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아프니까 청춘이다’가 와 닿지 않는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목표죠. 안 교수는 “한 학생에게 ‘한국에서 고등학교를 나와 KAIST에 입학했다면, 그 사람은 입시 과정에서 거의 한 번도 실패하지 않았다는 의미’라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전했습니다. 그렇기에 KAIST 학생들은 앞으로도 실패하지 않고 계속 성공의 길을 걷고 싶어 한다는 게 안 교수의 ... ...
- [커리어] 우리학교 과학시간엔요, 한국과학영재학교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저는 생활 속에서 화학으로 다가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자기 주위의 사람, 물건, 현상들에 더 주목하는 거죠. 바나나에 생기는 까만 점에 주목하고, 이 점이 냉장고에 넣었다 꺼내면 왜 더 빨리 생기는지, 이 현상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지, 이런 식으로 질문을 확장시키는 겁니다. 답을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몸속 의료용 로봇이 외과 수술을 대신하는 그날까지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몸에 악성 종양이 생기면 이를 제거하기 위한 외과 수술을 받는다. 큰 수술일수록 절개해야 하는 부분은 넓어진다. 그만큼 수술 이후 회 ... 연구가 시작되기 때문이죠. 환자와 의사에게 도움이 된다는 것, 그리고 여러 분야의 사람을 만나 함께 발전시켜 가는 연구라는 점이 가장 보람됩니다 ... ...
- 인공지능이 지켜준다, 스마트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카메라가 1초에 30장씩 사진을 찍어 분석기에 보내면, 분석기는 사진들을 비교해 사람이나 차량이 이동한 방향과 거리를 알아낼 수 있다”고 설명했어요. 이어 “이를 통해 어린이보호구역 등에서 차량이 과속을 하는지, 보행자가 무단횡단을 하는지, 자동차가 불법 주차를 했는지 등을 파악할 수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안전사고는 NO! VR 이용, 가이드라인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어른의 지도하에 사용해야 해요. 또, VR기기를 이용하다 멀미 등 어지러움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많아요. 따라서 어린이는 VR기기를 사용하더라도 10분 이내로 이용하고 적어도 10분 이상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무엇보다 VR기기는 강한 불빛으로 눈을 자극하므로 뇌전증, 광과민성 발작 등의 ... ...
- 물리와 수학의 가교를 놓은 물리수학의 창시자수학동아 l2023년 12호
- 사이에는 새로운 관계가 생겼습니다. 그는 ‘물리수학’이라는 새로운 학문 분야를 연 사람이기도 하지요. 수리물리학이 물리학에 필요한 수학적 방법론에 초점을 둔다면, 물리수학은 이에 대조되는 개념으로 물리 이론으로 수학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이에요. 위튼 교수의 제자이자 세계적인 ... ...
- [인터뷰] '재밌는 수학'으로 일본을 뒤흔든 베스트 셀러 작가, 사쿠라이 스스무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발명해 천문학자의 계산을 쉽게 만든 덕분에 많은 이의 생명을 구했어요. 이처럼 수학이 사람의 생명을 구할 만큼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대중에게 알리고 싶었습니다. “어릴 때부터 수학을 좋아해서 도쿄공업대학교 수학 전공으로 학사부터 박사 학위까지 땄어요. 대학원을 다닐 때 ... ...
- [Reth?nking] 제 11화. 증명은 왜 중요한가?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말하면서 증명에 정형화된 규칙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어요. 증명이 당시 수학을 하던 사람들 사이에 공통 약속처럼 자리를 잡았다는 것을 알려줍니다. 그럼에도 의 증명 방식에 대한 비판과 새로운 도전도 있었습니다. 에우클레이데스는 이 책에서 귀류법을 120번 넘게 사용해요. 귀류법은 ... ...
- [특집] Part2. 유전체 연구의 미래, 생물학에서 정밀의학으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도움이 되는 유전체 분석을 저렴하고 재미있게 진행할 수 있다면, 한국에서도 찾는 사람이 많아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마지막으로 서 회장에게 유전체학의 미래에 대해 물었다. 그는 2003년 4월, 프랜시스 콜린스 당시 미국 국립유전체연구소(NHGRI) 소장이 동료들과 네이처에 쓴 “유전체 연구의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해볼 수 있으면 좋겠어요. 정승호: 저는 그냥 그때그때 하고 싶은 걸 하며 살아야 하는 사람 같아요. 지금 목표는 저희 로켓이 고도 30km까지 올라가는 겁니다. 데이터 수집도 완벽하게 하고, 낙하산도 잘 펼쳐서 아무도 다치지 않게 발사가 잘 마무리되면 좋겠습니다. 크리스마스 이브, 한반도 하늘에 ... ...
이전4546474849505152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