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수
적대자
경쟁 상대
적병
앙숙
원수지간
오랑캐
d라이브러리
"
적
"(으)로 총 5,301건 검색되었습니다.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①] 고래가 크릴을 먹어치우듯 지식 먹방러 허준이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예전에 허 교수가 자신의 전성기는 막내를 대학에 보낸 뒤에야 올 거라고 말한
적
이 있습니다. 허 교수의 필즈상 수상은 수학자로서 끝이기보다는 시작일 겁니다 ... ...
[필즈상 인터뷰 ➌] 제임스 메이나드 교수 “모든 큰 돌파구는 그 문제를 오랫동안 고민한 후에 나와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정수론의 오랜 문제를 도장 깨기하듯 풀어내는 젊은 수학자가 있습니다. 바로 2022 필즈상 수상자, 제임스 메이나드 영국 옥스퍼드대학교 수학과 교수입니다. 국제수학 ... 때문에 지금 당장 말하기 어려워요. 그래도 답해야 한다면 열정
적
이고 또 열정
적
인 수학자로 기억됐으면 좋겠어요 ... ...
[천상] 수학자들의 존경받는 스승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젊은 수학자들에게 한 마디 조언을 해 주세요. 새로운 아이디어에 열린 마음으로 지속
적
으로 질문하세요! 수학에 대한 끝없는 열정은 메이저 교수의 나이를 잊게 했습니다.앞으로도 활발히 연구를 이어가며 많은 수학자의 멘토가 되어주시길 바랍니다 ... ...
[네, 그래서 이과가 일해봤습니다] 네, 그래서 이과가 안구공유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겁니다. 강 교수는 “다른 기억은 건드리지 않고, 공포기억을 저장한 시냅스만 선택
적
으로 제거하기 위해선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doi: 10.1016/j.neuron.2021.07.003언젠가는 안 본 눈을 살 필요 없이 근처 병원으로 달려가면 기억을 지울 수 있는 세상이 올지도 모르겠네요. 그때는 “안 본 눈 ... ...
[이달의 책] 생각의 열쇠로 연 내면 세계의 문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갈 수 있는 ‘내면의 세계’로 가는 문을 열었다. 여러 철학자와 과학자들의 이론 중 핵심
적
인 몇 가지를 꼽아 이 책에 담았다. 2019년 한국에서 출간된 스턴버그의 ‘뇌가 지어낸 모든 세계’를 재밌게 읽었던 독자라면 더욱 기대해도 좋다. 에디슨이 없었다면 맥스웰의 로맨스도 쉬웠을 텐데오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멈춘 이유는? 조회수 : 3만 회채널명 : 이오 IO (구독자 수 : 19만 명)제주도는 옛
적
부터 바람이 심하게 부는 게 주민들의 골칫거리였어요. 거센 바람을 막기 위해 만든 돌담이 제주 마을의 상징이 될 정도였지요. 이처럼 애물단지였던 바람도 요즘엔 쓸모가 생겼어요. 제주도에 풍력발전기를 세워 ... ...
[출동! 슈퍼M] "번호판만 보고도 자동차 종류를 안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도로에서 자동차를 보다가 번호판에서 ‘1004’나 ‘1234’처럼 특별한 숫자를 발견한
적
있나요? 이처럼 번호판의 숫자를 보고 특별한 수라는 것을 한눈에 알아챈 수학자가 있답니다. 인도의 수학자 스리니바사 라마누잔은 어렸을 때부터 수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어요. 우체국에서 일하면서도 수학 ... ...
[필즈상 수상 소감] “낯설고 무게감 느껴져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낯설고 상의 무게가 무겁게 느껴집니다. 수학을 막 시작할 땐 필즈상을 받길 바란
적
은 없었어요. 다만 ‘수학자라는 직업으로 돈을 벌고 살 수 있으면 얼마나 좋을까?’하고 희망했고, 이조차도 굉장히 원대한 꿈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 ...
[수학이란?] 수학은 예술의 하나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상상하기도 힘든 큰 수의 사칙연산을 부담 없이 다루고 일상에서 ‘확률’이라는 추상
적
인 개념을 자유롭게 사용하는 지금의 일상을 10세대 전의 인류가 생각할 수 있었을까요? 는 허 교수님을 2014년 ‘수학계 떠오르는 스타’로 소개하고 인터뷰했어요. 그런데 알고보니 이 인터뷰가 허 ... ...
[김영훈 교수가 들려주는 허준이 교수 업
적
] 벡터 공간까지 범위를 넓히다! 로타의 추측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다항식의 계수가 사영다양체의 교차수와 같음을 증명했습니다. 이것이 허 교수의 혁명
적
인 아이디어입니다. 그러면 그 교차수의 호지-리만 관계가 로그-오목임이 밝혀집니다. 허 교수는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사영다양체를 거치지 않고도 특성 다항식의 계수들이 로그-오목이 됨을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