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단
연극단
끝
끄트머리
궁극
극치
극한
뉴스
"
한쪽
"(으)로 총 885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더위탈출! 강력한 물총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6
기체가
한쪽
방향으로만 흐르도록 만드는 장치예요. 체크 밸브 안에 들어 있는 얇은 막이
한쪽
방향으로만 공기를 흘려보내고, 반대 방향으로는 보내지 않기 때문이랍니다. 밀폐된 물병에 풍선 펌프로 공기를 불어 넣으면 공기가 물병 안에 압축돼요. 이때 빨대를 막고 있던 집게를 풀면 병 안에 ... ...
게임 '서든어택' 개발 뒷얘기가 궁금하다
과학동아
l
2018.07.14
밸런스가 더욱 중요하다. 컨테이너나 건물 등 장애물이 어떻게 놓여 있는지에 따라
한쪽
팀에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그래서 FPS의 맵은 양쪽 팀에 동일한 구조와 배치를 보여주는 ‘대칭형’이다. 서든어택에서 등장하는 장애물 - 넥슨 제공 김 디자이너는 “FPS는 1인칭 게임이기 때문에 실제 ... ...
해수욕장에서 발견한 농게, 정체가 궁금하다 ①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3
되는 아주 무거운 팔을 항상 들고 다니는 셈이지요. 이를 지탱하기 위해 수컷 농게는
한쪽
근육이 더 발달했어요. 성장 초기엔 양쪽의 근육이 비슷하다가, 갑각 크기가 5mm 정도가 되면 큰 집게로 성장하는 쪽의 근육은 더 길고 치밀해지지요. 수컷 농게의 엑스레이 사진. - GIB 사실 이렇게 큰 집게는 ... ...
인류, 3년 뒤면 ‘火星 바람소리’ 듣는다…프랑스 IRAP 연구소 가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7.13
연결된 소형 장비들이 눈에 들어왔다. 천체물리학자 실베스트르 모리스 연구원은 멸균실
한쪽
의 후드에 놓인 카메라 장비를 가리켰다. 그는 “NASA가 2020년 화성으로 보낼 예정인 차세대 화성 탐사로봇 ‘마스 2020’에 탑재되는 분석 기기”라며 “화성에서 과거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데 핵심적인 ... ...
별 집어삼키는 초거대 블랙홀의 ‘트림’ 포착
과학동아
l
2018.07.09
네트워크 등 세계 각지의 전파망원경이 10년간 이 전파를 관측했다. 그 결과 전파가
한쪽
방향으로만 방출된다는 사실을 확인했고, 이것이 제트 현상에서 나타나는 것과 동일한 현상임을 확인했다. 제트 현상으로 물질이 방출되는 속도는 광속의 4분의 1정도로 측정됐다. 연구에 참여한 미구엘 ... ...
'하트시그널'로 본 연애의 심리학
과학동아
l
2018.07.07
. 몸의 시그널 ‘배꼽의 법칙’ 두 여성 입주자 사이에 앉은 남성 입주자의 몸이
한쪽
방향으로 향한다. 양 원장은 이에 대해 ‘배꼽의 법칙’이라며 배꼽이 향하는 방향이 호감의 방향이라고 해석했다. 배꼽은 ‘몸통의 뇌’라고 불릴 만큼 많은 역할을 한다. 그중에서도 배꼽의 법칙은 1930년대에 ... ...
[카드뉴스] 세상에서 가장 작은 로봇이 말하는 당신의 건강은?
2018.07.05
성질을 이용해 25nm 길이의 미세한 로봇팔을 개발, 1월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로봇팔
한쪽
을 고정시킨 뒤 전기장을 가해 둥글게 회전 운동을 하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 컴퓨터를 이용해 통제가 가능하며, 작동 시간은 1000분의 1초로 빠르다. 이는 기존에 10초 걸리던 기술에서 시간을 1만 분의 1로 단축한 ... ...
지각 쪼개지고 파고들어...동해가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6.18
중력을 측정한 결과 경계 지역에서 측정값이 급격히 떨어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 역시
한쪽
이 아래로 파고들어 다른 쪽을 들어올릴 때 일어난다.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동해와 한반도의 경계가 초기 섭입대로 변하고 있다고 결론 내렸다. 이 상태가 지속되면 동해는 사라질 가능성이 있다. ... ...
뒤집혀 하늘을 나는 여자?
팝뉴스
l
2018.06.11
공중에 떠 있다.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사진은 해외 소셜 미디어에서 화제다. “
한쪽
팔로 바닥을 짚었다”고 주장하는 댓글도 보이는데 한 손으로 버틴다면 그것도 불가사의한 능력이다. 다른 손으로 V를 그린 것으로 보면 여유가 넘친다. 여성은 대단한 능력의 소유자라는 평가를 받는다. ... ...
사람 뇌는 왜 커졌나? 사회성 vs 환경적응 vs 유전자 이론 각축
동아사이언스
l
2018.06.08
기원 알면 뇌 크기 해답 보일 것” 동물의 뇌 크기에 대해 사회성과 생존 가설, 어느
한쪽
으로도 설명할 수 없다면 유전자를 통해 뇌 크기의 기원을 밝힐 수 없을까? 찰스 다윈은 진화를 생존에 유익한 방향으로 적응한 결과라고 설명한다. 이를 유전학적으로 다시 쓰면 다양한 환경적 요인과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