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필터
여파기
여과장치
체
휠타
휠터
d라이브러리
"
여과기
"(으)로 총 49건 검색되었습니다.
환경보전기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물을 처리하는 경우를 생각해보자. 오염된 물을 처리하는 첫단계는 물 속의 오염물질을
여과기
를 사용해 물리적 방법으로 거르는 일이다. 그런데 오염물질이 걸러진 후에도 물 속에는 여러 유해한 화학물질이 녹아있을 수 있다. 따라서 화학약품을 사용해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화학적 처리방법이 그 ... ...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유리시료병(d)으로 확인한 후, 밸브(e)를 조절해 맥주를 걸러 마시게 된다. 현재 이런
여과기
술은 와인과 같은 술과 다양한 음료수 제조에도 이용된다.4천여종 화합물에 대항하는 담배 필터 담배 흡연시 약 4천여종의 화학적 성분이 담배에서 생산돼 인체로 흡입된다. 담배연기는 기체 성분과 미립자 ... ...
방사성 쓰레기가 갈 곳은?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방사성 폐기물들은 액체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탱크에 모은다. 비교적 깨끗한 물은
여과기
로 방사성 물질을 거른 다음 배수구로 방출한다. 다른 것들은 증발장치로 끓인 다음 깨끗한 수증기는 냉각시켜 배수구로 방출하고, 찌꺼기는 시멘트로 고체화한 후 철제 드럼에 넣어 보관한다. 마지막으로 ... ...
바이러스 신상명세서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바이러스를 곰팡이나 박테리아와 같은 병원균의 일종으로만 생각했다. 하지만 세균
여과기
에 걸러지지 않았기 때문에 바이러스의 존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없었다. 그래서 일정기간 동안 바이러스는 ‘여과성 병원체’라 불렸다.바이러스의 모습을 발견한 최초의 인물은 1935년 미국 과학자 ... ...
탐구학습현장, 수영장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하지만 대형 수영장에서는 각 기준이 컴퓨터시스템으로 통제된다. 24시간 순환
여과기
를 통해 물이 세척되면서 줄어든 양만큼의 물은 자연스럽게 교체된다. 그러면서 잔류 염소량이 적어지면 곧 염소계 살균제가 투입되는 등 모든 시스템이 자동으로 조절된다.⑦ 마찰력 지뢰밭어떤 스포츠든 ... ...
입체화되는 환경공학
과학동아
l
1998년 08호
웅덩이에 자연적으로 발생하는 미생물이 오염물질을 분해해냈다. 또 모래를 채운
여과기
를 만들어 물을 통과시킴으로써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방식도 제안됐다. 각종 건설과정에서 토목공학자들이 사용하던 물리적 처리 방식을 조금 응용한 형태였다.그러나 오염의 정도가 점차 심해지고 오염의 ... ...
방사성 폐기물의 실체
과학동아
l
1997년 12호
폐기물은 액체의 특성에 따라 각기 다른 탱크에 모아진다. 이 중 비교적 깨끗한 물은
여과기
를 이용해서 방사성 물질을 걸러낸 다음 방사선 감시기를 거쳐 배수구로 방출된다. 그 외 다른 액체 방사성 폐기물은 증발장치로 보내진다. 증발장치는 액체 폐기물을 끓여 깨끗한 수증기는 냉각시켜 역시 ... ...
러시아의 희망 무너져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같이 살아 있는 세포에서만 기생하고 증식하며 인공적으로는 배양할 수 없는 것 세균
여과기
로 걸러낼 수 없다는 의미에서 여과성병원체라고도 한다 크기는 04μ(미크론)에서 001μ정도 이것은 생존에 필요한 물질인 핵산(DNA나 RNA)과 약간의 단백질 외에는 아무것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다른 ... ...
"자판기 동전 분리기는 내 아이디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으로 구성돼 있었다.분쇄된 바윗가루는 광석분리기로 끌어 올려져 여러개의 큰 자석과
여과기
를 통과한다. 자석에 붙은 철은 이미 준비돼 있는 수집장소로 보내졌고 바윗가루는 분리기 꼭대기에서 아래로 떨어져 버렸다.우리도 에디슨의 원리를 이용해 철로 만들어진 가짜 동전을 구별할 수 있는 ... ...
1 인공장기 인체부속품 시대 개막
과학동아
l
1995년 01호
방법으로서 혈액중의 요소가 투석막을 통하여 투석액으로 빠져나오는 방법이고, 혈액
여과기
는 여과막을 통하여 요소뿐만 아니라 입자가 더 큰 찌꺼기도 걸러내는 방법이다. 혈장분리기는 아예 더러운 혈장(혈액의 액체부분)을 걸러내고 고형성분(적혈구 백혈구 단백질)만 체내로 다시 넣어주는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