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장치"(으)로 총 4,309건 검색되었습니다.
-
- 첨단과학무기의 산실! 국방과학연구소수학동아 l201404
- 무용지물이나 다름 없습니다. 현재는 유도탄이 먼 길을 제대로 가기 위해 인공위성항법장치, 즉 GPS를 활용하고 있어요. GPS에도 수학의 원리가 들어가 있지요. 삼각함수를 이용하면, 유도탄의 현재 위치와 목표물의 위치가 좌표상의 수치로 변환되어 계속 비교해가면서 정확도를 높일 수 있어요 ... ...
-
- 개인정보 보호, 새로운 암호체계가 답이다!수학동아 l201403
- 팔아넘긴 사건이다. 범인은 카드사의 전산망에 접근해 고객의 개인정보를 이동저장장치(USB)에 복사하는 방법으로 손쉽게 정보를 빼돌렸다. 그런데 어떻게 이것이 가능했을까?그 이유는 기존 암호체계의 단점에서 찾을 수 있다.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모든 암호는 암호가 걸린 상태에서 통계적인 ... ...
-
- PART2. 공룡이 멸종하지 않았다면?과학동아 l201403
- 공감하고, 상대의 의도를 파악하며, 나름의 전략을 짜려면 뇌는 고도의 사회적인 장치가 돼야했다. 이런 지능을 일부 공룡은 감당할 수 있었다.그 중 하나가 백악기에 이미 살았다. 바로 수각류 트로오돈류였다. 트로오돈류는 당시 공룡 중에서 몸에 비해 뇌가 가장 큰 편이었다. 그 외에도 유리한 ... ...
-
- 총기사고 막는 스마트 총과학동아 l201403
- 고유 번호를 입력하고 손가락과 손바닥 지문을 인식해야 발사가 되는 등 다중 안전장치를 채용하고 있다. 연구를 주도한 스티븐 테렛박사팀은 뉴저지 일부 주는 이미 기술을 적용하도록 법까지 개정해 둔 상태라고 밝혔다 ... ...
-
- Robot 수학으로 생명을 불어넣다 !수학동아 l201403
- 특징과 그에 따른 움직임을 철저히 분석하고, 신호에 대응하는 움직임을 로봇의 기억장치에 기억시켜 둔다.하지만 이 기술은 아직까지 몇 가지 해결해야 하는 점이 있다. 그 중 하나가 바로 생체 전기 신호의 세기가 너무 작아서 신호를 인식하고 구별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따라서 수학자들과 ... ...
-
- 외계인도 잘 생겨야 하는 더러운 세상...과학동아 l201403
- 건 말이 안 됩니다. 제대로 묘사하려면 아마도 우주복도 입히고 호흡기도 달고 시각 장치도 달고 외골격도 입게 해야겠지요.아주 운이 좋아서 지구 같은 환경에서 인간과 아주 비슷하게 진화했다고 해 보죠. 외계인이 지구의 음식을 먹을 수 있을까요? 하다못해 다른 나라만 가도 먹는 걸 조심해야 할 ... ...
-
- 시속 320km로 내리꽂는 하늘의 지배자과학동아 l201403
- 개 있지만, 가마우지는 발 뼈 네 개 사이에 물갈퀴가 세 개가 있다. 물갈퀴는 일종의 추진장치다. 방향조절도 자유자재로 가능하고, 더 큰 힘으로 밀어낼 수 있다. 특히 가마우지는 다른 새보다 다리가 뒤쪽에 달려서 물을 밀어내는 힘이 좋다. 가마우지는 깃털이 방수가 아니기 때문에 사냥이 끝나면 ... ...
-
- PART1 제1차 세계대전은 어이없이 일어났다과학동아 l201402
- 여지를 충분히 남겨두어, 명분에 따라서는 전쟁의 불구덩이로 끌려 들어가지 않을 장치가 곳곳에 있었다.가장 심각했던 것은 군대를 지배하고 있던 독특한 논리와 전쟁 계획이었다. 당시 유럽 주요 국가들은 국민개병제를 채택해 동원능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켰다. 1914년에는 독일, 프랑스가 각각 ... ...
-
- 혈당 체크해주는 ‘스마트 렌즈’과학동아 l201402
- 개발에 참여한 워싱턴대 전기공학과 브라이언 오티스 교수는 “작은 렌즈 안에 모든 장치를 소형화해서 넣는 것은 수년의 기간이 걸린 엄청난 작업이었다”고 말했다 ... ...
-
- 아이컨택하면 정말 내 말에 넘어갈까?과학동아 l201402
- 눈동자의 움직임을 기록했다. 아이트래커는 눈동자 움직임을 정밀하게 기록하는 장치다. 이를 이용해 사람들이 화면에서 어느 부분을 얼마나 응시하고 있는지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었다. 동영상을 보고 난 후 연구팀은 사람들에게 다시 한번 각 주제에 대한 찬반 의견을 물었다.결과는 어땠을까?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