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확
정교
적확
명확
면밀
상세
세밀
스페셜
"
정밀
"(으)로 총 573건 검색되었습니다.
[남북협력 시나리오]완전한 비핵화 위한 해체 기술
과학동아
l
2018.06.11
같은 발전 용량을 가진 다른 원자로에 비해 규모가 큰 편이다. 고도의 기술을 적용해
정밀
하게 설계한 원자로가 아니다. 덩치가 크면 폐기물이 많다. 특히 원자로와 같은 원전 핵심설비에서 나오는 방사성폐기물은 방사화 돼 ‘방사성 때’를 벗기기가 쉽지 않다. 방사화된 부위를 아예 제거해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00명 가운데 한 명꼴로 아주 드문 현상이라고 추정됐지만 그 뒤 비율이 점점 올라가 2005년
정밀
조사 결과 23명에 한 명꼴로 공감각을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어떻게 20년 사이 비율이 1000배나 높아졌을까. 이에 대해 저자들은 과거에는 공감각자 대다수가 자신의 감각 체험이 특이하다는 걸 깨닫지 ... ...
전기장으로 움직이는 DNA 나노 로봇팔
동아사이언스
l
2018.01.21
것이다. DNA 오리가미 기술은 DNA 단일가닥이 스스로 결합하면서 나노미터 규모의
정밀
한 3차원 구조를 만들어낼 수 있다. 연구팀은 DNA 오리가미 기술로 가로 세로 55㎚ 크기의 플레이트와 여기에 연결돼 회전운동을 하는 25㎚ 길이의 막대를 만들었다. 시침만 있는 네모난 시계를 생각하면 이해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카페라테의 유체역학
2018.01.02
동영상으로 5배속이다. (출처: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연구자들은 이 현상을 좀 더
정밀
하게 분석하기 위해 우유와 에스프레소 대신 소금물과 색소를 탄 물로 실험해 보기로 했다. 즉 밀도가 높은 소금물에 파란 색소를 탄 밀도가 낮은 맹물을 부어 레이어드 라테를 재현한 것이다. 이때 용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약초 족도리풀, 알고 보니 독초?
2017.11.07
루마니아에서도 일종의 토착병으로 심각한 신장질환과 요로암 발생이 알려져 있었는데,
정밀
조사 결과 광방기와 같은 속의 식물(학명 Aristolochia clematitis)이 원인인 것으로 밝혀졌다. 즉 밀을 수확할 때 함께 자라던 잡초 아리스톨로키아 클레마티티스의 씨앗도 밀알에 섞여 들어갔고 이를 먹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017 노벨상 발표를 지켜보며 떠오른 두 명의 로널드
2017.10.10
조제프 웨버 교수가 은하중심에서 중력파를 검출했다는 소식을 접한 드레버는 더
정밀
한 장비를 만들어 이 결과를 재현해보기로 했다. 웨버의 데이터는 신호가 아니라 노이즈(잡음)일 가능성도 컸기 때문이다. 드레버는 웨버의 바(bar) 검출기보다 감도가 높은 버전을 만들었지만 중력파 검출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붙인다면 베타플러스(β+)입자이므로 이 과정을 베타플러스붕괴라고 부른다. 병원에서
정밀
진단을 할 때 쓰는 장비인 양전자단층촬영(PET)의 양전자는 이렇게 만들어진다. ● 40년 미스터리 풀리나 올해 창간된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천문학’ 최근호에는 우리 은하에서 매초 10의 43승 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네안데르탈인 화석, 알고 보니 호모 사피엔스!
2017.06.20
턱뼈 화석의 측정과정을 면밀히 검토한 결과 오류가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해 다시
정밀
하게 측정을 했고 그 결과 28만6000년 전이라는 새로운 결과를 얻었다. 이는 7번 층 부싯돌의 열발광연대측정 결과의 범위 안에 들어가는 값이다. 따라서 대략 30만 년 전이라고 볼 수 있고 따라서 호모 사피엔스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사라지기 전에 우리 몸이 진화적으로 적응한 생활을 하고 있는 이들의 생리를
정밀
하게 연구하기로 했다. 수렵채취인들은 남녀 모두 운동량이 엄청난데 남자는 사냥, 여자는 채집과 가공, 요리를 하느라 오랜 시간 돌아다니고 일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류학자들은 이들의 하루 칼로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또 다른 식욕억제호르몬 찾았다!
2017.03.21
관찰과
정밀
한 실험이 잘 알려진 단백질의 예상치 못한 기능을 밝힐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 리처드 팔미터 1950년대 미국 잭슨연구소의 연구자들은 특이한 돌연변이 생쥐를 얻었다. 이들은 식욕을 주체하지 못해 고도비만이 된 이 녀석에게 뚱보(obese)라는 이름을 붙여줬고 줄여서 ob생쥐라고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