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갑각"(으)로 총 137건 검색되었습니다.
-
- 한반도 바다의 지배자는 누구? 상어 VS 고래어린이과학동아 l201120
- 있다고! 난 무시무시한 판피어로, 이빨처럼 보이는 엄청난 턱뼈로 웬만한 갑각류는 그냥 막 부숴 먹었지. 한 입에 넣고 콱 물면 바로 대결 끝!우와! 다섯 동물 중에 누굴 본격 대결 후보로 뽑을까요?잠깐! 수장룡 삼총사는 빼라고! 중생대에 한반도는 모두 육지로 둘러싸여 있었어. 그래서 바다 지층이 ... ...
-
- 으라차차! 힘내라, 동물원 아기들어린이과학동아 l201118
- 홍학은 작은 새우와 갑각류를 먹기 시작하면서 깃털이 서서히 붉게 변하거든요. 새우나 갑각류에 많이 들어 있는 베타카로틴 덕분이에요. 정말 신기하죠? 멸종 위기종작은 몸집의 귀염둥이,아시아코끼리친구들~, 반가워! 나는 코끼리 계의 귀염둥이 아시아코끼리야. 오스트레일리아에 있는 한 ... ...
-
- 놀라워서 깡충! 거미어린이과학동아 l201106
- 곤충과는 다른 동물이란 걸 알겠니? 거미는 절지동물에 속하는데, 절지동물에는 곤충류, 갑각류, 다지류, 거미류가 들어간단다. 곤충과는 엄연히 다른 종류인 거지. 그럼 대체 거미는 어떤 동물과 친척이냐고? 거 미와 가장 가까운 동물은…, 바로 멋진 집게와 꼬리를 가진 전갈이야. □□도 ... ...
-
- 갑각류가 좋을까, 포유류가 좋을까과학동아 l201105
- 단정 짓기는 어렵습니다만, 사람의 곁에서 살아야 할 ‘지능형 서비스로봇’은 갑각류 형태가 더 유리할 거라고 보는 시각이 많습니다. 유압식은 힘이 워낙 강해 군사용이나 산업현장에서 더 각광받고 있습니다.넓은 의미에서 보면 자동화 된 기계는 모두 로봇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워낙 다양한 ... ...
-
- Part 3. 지구 살리는 구원투수 될까과학동아 l201102
- PNAS)’ 7월 6일 호에 실렸다.그 외에 바닷물의 pH가 하락하면 탄산이온이 감소해 조개나 갑각류 같은 석회화종이 껍질과 골격을 형성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앨런 로복은 2008년 ‘미국 핵과학자 회보’에 쓴 ‘지구공학이 위험한 20가지 이유’라는 글에서 ... ...
-
- 아름다움과 슬픔의 공존 - 서해5도과학동아 l201101
- 있다. 갯벌은 수많은 바다생물이 살아가는 터전이다. 서해안의 갯벌에 사는 어류와 갑각류, 조개류, 게류는 500종이 넘는다. 이들을 먹고 사는 물새도 갯벌의 혜택을 입는다. 갯벌은 오염물질을 없애는 자연의 청소부이기도 하다. 강을 따라 흘러온 오염물질은 염생식물이 한 번 거르고, 그 찌꺼기를 ... ...
-
- 과학으로 담그면 행복한 겁니다과학동아 l201011
- 모든 종류의 어패류 또는 부산물로 만들 수 있다. 국내에서 이용되는 원료로는 어류 29종, 갑각류 19종, 연체류 14종, 어패류나 내장과 아가미 12종, 어패류의 생식소 11종 등 모두 85종에 달한다. 김치에 젓갈을 넣는 이유는 젓갈이 가지고 있는 유익한 세균 때문이다. 젓갈은 이미 10~20%의 소금에 절여 ... ...
-
- 바닷가재와 문어, 누가 더 많을까과학동아 l201009
- 다음이 대서양(2%), 발틱해(2%) 순이었다. 가장 많이 유입되고 있는 생물종은 연체류(26.7%), 갑각류(22.0%), 어류(20.3%)였다. 외래종이 유입되는 가장 큰 원인은 선박의 이동이다. 선박은 운행 시 안전성을 높이고 화재 진압에 사용할 물을 갖춰놓기 위해 배 안에 항상 바닷물을 담아 놓거나 바닷물을 ... ...
-
- [culture] 한여름 기운 되찾아주는 패류의 왕 전복과학동아 l201006
- 사는 척추동물(어류)이지만, 연재 ‘밥상에 오른 물고기’에서는 전복(연체동물), 꽃게(갑각류)처럼 밥상에서 만날 수 있는, 물에 사는 동물도 다룬다. ◀ 전복 주산지인 전남 해남군 땅끝마을에서 어민들이 전복 양식장에 뿌릴 어린 전복을 선별하고 있다.한국에 살고 있는 전복은 둥근전복, ... ...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과학동아 l201004
- 덩치가 커지면서 천적도 사라지기 때문에 수명도 늘어날 것이라는 예측이다. 곤충과 갑각류, 거미류 같은 육상의 절지동물 몸집도 지금보다 훨씬 커진다. 산소 농도가 다시 올라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그 뒤 다시 한 차례 대멸종을 더 거쳐 2억년 뒤 지구는 또 다시 새로운 모습을 띠게 된다.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