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디자인
계획
구상
입안
착상
도안
건설
d라이브러리
"
설계
"(으)로 총 3,554건 검색되었습니다.
[킹앤포] 셀프 기념품 메이커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경진과 도현은 전날 교수님이 내주신
설계
를 하느라 밤을 지새웠고, 과제를 마치지 않은 채 수학동아 독자들을 만나러 왔다. 그런데 두 사람의 설명을 듣는 마르쿠스 열성팬인 독자의 시선이 예사롭지 않다. ...
[과학뉴스] 세계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 화가, 단독 전시 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몸통에 있는 카메라를 이용해 물체의 특징을 인식할 수 있어요. 또, 인체 공학적으로
설계
된 팔을 이용해서 연필이나 붓을 쥐고 그림을 그리거나 조각 작품도 만들 수 있답니다. 인공지능 알고리즘에 따라 앞에 보이는 물체의 모양과 위치 좌표를 해석해 예술 작품을 만드는 식이지요. 이번 ... ...
긱블 메이킹 현장 급습, 다마스쿠스 호미 머신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봉으로 연장하고 그 끝을 크랭크 바깥 부분에 붙여봤습니다. 나모 님은 3차원(3D) 모델링
설계
프로그램으로 미리 부품들을 합쳐보고 완성품의 움직임도 시뮬레이션 해봤습니다. 그렇다면 한 번에 성공할까요? 모터를 작동시켜보니 호미가 허공에서 허우적대기만 하네요. 호미의 움직임에 제약을 ... ...
여기는 AI 월드컵 현장입니다
과학동아
l
2019년 12호
말했다. 내년에 개최될 제3회 AI 월드컵은 올해보다 기술적으로 한 단계 더 까다롭게
설계
될 가능성이 크다. 김 교수는 “경기 결과를 쉽게 예측할 수 없도록 소프트웨어에서 경기 규칙 등 복잡도를 높일 계획”이라며 “이 소프트웨어는 로봇을 실제로 제작하기 전에 바퀴 속도를 테스트하는 등의 ... ...
[수학미술관] 매듭의 마술사 김윤철
수학동아
l
2019년 12호
겹친 형태로, 매듭은 18개나 됩니다. 크로마를 제작한 김윤철 작가는 크로마의 구조를
설계
하는 데에만 네 달이 걸렸습니다. 18개의 매듭이 겹치지 않고 가장 아름다운 형태로 보일 수 있도록 각도를 계산하고 수정하는 데에 그렇게 많은 시간이 걸린 거죠. 여기 김 작가의 드로잉 공책을 좀 보세요. ... ...
좌충우돌 보드게임 제작기
수학동아
l
2019년 11호
이 일에는 반드시 창작의 고통이 따라요. 그래도 ‘수학’에 의지하면서 보드게임
설계
과정을 즐겨보세요. 물론 보드게임 만들 때 ‘수학 역량’만 필요한 건 아니에요. 하지만 수학을 잘 하는 친구라면 분명 큰 도움이 될 거예요. 보드게임 플라스틱 플래닛도 이런 과정을 거쳐 탄생한 ... ...
빅뱅 이후 우주의
설계
도를 그리다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현대 우주론을 뒷받침하는 빅뱅(Big Bang·대폭발) 이론에 따르면 우주는 특이점에서 폭발적으로 생성됐다. 이때 발생한 빛은 너무 높은 온도와 밀도로 인해 갇혀 있었다. 태초에 어두웠던 우주를 밝힌 빛은 빛 분리시기(또는 재결합시기)라고 부르는 빅뱅 후 38만 년 뒤, 우주 온도가 3000K(절대온도) ... ...
처음부터 특별할 필요 없어요. 꾸준히 도전한다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국내에서
설계
와 구조공학을 모두 섭렵한 전문가는 5명 정도로 극소수다. 이 교수는 “
설계
와 구조공학 두 분야를 융합한 교과목을 개발해 가르치고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그는 건축 디자인과 구조공학을 접목한 ‘구조의 이해’ ‘구조 디자인’ 등 교과목을 직접 개발해 수업을 진행하고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뒤 심장박동기의 상승 시간과 하강 시간, 박동률, 박동 기간 등을 측정하는 알고리즘을
설계
해 국제학술지 ‘옵틱스 익스프레스’에 발표했다. doi: 10.1364/oe.23.013333 일반 심장근육세포는 몸속에서 1분간 약 60번 박동한다. 문 교수는 “몸 밖에서 유도만등줄기세포로 분화시킨 심장근육세포는 1분간 2 ... ...
[과학뉴스] 인공지능(AI)으로 초압축성 신소재 개발
과학동아
l
2019년 11호
네덜란드 연구팀이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새로운 초압축성 신소재를 개발했다.미구엘 베사 네덜란드 델프트공대 재료공학과 교수팀은 사람 ...
설계
했다. 연구팀은 AI가 실험의 수고를 덜어줄 뿐 아니라 인간이 생각하지 못한 새로운
설계
방식을 제시한다고 설명했다. doi: 10.1002/adma.20190484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