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북한의 만성적인 식량문제를 해결하는 데에도 고구마가 해법이 될 수 ... ...
이전4954964974984995005015025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