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균관대"(으)로 총 28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은 왜 반도체 강국이라면서 소재산업은 부실한가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전기에너지로 바꾸는 효율) 25.2%로 세계 1위에 오른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도 성균관대, 울산과학기술원(UNIST), 한국화학연구원 등 국내 연구진이 세계적으로 선도하는 분야다. 페로브스카이트는 금속, 유기물, 할로겐족(플루오린, 염소, 브로민 등)이 결합된 화합물 결정 구조를 갖고 있어 빛 ... ...
- 주목하라, 시스템반도체 시대가 온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주목하라 시스템반도체 시대가 온다Part 1. 3가지 키워드로 본 시스템반도체 Part 2.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 Part 3. 시스템반도체 전문가가 되고 싶다면 ... ...
- 포켓몬 몸집의 물리학 피카츄는 뚱뚱할까, 날씬할까?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클수록 날씬해 보인다. 글. 김범준서울대 물리학과에서 이학박사를 받았으며, 현재 성균관대에 재직 중이다. 한국복잡계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저서 ‘세상물정의 물리학’으로 제56회 한국출판문화상을 수상했다. 언론 매체에 칼럼을 연재하는 등 물리학의 대중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 ...
- 국내 첫 삼성전자 계약학과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에 가다과학동아 l2019년 06호
- 반도체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계약학과’ 신설을 추진하거나 논의 중인 상황이다. 성균관대 반도체시스템공학과는 반도체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2006년 국내에서 가장 먼저 삼성전자와 계약을 맺고 개설됐다. ▲ 반도체시스템공학과의 4학년 학생 약 40여 명이 반도체내 전류의 흐름을 ... ...
- DNA 손상되면 출동하는 단백질 확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나타났다. 펠리노1이 DNA 손상을 복구하는 상위 조절자 역할을 하는 셈이다. 이창우 성균관대 의대 교수는 “펠리노1의 작용을 억제하면 복합체가 형성되지 않아 DNA 복구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았다”며 “DNA 손상과 연관된 유전질환이나 면역질환 등 각종 질병의 원인을 찾는 데 새로운 방법을 ... ...
- [어벤져스:엔드게임] 타노스 핑거 스냅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로버트 프레이타스의 저서 ‘나노의학’의 데이터를 기준으로 했다).계산을 위해 서동석 성균관대 에너지과학과 교수의 도움을 받았다. 영화에서는 생명체가 먼지처럼 흩어지며 소멸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계산의 편의를 위해 기화하거나 연소한다고 가정했다. 우선 인류 전체에 대해 인체의 ... ...
- 오세정|급변하는 4차 산업혁명시대, 창의적 인재 키운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말했다. 새로운 이공계 인력 양성은 서울대만의 고민은 아니다. 2019년 취임한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 총장이 오 총장과 마찬가지로 모두 이공계 출신인 것도 이공계 인력 양성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분위기를 반영하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2018년 취임한 홍익대, 인하대, 세종대, 아주대 총장도 ... ...
- [시사기획] 독감 걸렸는데, 타미플루 먹어도 될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가장 많았다. 이는 65세 이상 복용자의 부작용(141건)보다 2배 이상 많은 수치다. 신주영 성균관대 제약산업학과 교수와 김우정 명지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타미플루 복용 후 신경정신과적 부작용(NPAEs ·neuropsychiatric adverse events)을 호소한 환자들에 대한 역학조사를 진행한 결과, ... ...
- [TECH]스마트폰 카메라 전쟁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신호로 바꿔 촬영한 사진을 디스플레이로 볼 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반도체다. 김용석 성균관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이미지 센서가 클수록 빛을 더 잘 받아들일 수 있지만, 스마트폰은 센서 크기에 제약이 있어 DSLR 카메라를 넘어설 수는 없다”며 “카메라 모듈을 여러 개 달아 DSLR 카메라처럼 ... ...
- [TECH]무선충전 기술이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전달하는 무선전력전송은 전송 거리에 따라 근거리와 원거리로 나뉜다. 이강윤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는 “근거리와 원거리를 구분하는 명확한 기술적인 기준은 없지만, 최근 1m 이상이면 원거리 충전으로 본다”고 말했다. 근거리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크게 자기유도방식과 ... ...
이전123456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