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구역"(으)로 총 46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숲이야기] 여름 숲을 수놓는 하늘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13
- 특징이랍니다. 러시아, 중국, 한국에 분포하는 장수하늘소는 러시아의 우수리자연보호구역 일대가 대표적인 서식지예요. 우리나라에서는 과거에 강원도와 경기도 일대에서 관찰되었지만, 최근에는 국립수목원이 있는 광릉숲에서만 발견되는 매우 귀한 곤충이랍니다.광릉숲에서도 2006년에 암컷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12
- 장기저장고 내부는 마치 도서관과 같았다. 종자를 병에 넣고 밀봉한 뒤 기증한 기관별로 구역을 나눠 보관했다. 병마다 QR코드가 붙어 있어 컴퓨터로 미리 종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들어올 수 있다. 덕분에 신속히 작업할 수 있다.냉동실보다 온도가 낮은 저장고 내부에 성애가 생기지 않는 것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수청이와 제비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11
- 팀이 탐사구역을 배정받는 수원청개구리 탐사와 달리, 제비 탐사는 약 200개 팀만이 탐사구역을 배정받거든요. 나머지 팀들은 스스로 제비 둥지를 찾아야 하지요. 일단 꼬리가 양 갈래로 갈라진 귀여운 제비를 발견하면 미션은 절반 이상 성공한 셈이에요. 제비를 발견하면 근처에 둥지도 있다는 ... ...
- [과학뉴스] 대형 물고기 오줌이 산호초 지킨다과학동아 l201610
- 어업 활동이 활발한 곳에서는 몸집이 큰 물고기 종이 적었고, 인과 질소의 농도가 보호구역의 절반밖에 되지 않았다.연구팀은 몸집이 큰 물고기가 인이나 질소를 더 많이 배출하기 때문인지 실험으로 확인했다. 물고기를 크기에 따라 수조에 30분 동안 넣었다가 뺀 뒤 물속의 인과 질소의 양을 쟀다. ... ...
- [과학뉴스] 100편의 논문 남기고 떠난 ‘옥토끼’과학동아 l201609
- 개발된 위투는 무게가 140kg으로, 시속 200m의 속도로 움직이며 달의 북반구에 위치한 훙완 구역을 탐사했다. 2014년 2월 한때 작동 불능 상태에 빠지기도 했지만, 기적적으로 소생해 올해 7월 31일까지 작동을 이어왔다. 임무를 마친 위투는 달에 그대로 남게된다. 중국 정부는 2017년 달에 새로운 탐사선을 ... ...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09
- 드러납니다. 대뇌피질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언어 기능과 관련성을 확인해보면 대략 구역의 기능을 구분지을 수 있죠. 그림 c와 d에서는 특정 영역과 연결된 정도를 보여줍니다. 55b 영역이 수초가 적은 PSL 영역과는 연계성이 높은 반면, 수초가 많은 LIPv영역과는 연계성이 낮은 것이 한눈에 보이죠.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09
- 서울 잠실의 롯데월드타워 역시 이 구조다. 다만, 네 귀퉁이가 워낙 세입자들이 선호하는 구역이라 모서리 근처에 메가기둥을 세웠다는 차이만 있다.반면 킹덤타워는 Y자 형태의 구조를 택했다. 대개 ‘빌딩’하면 직육면체 모양을 떠올리지만, 킹덤타워는 과감히 그 모양을 버리고 Y자 모양을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09
- 63빌딩과 같은 초고층 건물의 경우 주변의 진동을 줄이기 위해 발파구역을 세분화하고 구역 간에 미세한 시차를 두는 작업을 한다.마지막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소음과 진동, 분진의 범위다. 초고층 건물에 중장비를 이용한 해체공법을 적용하면 소음과 분진이 너무 멀리까지 퍼진다. 따라서 ... ...
- [특별 인터뷰] 파워에너지 팀어린이과학동아 l201605
- 처음에는 개구리, 메뚜기 등을 잡는 게 익숙지 않아서 적응하기 힘들기도 했습니다.탐사 구역에 가다가 길을 잘못 들어서 헤맨 적이 있는데, 그날 엄청 무서웠어요. 그리고 처음 개구리를 잡던 날은 미끈거려서 비명을 질렀는데, 이제는 오래 하다보니 적응이 돼서 개구리는 제가 가장 잘 잡을걸요 ... ...
- [특별 인터뷰] 부지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604
- 수원청개구리를 많이 볼 수 없어서 너무 아쉬었어요.수원청개구리 탐사는 우리만의 구역을 정해 탐사를 하잖아요. 이렇게 개구리를 찾는 숨바꼭질 같은 탐사가 재미있었고, 꼭꼭 숨어 있던 개구리를 발견했을 때 기분은 날아갈 것 같았어요.전 매미탐사가 가장 기억에 남아요. 단연 최고의 장면은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