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호
가리기
옹호
메우기
방지
폐지
d라이브러리
"
막기
"(으)로 총 1,230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우주론의 역사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발표하다. 중력은 시공간을 휜다.1917년아인슈타인이 정적인 우주의 수축을
막기
위해 우주상수를 도입하다.1920년섀플리와 커티스의 위대한 논쟁이 벌어지다. 이는 우주의 크기에 대한 논쟁이다.섀플리 : 우리은하가 우주 자체다!커티스 : 우주에는 더 많은 은하가 있다!1925년에드윈 허블이 성운으로 ... ...
콘서트홀이 따뜻한 소리 만드는 5가지 비밀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음이 양 벽면을 계속 왕복하면 노래방 마이크 같은 메아리가 생기기도 합니다.이를
막기
위해 공연장 옆 벽면에는 직육면체 구조물을 불규칙적으로 배치하거나 처음부터 벽면을 곡선 형태로 만듭니다. 벽에 부딪힌 음이 여러 방향으로 흩어지게 만드는 것이지요. 벽을 계단형으로 만들기도 하지만, ... ...
에디슨이 블랙아웃 막는다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까다롭고 전력망이 복잡해서 이상 전류가 어디로 튈지 예측하기가 어렵다. 블랙아웃을
막기
어려운 이유다.실제로 1965년 11월 9일, 미국 북동부 전체가 정전으로 마비된 적이 있다. 80만 명의 승객이 퇴근길에 뉴욕 전철에 갇혔고, 모든 기차가 정지했다. 착륙을 시도하던 비행기는 한동안 공항 상공을 ... ...
시간여행이 만든 잔혹한 스릴러
과학동아
l
2013년 12호
그럼 미래를 바꾸는 일은 가능할까. 정 박사와 동료들은 24시간 뒤에 벌어질 끔찍한 일을
막기
위해 발버둥치다가 점점 CCTV 속 모습과 똑같이 변해간다. 미래를 본 것 때문에 현재가 점점 그 미래 속 모습처럼 변해가는 것이다. 인과율로 따지면 역시 모순이다.하지만 현대과학이 시간여행의 가능성을 ... ...
11화 점차 밝혀지는 10개 방의 비밀
수학동아
l
2013년 11호
이렇게 여러 명의 메비우스 공작이 나타나 폴 일행을 괴롭히는 걸까? 테스티의 음모를
막기
위한 폴 일행의 여정은 어떻게 돼 가고 있는지 확인해 보자.미션 ❶ 환상의 방을 탈출하라!“어? 환상의 방? 세 번째 방의 이름인가?”세 번째 방 앞에 도착한 폴 일행이 문을 열었다.“환상은커녕 ... ...
다시 별의 낭만을 꿈꾸며
과학동아
l
2013년 11호
초보자를 위한 배려다. 책에 나온 모습과 자신이 본 모습이 다르다고 실망하는 사태를
막기
위해서다.하지만 명심할 것. 별에서 길을 구하던 사람들 대부분은 맨눈으로도 별을 봤다는 것. 별이 그리는 아름다운 길도 별자리도, 천구의 끝에 붙박혀 있는 것처럼 보이는 별 그 자체도 맨눈에는 그저 ... ...
너를 위한 이야기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자네를 따르지 않을 생각을 했고 그 생각을 다른 동료들에게도 전파할 예정이 었어. 그걸
막기
위해 한 대 패 줬고, 그 친구는 내가 진짜라는 것을 알고 겁이 나서 예정을 접었어.”라는 겁니다. 감별사님이라도 한 대 패고 싶지 않겠어요? 네?- 이것은 당신을 위한 이야기입니다.이 선장은 사람들이 ... ...
개미도 직업을 바꾼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연구팀은 밖을 오가는 수렵 개미가 알이나 여왕개미에게 기생충이나 질병을 옮기는 일을
막기
위해 이런 현상이 일어난다고보고 있어요. 수렵 개미들끼리만 교류하면 먹이 정보를 재빨리주고받을 수 있다는 이점도 있지요. 반면 청소 개미는 양육 개미나 수렵 개미와 만나고 교류하는 경우가 ... ...
연잎에서 나온 반도체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돋아있는 나노크기(1나노미터는 10억분의 1m)의 연잎 돌기가 잎에 물이 닿지 않도록
막기
때문이다. 포스텍 화학공학과 용기중 교수팀은 이런 연잎효과를 이용해 빛의 방향을 인식할 수 있는 광메모리 소자를 개발했다.연구진은 연잎 표면을 덮고 있는 돌기를 본떠 ‘나노선’ 돌기가 메모리 표면을 ... ...
[과학뉴스] 무서운 신종 조류독감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9호
우리나라에도 큰 피해를 끼친 H5N1과는 다른 신종인 H7N9형이라 기존 백신으로는
막기
어려워요. 게다가 조류가 아닌 사람에게만 치명적인 증상을 일으키고, 확산 속도도 무척 빠르지요. 18일에는 중국 정부에서 “이번 바이러스가 사람 사이에서 전염될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했어요. 가족 중에 여러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