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치
고통점
유사관계
근사성
공통
d라이브러리
"
유사성
"(으)로 총 16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자고새가 두른, 천연 프랙탈 목도리
수학동아
l
201303
들어 아래 그림과 같은 코흐 곡선은 1차원인 선분으로 그려졌지만, 무한히 반복되는 자기
유사성
때문에 그 길이를 측정할 수 없다. 따라서 1차원 또는 2차원이라고 정의할 수 없다. 만델브로는 코흐 곡선처럼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중간 값을 가지는 도형의 차원을 설명하기 위해 새로운 개념인 ... ...
Part3. 뇌보다 똑똑한 인공 뇌
과학동아
l
201203
수학자 존 폰 노이만도 마찬가지였다. 노이만은 당시의 이론을 바탕으로 뇌와 컴퓨터의
유사성
과 차이점을 탐구했다.그렇다면 뇌도 일종의 컴퓨터라 할 수 있지 않을까. 1943년 신경생리학자 워렌 매컬럭과 월터 피츠는 ‘신경 활동에 내재한 논리 계산법에 대한 아이디어’라는 제목의 논문을 ... ...
비슷한 종이 더 빨리 멸종한다
과학동아
l
201107
가까운 종 사이에서 경쟁이 치열하고, 멸종도 더 자주 일어난다는 ‘계통유전에 의한
유사성
제한 가설’을 제안했다. 이 가설이 옳다는 사실이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연구 결과 처음 밝혀졌다.미국 조지아공대 생명과학대학 린 지앙 교수는 컴퓨터로 10개의 가상 생물을 만든 뒤 각각의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02
합성분해, 에너지 생산과 이용 등의 물질대사에서 같은 생화학적 방식을 이용하는
유사성
을 갖는다. 반면 세포막과 세포벽의 다른 구조와 세포내 소기관의 유무와 같은 차이를 갖는다. 생물속생설과 자연발생설미생물의 존재는 관찰 이전부터 예견돼 왔다. 로마의 철학자 ... ...
브누아 만델브로
과학동아
l
201012
줄리아 집합의 모양을 컴퓨터로 시각화했다. 그 안에도 무한히 반복되는 구조 속에 자기
유사성
이 켜켜이 쌓여 있는 프랙탈이 숨어 있었다.만델브로는 컴퓨터로 시각화한 신비한 프랙탈 이미지와, 그간 다양한 분야에서 찾아낸 프랙탈의 원리를 더해 1982년에 ‘자연의 프랙탈 기하학’을 출간했다. ... ...
내 안에 또 다른 나 있다
수학동아
l
201012
성질과 의미를 함축해서 한 단어로 표현해야 하니까.프랙탈의 가장 큰 특성은 ‘자기
유사성
(self-similarity)’이야. 내 안에 또 다른 내가 계속 존재하는 형태지. 난 프랙탈을 모든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게 그려내는 일에 온 정성을 쏟았네.하지만 내가 프랙탈을 처음 세상에 내놓았을 때는, 일반인은 ... ...
학문 그 이상을 배운 소중한 경험
과학동아
l
201004
의미론적으로 의학 단어 시스템(온톨로지) 중 어느 위치에 있고 상대적으로 단어 사이의
유사성
이 얼마나 많은지, 즉 온톨로지 상의 거리를 계산해서 같은 주제를 가진 문서끼리 분류하는 프로젝트를 실시했다. 단순히 같은 단어를 비교하기보다 단어들의 상대적 관계를 파악했고, 서로의 관계를 ... ...
논술 준비는 기본개념 정리부터
과학동아
l
200910
있다. ▽출제 유형 및 대비책 분석 성균관대는 그해에 치러진 모의고사와 실제 시험간의
유사성
이 매우 크다는 특징이 있다. 측정 자료를 바탕으로 관련된 다른 값을 예측하는 형태의 문제는 2008학년도 모의고사에서 출제됐는데 소재는 다르지만 같은 유형의 문제가 2008학년도 수시 2학기와 정시에 ... ...
조선시대 해양생태 보고서
과학동아
l
200910
고유성을 존중하자는 이러한 생각은 정약전의 분류작업이 담고 있는 생각과 이어진다.
유사성
과 차이를 결정하는 기준은 무엇을 비교대상으로 삼는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즉 종과 종 사이의 관계는 유전적 친연성이 몇 퍼센트인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인간의 분류체계는 ... ...
한국인 입맛 사로잡은 먹을거리 오징어
과학동아
l
200908
한 생물이 다른 생물로 변하는 것을 ‘화생(化生)’이라 부른다. 예전에는 사물 간의
유사성
을 찾아내고 상징을 부여하는 일이 일반적이었다. 오늘날 문학 하는 사람들도 이런 작업에 익숙하다. 그러나 예전 사람은 스스로 부여한 상징에 실제적인 의미를 덧입혔다. 이런 작업이 반복되고 당시 널리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