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쪽
타인
남성
남자
남방
남녘
남방셔츠
d라이브러리
"
남
"(으)로 총 1,914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통제하길 원한다. 작은 부분이라도 자신의 기준과 어긋나면 참지 못한다. 이것을
남
에게도 강요한다. 부자관계처럼 권력이 작용하는 관계에서는 더욱 심하다. 자신의 기대에 조금만 어긋나도 혹독한 훈계가 이어졌을 거다. 이런 사람에게 아들의 상태를 이해시키는 건 굉장히 어렵다. 자신의 ... ...
PART7. 인류의 꿈이 모였다 이터(ITER)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듯 했다. 활엽수가 무성하게 덮인 벌판 한가운데에 놓인 가로 1km, 세로 0.5km의 부지 위로
남
프랑스 프로방스의 따스한 햇살이 내리쬐고 있었다. 현재 거대한 건물을 짓기 위한 기초작업이 한창이었다. 이곳에서는 진짜 발전소 규모의 장치를 이용해서 핵융합 에너지 실험을 진행한다.실제 전기 생산 ... ...
PART 2 블랙홀 속 수학여행
수학동아
l
2014년 12호
스위스에서 아인슈타인에게 수학을 가르쳤던 스승이다. 그러나 둘의 관계는
남
달랐다. 아인슈타인은 수학을 자신의 물리 연구에 도움이 될 정도로만 공부했고, 이를 못마땅하게 여긴 민코프스키는 아인슈타인을 ‘게으른 개’라고 부르기까지 했다. 그래도 아인슈타인은 민코프스키의 강의를 ... ...
PART4. 핵융합 실현 기술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실험장치 ‘KSTAR(케이스타)’가 토카막 방식이기 때문이다. 토카막은 핵융합 선진국들이
남
프랑스에 공동으로 건설하고 있는 대형 핵융합 실험로 ‘이터(ITER)’가 따르고 있는 방식이기도 하다(7파트 참조). 특히 케이스타와 이터가 도입한 초전도 전자석 토카막 방식은 현재 효율적인 핵융합 ... ...
“클림트의 그림은 왜 더 야할까?”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풀어냈다. 이들이 그린 모더니즘 초상화는 과학탐구에 매우 적합하다. 초상화는
남
의 얼굴 표정과 신체 자세에 작가가 지각적·정서적·감정이입 측면에서 어떻게 반응했는지를 알려주기 때문이다.책은 빈 분리파의 인간의 시각과 감정에 관한 이야기로 시작한다. 후반부에서는 창의성의 근원에 ... ...
[life & tech] 더럽혀진 선행은 선행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호시탐탐 노리는 군대 선임 같다. 이런 깐깐한 기준 때문에 우리는 선한 일을 할 때면
남
의 눈치를 보며 자기검열을 하게 됐다.사람들이 이런 엄중한 잣대를 내려놓게 할 수 있는 방법이 없는 것은 아니다. 사람들에게 ‘선행과 무관한 의도’가 실은 나쁜 방향으로도 얼마든지 실현될 수 있다는 것을 ... ...
EPILOGUE 이그노벨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몸에 좋다고 인정받으려면 여러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우선 위산과 담즙산에서 살아
남
아 소장까지 도달할수 있어야 하고, 장에서 증식하며 정착할 수 있어야 한다. 독성이 없고 비병원성이여야 함은 물론이고 건강에 좋은 효과까지 발휘해야 한다. 이렇게 인정받은 유산균을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있게 된 것이다. 출중한 디자이너에서 이제 보안솔루션을 제공하는 융합연구가로 거듭난
남
연구원이 말을 이었다.“자나 깨나 위·변조 방지 방법만 고민합니다. 그게 제일이니까요. 그렇게 축적한 노하우에 대해서 만큼은 자신 있습니다. 우리가 개발한 기술이 많이 공유돼서 짝퉁 없는 세상이 ... ...
PART 2. 물리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교수가 항상 하는 조언이다. 그 역시 정말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다. 스스로
남
들이 어렵다고 생각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즐겁다고 말하곤 한다. 또 세계적 명성과는 달리 권위적이지 않고, 검소한 생활을 즐기는 모습도 인상적이다. 점심은 자신의 연구실에서 사과나 바나나로 ...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남
아 있지 않 아 비교할 수가 없다. 일부 학자들은 아시아의 호모 에렉투스의 얼굴이
남
아 있지 않은 이유가 식인이나 호전적인 공격성 때문이라는 가설을 제시하 지만, 증명된 적은 없다.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역사상 최초의 수렵인, 그러니까 처음으로 다른 동물들을 잡아 먹은 종이다. 사냥은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