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날짜
일시
d라이브러리
"
일자
"(으)로 총 2,324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뉴스] 똑딱핀 같은 날개로 가장 빨리 헤엄치는 소프트로봇
과학동아
l
2023년 01호
3.74배 거리를 수영하는 소프트로봇을 개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 11월 18
일자
에 발표했다.doi: 10.1126/sciadv.add3788 나비봇의 날개는 ‘똑딱핀’과 유사하게 움직인다. 똑딱핀은 일정 이상의 힘을 가하면 모양이 바뀐 뒤 그 상태를 유지하고, 또 일정 이상의 힘을 반대로 가하면 원래의 ... ...
[수학뉴스] 인공지능도 잠이 필요하다!
수학동아
l
2023년 01호
높이기 위해서 잠이 중요하다’는 내용의 논문을 미국의 컴퓨터공학 학술지인 11월 18
일자
에 실었습니다. 사람이 잘 때, 뇌에서는 낮에 학습한 기억을 무작위로 골라 계속 반복 학습하면서 장기 기억으로 전환하는데요. 인공지능에서 똑같은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는 거예요. 연구팀은 첫 번째 ... ...
[기획] 새끼 오리가 줄지어 헤엄치는 과학적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0호
봄날 저는 새끼 오리 무리가 어미 오리를 따라 줄지어 강 위를 수영하는 것을 봤어요.
일자
대형으로 이동하는 방법이 실제로 얼마나 효과적인지를 경험적으로 증명하고 싶어서 실험을 시작했답니다. Q가장 힘들었던 점은 무엇인가요?우리가 준비한 어미 모형을 새끼 오리들이 엄마로 인식하고 ... ...
[과학 뉴스] 벼룩보다 작은 로봇 게, 레이저로 조종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3호
실리콘 고무를 입혔고요.구부러진 로봇 관절에 레이저로 약 500℃의 열을 가하면 다리가
일자
로 펴져요. 합금이 원래 모양대로 평평하게 변한 거죠. 다리가 펴지면 합금에 붙어 있던 실리콘 고무가 늘어나며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려는 힘인 탄성력을 받게 돼요. 이 때문에 로봇 관절의 합금이 ... ...
[과학뉴스] 플랑크톤 3차원으로 보는 홀로그램 현미경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플랑크톤을 관찰하는 홀로그램 현미경을 개발했다고 국제학술지 ‘이라이프’ 11월 1
일자
에 발표했다. 플랑크톤은 생태계에서 1차 생산을 담당하고 있는 중요한 유기체다. 그러나 크기가 매우 작아 그동안의 연구는 플랑크톤 무리 전체의 특성을 보는데 그쳤다. 연구팀은 개별 플랑크톤의 특성을 ... ...
[과학뉴스] 역대 최대 규모 화산 중간권 뚫은 기둥 높이는 57km
과학동아
l
2022년 12호
화산재 기둥이 최고 57km까지 치솟 았다는 결론을 내고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1월 3
일자
에 발표했다. doi: 10.1126/science.abo4076 통가 해저화산은 1월 15일 격렬하게 분화하면 서 역대 최대규모 화산으로 기록됐다. 분화 당시 발생한 쓰나미는 1만km 떨어진 남미 대륙까지 도달했으며 이로 인해 전 세계 ... ...
[가상 인터뷰] 수컷 거미는 짝짓기하고 나서 도망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수컷 거미는 짝짓기하는 동안 앞다리를 56.8°로 구부려요. 짝짓기가 끝난 뒤 다리를
일자
로 확 펼치며 암컷을 밀어내 튕겨 나가요. 교수팀이 수컷 거미의 앞다리 두 개를 잘라냈더니 암컷 거미와 짝짓기 시도를 아예 하지 않는 것을 발견했어요. 나머지 여섯다리 중 두 개를 잘라낸 거미는 짝짓기를 ... ...
[기획] 수리생물학 노트 II, 새의 기동성의 비밀을 밝히다!
수학동아
l
2022년 11호
언제, 어떻게 날개 모양을 바꾸는지를 연구해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3월 9
일자
에 발표했어요. 22종의 조류 사체 36구를 모아 날개를 수동으로 펴고 수축하면서 얻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날개의 움직임에 따른 역학을 예측하는 수학 모형을 만들었지요. 이 수학 모형은 새의 날개에 있는 ... ...
[어덕행덕] 필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 카메라
과학동아
l
2022년 11호
인화하기도 했죠. 이미지를 홀쭉하게 만드는 특수 렌즈가 아나모픽 렌즈인데요. 빛이
일자
로 퍼지거나 상이 아른거리는 느낌을 줄 수 있다고 합니다.보케는 빛이 흐려지면서 이미지가 흐리게 보이는 효과를 말하는데요. 빛망울이라고 말하기도 합니다. 이는 카메라 회사마다 다르기도 합니다. ... ...
[수학뉴스] 달걀 속 얇은 막, 주름의 비밀을 밝히다!
수학동아
l
2022년 10호
삶은 달걀을 깔 때 껍데기와 흰자 사이에 있는 매우 얇은 막을 본 적 있을 거예요. ‘난각막’이라 불리는 이 막은 달걀 형태를 따라 둥근 모양으로 껍데기에 붙어 있어요. 이 막을 떼어내 ... 이해할 수 있을 거라 기대했어요.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물리학’ 8월 25
일자
에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