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RNA 바이러스 기원을 찾아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미생물학과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RNA 바이러스진화의 ‘잃어버린 고리’를 발견해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4월 7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abm5847 잃어버린 고리는 생물 진화과정의 순서를 나타내는 계통도에서 아직 밝혀지지 않은 부분을 일컫는 말이다. 연구팀은 5개 해양 121곳에서 ... ...
[과학뉴스] 99.8%까지 정확도 향상된 2큐비트 양자 컴퓨터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양자프로세서를 개발해 연산 정확도를 99.8% 수준까지 끌어올린 연구 결과를 지난 4월 6일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adv.abn5130 양자 컴퓨터는 한 개의 처리 장치에서 여러 계산을 동시에 수행하기 때문에 정보 처리 속도가 기존 컴퓨터보다 월등히 빠르다는 장점이 ... ...
[가상인터뷰] 비장이 크면 사회적 계급이 더 높은 벌거숭이두더지쥐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공동연구팀은 계급이 높은 벌거숭이두더지쥐가 더 큰 비장을 갖게 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오픈 바이올로지’ 4월 6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098/rsob.210292 연구 과정을 연구팀과의 가상인터뷰 형식으로 재구성했다. Q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어떤 동물인가? 벌거숭이두더지쥐는 아프리카에 ... ...
[특집] 위기의 원인은 공급, 수요, 배분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아시아의 개발도상국에서는 경제적 논리에 의해 공급이 막힐 수 있다. 실제로
국제
적십자사는 최근 식량 위기로 아프리카에서 3억 4000만 명, 전체 인구의 25%가 식량 불안정을 느낄 것이라고 밝혔다. 201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하지만 4월 3일 기준 전 세계의 식량 재고는 약 8억 3600만 t(톤)으로 ... ...
[수학체험실] 스프링으로 만든 곡선의 아름다움, 스트링 아트
수학동아
l
2022년 05호
도심과 송도
국제
도시를 잇는 송도
국제
교는 밤이 되면 직선으로 만든 4개의 곡선이 조명과 만나 더욱 아름답게 빛난다. 어떻게 직선으로 곡선을 만들어 냈을까? ‘스트링 아트’라 불리는 기법에 숨겨진 함수의 규칙을 살펴보고, 이를 활용해 입체 스탠드를 만들어 보자. 스트링 아트에 담긴 ... ...
[통합과학 교과서] 황금알 낳는 닭 사시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좋은 화석이지요. 지난해 12월, 중국지질대학교의 고생물학자인 리다 싱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이 연구 결과를 발표하면서 공개한 화석입니다.이 화석의 이름은 ‘아기 잉량’입니다. 지난 2000년에 화석을 발견한 잉량 채석 회사의 이름을 따왔죠. 평범한 알 화석으로 생각했던 아기 잉량의 ... ...
[수학뉴스] 우크라이나 침공에 항의! 세계수학자대회 온라인으로 개최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단체에게 테러를 당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세계수학자대회가 열리는 나라에서 진행되던
국제
수학연맹 정기총회도 이번 사태로 러시아가 아닌 핀란드에서 치러질 예정이에요 ... ...
[과학뉴스] 감마선으로 바라본 초신성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수 있고, 궁극적으로 우주 입자 가속을 상세히 연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3월 10일자에 실렸다. doi: 10.1126/science.abn056 ... ...
[과학뉴스] 아마존 열대 우림, 75%가 복원력 잃어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연구원팀은 아마존 열대 우림의 75% 이상이 복원력을 잃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지 ‘네이처 기후 변화’ 3월 7일 자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58-022-01287-8 연구팀은 1991년~2016년 사이 아마존 열대 우림을 촬영한 위성 데이터를 분석했다. 그 결과 2000년대 초반부터 열대 우림 지역의 상당 부분이 . ...
[과학뉴스] 원인 불명 꿀벌 집단 실종 사태 발생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이미다클로프리드 등)가 꽃가루 매개자인 꿀벌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되기도 했다. doi: 10.1126/science.aan3684 문제는 여러 요인이 함께 작용해서 CCD가 발생했을 뿐 정확한 CCD의 원인은 아직도 미상이라는 점이다.국내에서도 CCD 발생 후 원인 분석이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