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비교분석"(으)로 총 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교과서] 형제가 놀란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1호
- “형!”“아니, 너도 볏짚을 옮긴 거였어?”깜깜한 밤, 볏짚을 짊어지고 걸어오던 형제가 오솔길에서 마주쳤어요. “그래서 볏짚을 아무리 옮겨도 줄지 않았구나!” #동화 마을에 무슨 일이? 형제의 우애를 별에 맹세할 수 있을까? 조용한 오솔길에서 망원경으로 별을 관찰하고 있던 꿀록 탐정 ... ...
- [꿀꺽! 수학 두 입] 종류별로, 순서대로! 편의점 비법 대공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0호
- 이런! 편의점에서 잘 안 팔리는 물건들이 눈물을 흘리고 있어요. 이대로 유통기한*이 지나 버려질까 걱정이 되나 봐요. 하하, 그래서 분류의 달인인 제가 왔지요! 편의점 분류 비법이 무엇인지 하나하나 알려 줄게요! 1단계 : 물건을 종류대로 분류하기물건을 정리하려면 종류별로 분류하는 것부터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뉴진스 ‘Super Shy’ 물 커버?!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9호
- 딩동댕~. 물의 높이를 다르게 채운 잔을 두드리면 각각 다른 음이 난다는 것 알고 있니? 나 마이보가 물잔과 물방울 등으로 음악을 연주하는 영상을 준비해 봤어. 명품 블루투스 이어폰 케이스의 비밀과 눈에 보이지 않는 세계를 다룬 영상도 기대해 줘! ●뉴진스 ‘Super Shy’ 물 커버?! 조회 수 : 152 ... ...
- [특집] 초기 우주, 시간이 느렸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6호
- 1915년, 나는 중력에 따라 시간이 다르게 흐를 거라는 일반 상대성 이론을 발표했다네. 중력이 강한 곳일수록 시간이 느려진다고 생각했어. 그럼 우주가 충분히 팽창하기 전에는 중력이 강해 시간이 느렸겠지? 마침 후대 과학자들이 초기 우주의 시간이 지금보다 훨씬 느렸다는 사실을 최근에 밝혀냈 ... ...
- 바둑이 넌 어디서 왔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바둑이를 복원하면서 우리나라의 토종개들이 어디서 왔는지 밝혀낸 연구도 함께 발표됐어요. 바둑이를 포함한 삽살개와 진도개, 동경이 등 토종개들은 언제부터 한반도에서 우리와 함께 살았을까요? 우리나라 토종개의 뿌리를 밝히다 건국대학교 박찬규 교수팀은 2019년부터 약 4년 반 동안 늑대, ... ...
- 바둑이를 만난건 삽살개 사랑 덕분!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이번에 바둑이를 다시 만날 수 있었던 것은 모두 삽살개 덕분입니다. 삽살개로 시작된 우리나라 토종개 복원 과정에서 바둑이도 발견하게 된 것이니까요. 이는 한 연구자의 집요하리만큼 뜨거운 열정 때문이었지요. 삽살개 10마리로 시작한 토종개 복원 연구 외딴섬에 살던 진도개나 높은 산지에 ... ...
- [가상인터뷰] 한국 고유종 ‘미유기’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3호
- 쉿, 조용! 저기 졸졸 흐르는 맑은 계곡에서 알을 낳는 물고기가 보여? 이름은 미유기. 메기와 비슷하게 생겨 ‘산메기’라고도 불리지. 그런데 최근 강 수온이 높아지면서 미유기가 알을 낳기 힘들어졌다고 해.나, 과학마녀 일리가 미유기를 만나 봤어. Q. 자기소개 부탁해.A. 안녕? 나는 미유기야. 한 ... ...
- 인공지능이 지켜준다, 스마트 스쿨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2호
- 횡단보도를 건너는데 신호가 곧 바뀔 것 같아요! 이런 상황에 대비해 인공지능을 활용해 만든 신호 연장 시스템이 있어요. 스쿨존에서 어린이를 지키는 스마트 시스템을 개발한 분들을 만나 봤습니다. 교통사고를 예측할 수 있다? 경기도 안양시청 스마트도시정보과 사무실에 들어서자 한쪽 벽면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2003년 4월 14일,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HGP)를 진행해온 인간 유전체 컨소시엄은 “근본적으로 완전한 인간의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을 완료했다”고 발표했다. 발표문에서 그들은 “완성된 서열은 인간 유전체의 유전자 포함 영역 중 약 99%이며, 99.99%의 정확도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사상 처음으로 ... ...
- 48명이 35만 번 동전 던져 D-H-M 모형 실험수학동아 l2023년 12호
- 디아코니스 교수의 연구결과가 발표된 이후 지금껏 이 예측이 옳다는 것을 보이기 위한 여러 통계적인 실험이 있었다. 하지만 규모 면에서 부족했다. 디아코니스 교수는 D-H-M 모형을 실험으로 입증하려면 약 25만 번 이상 동전 던지기를 수행해야 한다고 추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다 최근 네덜란드 암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