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과
교과목
강좌
교과안
과정
길
경로
뉴스
"
과목
"(으)로 총 61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인 수학자, 세계 수학계 주목 한 눈에 받다
2014.08.14
정말 많은 분들이 축하 e메일을 보내왔다”고 밝혔다. 황 교수는 늘 “수학은 체육
과목
과 같다”는 주장을 펴는 걸로도 유명하다. 수학은 머리를 계속 써야하지만, 그걸 즐기면서 열심히 할수록 실력은 늘어난다는 것이 황 교수의 지론이다. 그는 동아사이언스와의 인터뷰에서도 “수학 잘하는 ... ...
“교육과정 개편 다시 논의하라”
과학동아
l
2014.07.21
교수들이 고등학교 물리를 다시 가르쳐야 해서 정작 필요한 강의를 할 수 없고 수준 높은
과목
과 연계시기키도 어려운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번 개정안을 마련한 ‘교육과정 개정 연구위원회’ 위원 11명 전원이 문과 출신 교육학자라는 사실이 큰 문제로 지적됐다. 이에 18개 ... ...
드론은 폭격만 하지 않는다…新저널리즘 신무기로 등장
동아일보
l
2014.07.09
법인 설립을 끝내고 본격적인 사업에 들어갔다. "미주리대학교에는 '드론 저널리즘'이란
과목
까지 개설돼 있습니다. 드론을 이용해 찍은 사진과 동영상이 미디어에 노출됨으로써 포토저널리즘의 영역으로 들어올 수 있게 된 거지요. 앞으로 경성대 사진학과는 '드론 저널리즘'을 2015년쯤 대학원에 ... ...
과학 수업 줄어드는데 과학적 소양 키울 수 있나
과학동아
l
2014.06.18
것을 우려하며 이날 ‘한림원의 목소리’ 제42호를 통해 이번 개정안에서 수학과 과학
과목
을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 또 이번 개정안의 결정 과정과 관련해 “문·이과 통합형 교과과정의 개정 연구위원 11명 전원이 교육학자고 이중 10명이 문과 출신”이라는 문제점을 제기하고 “동 ... ...
“문·이과 통합? 적분 기호 모르는 공대생 수두룩할 것”
과학동아
l
2014.06.10
지적했다. 김 교수는 또 “문·이과 통합형 교과과정으로 학생들이 어렵게 느끼는 물리
과목
이 없어지게 될지도 모른다”며 “이는 한국이 IT강국으로 가는 길을 막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현재 정부의 행보는 수학, 소프트웨어, 물리학 중심의 교육으로 IT 최강국이 된 이스라엘과는 대조적이라는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진실’의 최고봉은 역시 현대물리학이 아닐까 한다. 필자 역시 대학원에서까지 양자역학
과목
을 들었지만(정확히는 양자화학) 솔직히 슈뢰딩거방정식을 풀면서도 이게 뭔 소린가 하는 ‘정신적 고통’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래서 웬만해서는 현대물리학을 에세이 소재로 다루지 않는데, 그래도 ... ...
[문화 칼럼/이덕환]‘세월호 참사’로 돌아본 과학교육
2014.06.03
교육학과 정치학까지 가르쳐야 한다는 주장은 황당한 것이다. 한국사를 포함한 ‘역사’
과목
은 감춰두고 ‘사회’와 ‘과학’의 균형을 강조하는 꼼수도 용납할 수 없다. 이러다 문·이과 통합이 아니라 이과 폐지의 가능성을 심각하게 걱정해야 하는 형편이다. 과학에 대한 최소한의 인식도 없는 ... ...
KAIST 학부생이 세계적 저널에 논문 발표
과학동아
l
2014.05.29
대부분 20대 초반에 아무도 수행하지 않은 세계적인 성과를 거뒀다”며 “다양한
과목
을 동시다발적으로 배우는 학부생 때가 창의적인 발상이 가장 많은 시기라서 적극적으로 연구에 참여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 ...
[과학의 달 기획]사이언스 마이크: 당신에게 과학이란?①
과학동아
l
2014.04.15
교육 현실을 보여주는 듯했다. 실제로 사교육의 범위는 비단 학교의 교과
과목
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예체능, 취미교양’ 분야가 전체 사교육의 32.1%를 차지하고 있다. 여기에는 과학 교구를 이용한 놀이도 포함된다. 좀 심하게 말하자면 과학이 이미 보편화돼버린 ... ...
최정문의 공대가 좋아! 시즌2 [제3편]
동아사이언스
l
2014.04.15
다루는 3가지 연구분야는 무엇인지 미니강연을 들어본 뒤, 재료공학이 요구하는 기초
과목
과 미래 신소재 분야에 대한 예측, 그리고 희토류 등의 독점 현상에 대한 해결방안은 무엇인지 등 전공 적성부터 미래 전망까지 다양한 질문과 답변 속에서 그 해답을 알아본다. ◆ MC: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