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이
간격
여가
틈새
거리
겨를
짬
d라이브러리
"
틈
"(으)로 총 1,029건 검색되었습니다.
꿈꾸미와 함께 떠나는 과학관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0호
친구도 있었어(❷). 종이 꽃이 피어나는 모습이 신기하지?거름종이에 있는 섬유소의
틈
은 아주 작은 관처럼 생겨서 물을 잘 빨아들여. 이때 잉크에 포함된 여러 색소가 물에 녹아 이동하는데, 색소마다 이동하는 속도가 달라. 그 결과 한가지 색으로 보이던 잉크가 여러 색깔로 나뉘어 퍼지는 거야(❸) ... ...
[통합과학] 메탄하이드레이트 추출과 CCS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0호
필요한 임계 압력보다 낮아지면, 메탄하이드레이트는 얼음과 메탄으로 분리돼 지각의
틈
을 따라 해수나 대기 중으로 방출된다.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해 얼었던 빙하가 녹아 간빙기에 접어들면 다시 해수면 상승과 그에 따른 압력 증가로 메탄하이드레이트 생성이 활발해진다. 열린계인 지구 ... ...
소리 안에 수학이 들려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아침에 눈을 떠 밤에 잠자리에 들 때까지 우리 귀는 쉴
틈
이 없다. 소리는 듣는 것이라기보다 들리는 것이기 때문이다. 피할 수 없다면 즐겨야 하는 법. 수학과 함께 소리의 정체를 알아보자.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심해저는 햇빛이 미치지 않는데도 1차 생산자가 영양분을 생산하고 있고, 해양 지각판
틈
사이로 뜨거운 물이 나오는 심해열수부에는 특이한 환경 탓에 독자적인 생태계가 마련됐을 것으로 보인다”며 “이들 지역에 대한 탐사가 이뤄진다면 해양생물종은 훨씬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 ...
스마트 의류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핵심 원리다.광섬유의 바깥을 불투명하게 덮고 있는 층에 화학적, 물리적 방법을 이용해
틈
을 낼 수 있다. 이 옷은 전기가 통하는 전도성 섬유로 만들기 때문에 따로 전선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유연하고 얇은 LED와 광섬유는 주변 환경이나 분위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빛으로 패션을 바꿀 수 ... ...
분산에 의한 빛의 마술 속으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❻ 과자 상자 가장자리의
틈
을 마스킹테이프로 막는다. 공 CD 부분에 눈을 대고 광원과
틈
을 일치시켜 스펙트럼을 관찰한다※ 주의! 태양빛은 직접 보면 안 되고 흰 벽면에 반사된 빛을 봐야 한다. 이세연 서울 명덕고에서 물리를 가르치고 있으며 과학교사 연구모임인 ‘신나는 과학을 만드는 ... ...
빅뱅의 비밀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친구에게 써 보세요.아주 작은데 0은 아니다? 여관 주인의 아들인 하리는 가모프가 나간
틈
을 타 해석한 내용을 읽어 봅니다. 거기에는 빅뱅 이전에 있었던 ‘인피니테시멀 월드’에서 일어난 일이 기록돼 있습니다. 태초에 착한 대선왕과 악한 대마왕이 싸웠습니다. 결국 대선왕이 이겨 대마왕을 ... ...
이제는 로봇이 싸운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중이다. 곤충 로봇은 작은 몸을 이용해 적의 눈에 띄지 않고도 정찰할 수 있으며, 좁은
틈
이나 구멍을 통해 건물 안으로 잠입할 수도 있다. 팩봇을 만든 아이로봇은 고체로 된 구동부가 없는 ‘켐봇’을 고안하기도 했다. 켐봇은 전기가 흐르면 수축하는 물질인 유전탄성체를 이용해 만든 로봇으로, ... ...
백두산 최후의 날?
과학동아
l
2010년 08호
나무들이 말라 죽은 것이 관찰됐다. 전문가들은 마그마 방에서 탈출한 화산가스가 지하
틈
새로 방출됐을 것으로 추정했다. 천지 온천의 수온이 올라가고, 온천에서 나오는 화산가스 중 헬륨(He)과 수소(H2)의 함량이 10배 이상 갑자증가하기 시작했다. 2002년~2005년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 관측으로 ... ...
‘4대강 살리기’ 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2005년 미국 뉴올리언스의 미시시피강은 허리케인이 다가오자 사람들이 미처 대피할
틈
도 주지 않고 넘치고 말았다. 모두 둑과 제방이 충분히 갖춰진 곳의 하류였다.허 교수는 이런 현상을 가리켜 “물은 억지로 막으면 다른 곳에서 터지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물을 관리하기 위해 실시하는 하천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