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계
맥박
경적
사이렌
심박동
북소리
두근거림
d라이브러리
"
고동
"(으)로 총 51건 검색되었습니다.
1. 역사
과학동아
l
1993년 01호
최초의 생물인 라이카는 우주공간 속에서 1백4분마다 지구를 선회하며 호흡률, 심장의
고동
및 생리적인 반응에 대한 자료를 1주일 정도 계속해서 보냈다. 그 이후에는 자동장치를 통해 약물을 주사함으로써 영원히 잠들게 했다. 스푸트니크 2호는 라이카를 실은 채 1958년 4월 14일 지구대기권에 ... ...
노지카박물관
과학동아
l
1992년 11호
연출되었다.이러한 연출 덕분에 사람들은 노지카에서 바다의 진실을, 그리고 그 심장의
고동
소리를 듣게 된다. 노지카의 연출 담당자들은 사람들에게 한번에 모든 것을 알릴 수 있는 연출이 되도록 노력하였다. 가령 특수제작한 투명한 반구형 합성수지를 수조 밑바닥에 장치하여 해저면과 같은 ... ...
좋은 소음, 나쁜소음
과학동아
l
1992년 06호
뿐 아니라 현기증과 멀미를 느끼게 한다. 들을 수 없는 '초저주파음'은 가슴이 뛰고 귀의
고동
이 열렸다 닫혔다하는 느낌을 갖게 만들 수 있다.전자음은 꼭 들을 수 있는 것이 아니더라도 우리의 컴퓨터나 통신기기 텔레비전 등을 망쳐놓기도 한다. 이 문제는 단순히 성가시다는 차원을 넘어선다. ... ...
왼쪽, 오른쪽
과학동아
l
1992년 04호
아직도 엄마들이 아기를 왼손으로 안는 이유는 그렇게 안겨짐으로써 아기가 엄마 심장의
고동
소리를 보다 잘 들을 수 있기 때문이라는 논리를 더욱 존중한다. 알고보면 심장이 중앙에 위치하고 있음이 사실이지만 심장은 가슴뼈 안에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심장의 정점은 약간 왼쪽으로 치우쳐져 ... ...
고슴도치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자고 있는 동안 고슴도치의 감각은 거의 없어진다. 심지어는 머리를 잘라도 심장의
고동
이 어느정도 그대로 지속된다는 것이 실험에 의해 증명됐다.식성은 잡식성으로 여러가지 곤충 작은 포유류 새 지렁이 달팽이 민달팽이 도마뱀 장지뱀 야생조류의 알 들쥐 잡초의 뿌리 과일 등을 좋아한다.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년 09호
지구가 무수한 생을 담고 소리없이 떠오른다. 들리는 것은 오직 자신의 호흡과 심장
고동
소리와 작은 유성들의 우박소리. 누구든지 여기에 서면 우주의 광대함과 신비를 경외하며 삶의 환희를 찬송하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이런 상황이 지금 이루어져 가고 있다. 자급자족의 유인생산기지 달 개발 ... ...
(주)건인 시스템 변대규
과학동아
l
1990년 03호
한국의 휴렛팩커드사'가 되라는 주문도 했다.마침내 '건인시스템'호는 지난해 2월 출범의
고동
소리를 울렸다. 제어계측학과의 영어 명칭(Control and Instrumentation)의 앞자만 따서 상호를 정한 뒤 본격적으로 전자산업계에 뛰어든 것이다.각자가 조금씩 모은 5천만원을 자본금으로 출발한 작은 회사였지만 ... ...
생체와 음악을 잇는 리듬의 비밀 흔들림 현상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심장
고동
리듬이 지닌 흔들림 현상과 음악의 그것이 꼭 같다. 이를 밝혀나가면 자연계의 수수께끼 하나가 풀릴까?스피커의 전면에 쳐놓은 네트를 떼어내고 자세히보면 스피커에서 소리가 나올때는 원추상의 막이 진동하고 있는것을 볼수 있다. 소리가 낮아지면 진동폭이 커져 손가락을 대어보아도 ... ...
체중500g까지 살려낸다 초 미숙아를 기르는 하이테크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병원에 따라 의사에 따라 여러가지일 것이다.예를들면 보스턴 시립병원에서는 심장의
고동
이 몇분간 이상 계속되고 체중이 3백50g이상일때는 모든 태아는 NICU로 보낸다. 그 태아가 살아남을지도 모를것에 대비하여서다. 그러나 대개는 죽고 만다.이런 이야기가 우울하다면 미숙아 치료의 최근의 ... ...
환경오염방지와 자원재활용을 위한 재생처리기술 어느 수준인가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1980년 설립)의 지도 아래 수집돼 종말처리되고 있다.여기서 다시 태어난 것들이 짙은
고동
색 고무그릇류와 정화조, 하수도파이프 등. 최근에는 식기류 외의 그릇, 플래스틱 장난감, 마대, 깔판, 구두굽 등도 생산해내고 있다.합성수지 외에도 전통적으로 종이의 재생률은 높은 편. 재생갱지는 펄프로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