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line"(으)로 총 11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터넷 더 싸게, 더 빠르게과학동아 l199705
- 하지만 ADSL이라는 고속 디지털 모뎀도 기대되는 부분이다. Asymmetric Digital Subscriber Line의 약자로, 우리 말로는 ‘비대칭 디지털 가입자 전송 라인’으로 번역할 수 있는데, 전화국과 가정 사이에 전용 모뎀을 설치한 후 사용하는 방식이다. 기존 전화선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며 전송 속도가 T1 급이기 ... ...
- 3. 풍선을 처음 불 때 더 힘든 이유과학동아 l199702
- 이 문제에 대해 생각해 보기로 했다.먼저 같은 고무로 만들어진 고무줄과 비교해서, 줄(line)인 고무줄을 늘리는 것보다 면인 고무풍선을 늘리는 것이 힘들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고무줄은 잡아당길수록 힘들어지고 풍선은 크게 불수록 힘이 덜 들기 때문에 같은 원리가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 ... ...
- 1. 나의 인생과 직업을 바꾼 인터넷과학동아 l199609
- 통신을 시작하고 난 뒤 지금까지 7년여동안 1천여명 이상의 사람들을 실생활에서(Off-Line으로) 만났고, 사람들과 대화하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하루 24시간 동안 채팅방에서 ‘죽치고’ 채팅을 해도 그시간이 아깝지 않았다. 채팅을 하고 통신을 하기 위해서 필요하지도 않은 겨울학기를 신청해 ... ...
- 전설적인 해커, 아브락사스 방랑기과학동아 l199609
- 라는 명칭이 붙어버린 나는 또 다른 ‘해커이미지’ 에 시달리기 시작했다. 오프라인(off-line)모임에 나가보면 모두가 이렇게 말한다. “아, 저 사람이 BBS를 만든 프로그래머구나. 그런데 생각보다 되게 젊어 보인다.” 응당 프로그래머라고 하면 삼사십대의 중견기술자 이미지를 생각하는 모양이다. ... ...
- 우리집 홈페이지 만들기과학동아 l199605
- 8400을 적는다.hardware handshaking: 에러 교정을 위한 옵션으로 선택하는 것이 좋다.Online status detection: 모뎀 설정에 관한 고급설정의 하나인데, 현재 지원되고 있지 않다. none으로 선택한다.Cslip: slip의 단점을 개선한 Cslip를 지원하기 위한 옵션이다. 서비스 회사에서Cslip을 지원하는 ...
- 웹브라우저 넷스케이프 VS 익스플로러과학동아 l199605
- 이에 대항할 용량으로 자사의 브라우저(익스플로러)에 비슷한 개념의 인라인(In-Line)기능을 제공하고 있다.현재까지 발표된 플러그인 프로그램의 종류로는 다양한 형태의 파일을 즉석에서 볼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파일 뷰어, 음성 및 동영상을 실시간에 처리하는 멀티미디어용 프로그램, ... ...
- 최초의 농사꾼 잎꾼개미과학동아 l199603
- 잎꾼개미의 작업 현장은 현대 인간사회의 제조공장에서 볼 수 있는 어셈블리 라인(assembly line)을 방불케 한다. 몸 크기에 따라 적재적소에 배치, 자기가 맡은 임무에만 몰두하는 잎꾼개미야말로 인간사회 어느 곳에도 볼 수 없는 분업의 극치다.그렇다면 버섯농장의 종자는 어디서 구하는 것일까. ... ...
- 메모리 에러 응급처치과학동아 l199509
- CPU가 메모리에 기억돼 있는 것을 토대로 연산하기 위해서는 CPU와 메모리 사이에 선(line)이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안된다. 이 선은 크게 데이터선과 주소선(address line)으로 나뉘어진다.데이터선은 실제로 메모리에 기억된 데이터가 CPU와 메모리 사이에서 왔다 갔다 하는 선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이 ... ...
- 1 통신망 통해 짜릿한 가상전투 즐긴다과학동아 l199508
- talk Role Playing Game)에 두고 있다. TRPG는 테이블에 사람들이 모여 앉아서 오프라인 (Off-Line:On-Line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흔히 통신을 하는 사람들이 직접 대면하고 만나는 것을 지칭)으로 게임을 진행한다. 한명 내지는 두명의 게임 마스터(게임의 룰을 관리하고, 게임의 내용 안에서 절대적인 권력을 ...
- 인터네트 필수상식 25과학동아 l199410
- baram@soback.hana.nm.kr 이라 하면 된다.mail을 이용해 편지를 보내는 경우에는 줄단위 편집기(line editor)를 이용해 본문을 작성하는데, 마지막 줄의 첫 칸에 .을 찍거나, Ctrl-D 키를 누르면 본문작성을 마치게 된다. elm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vi와 같은 화면 단위 편집기가 나오는데. 완전 초보인 경우에는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