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버켄스탁
버캔스타
버켄
버켄스타
슬리퍼
캘빈클라인
웨지힐
d라이브러리
"
아리조나
"(으)로 총 52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과의 충돌설로 세계의 관심 모은 슈메이커-레비 혜성의 정체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일반적인 혜성과는 판이하게 다른 모양을 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은 미국
아리조나
주 킷픽 천문대의 스코티에게 이 특이한 천체에 대한 정밀 사진 관측을 요청하였다. 스코티 박사가 킷픽의 91cm 우주관측 망원경으로 찍은 사진에는 최소한 5개 이상의 덩어리가 하나가 되어 움직이고 ... ...
(2) 블랙홀·별들의 잔해가 어둠 속에 가득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약1백배 이상 되는 물질들이 관측을 피해 암흑공간 속에 숨어있는 것이다.1912년 미국
아리조나
주에 있는 로웰 천문대(Lowell Observatory)에 근무하던 슬라이퍼(V. Slipher)라는 사람은 안드로메다 은하가 초속 약3백km의 속도로 우리은하에 접근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아폴로 우주선의 속도가 초속 10km ... ...
메탄올 식물 성장제로 큰효과
과학동아
l
1993년 05호
미국의 식물 학자 아더 노노무라와 생화학자 앤드류 벤슨의 오랜 연구결과에 바탕 한 것.
아리조나
주에 있는 노노무라의 농장에 16% 희석된 메탄올 용액을 살포한 결과 일부 작물은 소출이 두배로 늘고 물소비량이 반으로 줄어들었다.이같은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에 대해 두사람은 "물에 사는 단세포 ... ...
한여름밤의 4중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따르면 이 별을 확인한 최소 구경의 망원경은 32㎝굴절(6백배로 본 기록)이지만 1959년에는
아리조나
에 있는 1m 망원경으로도 식별하기 어려웠다고 한다.현재 이 성운의 알려진 육안광도는 15.4등급이며 사진광도는 14.4등급이다. 많은 아마추어들이 이 별을 보려고 하는데, 착시에 조심해야 관측이 ... ...
식물에서 새로운 연료 추출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광화학 반응을 재현할 수 있도록 분자조합을 만들어 보았다. 이런 분자조합은 1983년
아리조나
주립대학의 화학자들이 처음 만들었는데 이 분자는 전자를 내주는 것, 빛을 흡수하는 것, 전자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구성돼 있다. 또 전체가 광화학 반응이 가능하도록 연결돼 있다. 이 분야의 과학자들이 ... ...
운석과 혜성으로 지구에 접근하기도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소행성의 조각(운석)이 지구에 떨어져 직경 1.5㎞나 되는 커다란 운석구덩이(크레이터)를
아리조나
주에 남긴 일이 있었다.또한 1970년대에 지질학자들은 석회암층 사이에서 이리듐(iridium)이 풍부한 검은층을 발견했다. 이 층은 운석이 지구와 충돌하여 생긴 물질로 이루어졌을 것으로 생각되는데, ... ...
상처를 찾아라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것처럼 보이지 않지만, 유성이 아이오와를 때렸을 것 같은 생각이 든다.그러나 최근
아리조나
대학의 과학자인 알랜 힐드브랜드씨와 월리엄 보인튼씨는 하이티의 서부지역에서 충격이 가해진 다량의 석영을 찾아냈다. 지금까지 석영의 가장 두꺼운 층-약 1인치 정도의 두께인-은 북미 콜로라도에서 ... ...
「은하집단」 4억광년 간격으로 존재
과학동아
l
1990년 04호
수준이기 때문에, 천문학계는 이 놀라운 발표를 주목하고 있다.데이비박사팀은 미국
아리조나
주에 있는 국립천문대와 오스트레일리아 사이딩스프링천문대의 관측데이터를 상세히 해석하고 확인했다는 것. 이 연구팀에 의하면 미국 하버드 대학 천문학자들이 최근에 발견한 은하집단인 '우주의 ... ...
바라는대로 되는 것만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사례를 간추려 볼 수 있을 것이다.1984년부터 미국 천문학자 '퍼시벌 로웰'은 자신이 '
아리조나
'사막에 지은 관측소에서 화성을 열심히 관찰하였다. 그는 화성표면이 엷은 띠들로 뒤덮혀진 것을 본 것으로 생각했다. 그는 이 띠들을 '운하'라고 풀이했다. 그는 화성에는 매우 진화되고 기술적으로 ... ...
소행성의 근접신호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도시를 폐허화시킬 충돌은 평균 5만년만에 한번 있으리라는 추측이 나왔다.그렇다면
아리조나
웅덩이 사건 이후 긴 시간이 지난 것이 된다. 말하자면 기간이 다 된 셈이다.물론 작은 행성을 파괴시키면 부수러기들이 아마 원래의 궤도를 돌 것이지만 만약에 지구에 부딪치더라도 조각 하나 하나는 큰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